
이전 글에서 예고했듯이, 이번에는 인슐린이 췌장에서 분비된 후 우리 몸의 가장 중요한 대사 장기 중 하나인 간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혈당을 조절하는지 심도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췌장이 인슐린이라는 지휘자를 통해 혈당 조절의 첫 신호를 보내면, 간은 이 신호를 받아 혈당의 저장과 생산을 정교하게 조율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인슐린의 ‘일등 배달’ 경로: 췌장-간문맥 축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분비된…

지난 글에서 췌장이 인슐린 생산의 균형추 역할을 한다고 간략히 언급했었죠. 이번에는 이 중요한 장기인 췌장이 어떻게 인슐린을 만들고 혈당을 조절하는지, 그리고 왜 한국인에게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지 자세히 살펴보려 합니다. 더 나아가, 현재 당뇨병 관리에 있어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몇 가지 안타까운 현실에 대해서도 함께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이 글은 췌장의 복합적인 기능부터 시작하여 한국인의…

서론: 인슐린, 그 숨겨진 진실을 탐험하다 지금까지 여러분은 인슐린이 단순히 ‘혈당 조절 호르몬’이라는 단편적인 상식에서 약간 벗어나 보는 몇몇 순간을 경험하셨습니다. 일종의 진짜 ‘찐 운동’을 하기 전 가벼운 몸풀기를 마쳤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몸이 아닌 뇌를 자극하는 게임이라고 불러도 좋겠습니다. 이제부터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의 진짜 위상과 복합적인 역할을 본격적으로 탐구하는 의미 있는 기획에 들어가 보겠습니다.…

헤이플릭 한계 (Hayflick Limit): 우리 몸 세포의 수명 비밀 1. 헤이플릭 한계란 무엇인가요? 전편에서 헬라 세포 이야기를 하면서 잠시 언급되었던 헤이플릭 한계(Hayflick limit) 기억하시나요? 이 개념은 인간 세포의 수명과 노화, 그리고 암의 발생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생물학적 원리입니다. 이를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 다음 주제로 넘어가기 전에 간략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헤이플릭 한계는 **정상적인 인간…

헬라세포는 현대 생명과학의 거의 모든 실험실에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인류 생명연구사, 의료윤리, 인종 문제, 산업의 도덕성까지 깊이 관통합니다. HeLa 세포의 기원, 생물학적 특성, 역사적 영향, 윤리 논란까지 단계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HeLa 세포란 무엇인가? HeLa cell은 Henrietta Lacks라는 한 흑인 여성의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유래된 최초의 인체 유래 불멸세포주입니다.연도: 1951년장소: 미국 존스홉킨스 병원사망자: 헨리에타 렉스 (31세),…

암 진단은 단지 질병의 통보가 아니라, 생과 사의 무게를 마주하는 순간입니다.그 후 이어지는 병원 치료는 대부분, 생명을 지키기 위해 ‘파괴’를 선택합니다. 독을 써서 살린다는 이 역설(paradox).과연 우리는 지금, 어디쯤 와 있을까요? 아직도 독가스 유래 항암제가 쓰이는 현실 2025년 현재에도 병원에서는 1950년대 독가스에서 유래한 1세대 항암제가 사용됩니다.대표적으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메토트렉세이트 같은 세포독성 약물이 여전히 주력입니다. 강력하지만 비선택적인…

암 진단을 받는 순간, 많은 환자분들은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 경험을 합니다. 그 무게만으로도 버거운데, 곧이어 병원 치료와 소위 자연 치료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되죠. 이는 단순히 치료법을 고르는 것을 넘어,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대한 갈등의 시작입니다. 한국 암 치료의 현실적 제약 한국의 암 치료는 미국의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가이드라인을 중요한 지침으로 삼습니다.…

오늘은 유방암 진단 전, 우리 몸이 보내는 작지만 중요한 신호들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유방암은 아닌 밤중에 홍두깨 같이, 단순히 어느 날 갑자기 생기는 병이 아닙니다. 2cm 크기의 종양은 수억 개의 암세포로 이루어진 덩어리이며,이 정도 크기에 도달하기까지는 적어도 수년에서 10년 가까운 시간이 걸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 몸이 보내는 조용한 전령사들 이렇게 오랜 시간에 걸쳐…

1. 지방은 왜 림프계를 통해 이동할까? – 해독, 면역, 그리고 전이의 관문 우리 몸속 영양소는 대부분 혈액을 통해 간으로 이동하지만, 지방은 특별한 길을 갑니다. 포도당이나 아미노산 같은 수용성 영양소는 소장에서 흡수된 후 바로 **문맥 정맥(portal vein)**을 통해 간으로 들어서죠. 하지만 지방은 소장에서 분해된 뒤 다시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중성지방)**로 재조립됩니다. 그리고 이들은 **킬로미크론(chylomicron)**이라는 특수 운반체에 실려 **림프관(central…

서론: 유방암 환자에게 체성분 관리가 중요한 이유 흔히 비만은 특정 질병의 위험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유방암은 이러한 고정관념을 깨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단순히 체질량지수(BMI)가 정상 범위에 속한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들이 속속 나오고 있기 때문이죠. 오히려 겉보기에는 날씬하거나 정상 체중인 유방암 환자분들 사이에서 **’마른 비만’ 또는 ‘근감소성 비만’**과 같은 비정상적인 체성분 위험이 높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