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오랫동안 ‘정답’처럼 여겨져 온 식이섬유의 진실에 대해 함께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쳐보려 합니다. 수년 동안 우리는 식이섬유가 장 건강에 필수적이며, 섬유질 없이는 마이크로바이옴이 무너질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식이섬유가 모두에게 똑같이 유익하며, 심지어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 어떨까요? 식이섬유의 진실은 단순히 ‘좋다’ 또는 ‘나쁘다’를 넘어 훨씬 더 복잡하고 흥미롭습니다. 이 글은 최신 과학 데이터를 인용하여 섬유질과 염증,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단쇄 지방산 논란의 핵심을 상세히 다루어, 논의를 한 단계 진전시키고자 합니다.
첫 번째 오해: 식이섬유는 보편적인 항염증 식품인가요?
일부 전문가들은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이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 주장은 모든 사람에게 전적으로 사실이 아닐 수 있습니다.
염증 반응자의 존재를 밝힌 《Cell》지 연구
저명한 무작위 대조 시험(RCT) 결과가 학술지 **《Cell》**에 발표되었습니다. 이 획기적인 연구는 일부 사람들에게 식이섬유가 오히려 친염증성(pro-inflammatory) 반응을 일으키는 **염증 반응자(inflammatory responders)**의 존재를 밝혔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이 데이터는 고섬유질 개입에 대한 면역 시스템의 상이한 반응을 시사하며, 고염증 참가자들은 정상 상태의 면역 활성화(steady-state immune activation), 즉 염증이 광범위하게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고 합니다.
다양성과의 관계: 다행히 이는 참가자 대다수는 아니었으나,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이 낮은 사람들이 섬유질에 대한 염증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마이크로바이옴을 훈련하여 섬유질에 더 건강하고 항염증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하는 프로토콜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기합니다.
발효 식품의 비교 우위
여전히 일부 사람들은 식이섬유에 대해 친염증성 반응을 보이며, 이는 만성 질환을 악화시키거나 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의 또 다른 중요한 발견은 발효 식품이 섬유질보다 훨씬 더 보편적으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염증 감소를 목표로 하신다면, 브로콜리 같은 섬유질 위주 식품보다는 김치 같은 발효 식품에 집중하는 것이 더 실용적인 접근법일 수 있습니다. (발효 식품의 효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링크 삽입]을 참고해 주세요.)
두 번째 오해: 섬유질 없이는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이 무너지나요?
흔히 식이섬유의 제거가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다양성이 곧 좋은 장 건강의 지표로 여겨진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이는 일반적인 추측이지만, 여기에는 더 깊은 뉘앙스가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은 섬유질만 먹지 않습니다.
장내 미생물은 섬유질 외에도 다양한 것을 먹고 살 수 있으며, 저섬유질 식단이 반드시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4년 간의 육식주의 식단 사례: 한 인상적인 **단일 사례 연구(Case Study)**는 4년 동안 육식주의(Carnivore) 식단을 유지한 남성의 마이크로바이옴을 잡식 및 식물 기반 식단을 하는 사람들과 비교했습니다. 놀랍게도, 이 육식주의자의 장 마이크로바이옴은 알파 또는 베타 다양성 측면에서 다른 그룹과 비교했을 때 풍부함이나 다양성이 부족하지 않았습니다. 연구는 “육식 식단 준수가 장 마이크로바이옴에 해로운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결론지으며, 이는 4년간 섬유질을 완전히 제거했음에도 마이크로바이옴이 굶어 죽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근거입니다.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이 높다고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더 많은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이 반드시 더 좋다는 통념 역시 깨지고 있습니다.
2025년 《Cell》지 최신 연구: 2025년에 **《Cell》**지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산업화된 환경에 사는 사람들의 장 마이크로바이옴을 비산업화된 식단(주로 콩, 고구마, 쌀, 채소 등 식물 기반 탄수화물 위주)으로 회복시키려 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식물 기반의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단은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을 감소시켰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중 감소와 염증 지표 개선을 포함한 일부 심혈관 대사적 이점이 관찰되었습니다.
핵심 요점: 저섬유질 식단, 심지어 무섬유질 식단도 반드시 다양성을 감소시키지는 않으며,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더 건강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세 번째 오해: 저섬유질 식단은 단쇄 지방산(SCFAs)을 감소시키나요?
저섬유질 식단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은, 섬유질의 박테리아 발효 산물인 유익한 화합물 단쇄 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 SCFAs) 수치를 감소시킨다는 것입니다. SCFAs는 장 건강에 필수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 데이터와 생리학을 고려하면 이 이야기는 또다시 진화합니다.
2024년 RCT 결과: SCFA 수치 변화 없음
**2024년 무작위 대조 시험(RCT)**에서 **저섬유질 케톤 생성 식단(Ketogenic diet)**을 12주 동안 섭취한 그룹과 고섬유질 식단을 섭취한 그룹을 비교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케톤 생성 식단을 섭취한 그룹에서 주요 SCFA인 **부티레이트(Butyrate)**를 포함한 단쇄 지방산 수치가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케톤체와 부티레이트의 중첩 기능
또한, 케톤체인 **베타-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Beta-hydroxybutyrate)**는 부티레이트와 구조적 및 기능적 유사성이 있습니다. 설령 케톤 생성 식단에서 부티레이트 수치가 감소하더라도 (물론 이 연구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Beta-hydroxybutyrate가 장 내벽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중요한 세포 표면 수용체를 자극하는 등 부티레이트가 수행하는 많은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습니다.
결론: 저섬유질, 저탄수화물 식단이 반드시 단쇄 지방산 수치를 감소시킨다고 볼 수는 없으며, 이는 장 건강을 유지하는 경로가 섬유질 발효 외에도 존재함을 시사합니다.
네 번째 진실: 섬유질 제거가 치료적일 수 있는 경우
모든 사람의 상황은 다르며, 일부 사람들은 섬유질 감소 또는 완전한 섬유질 제거를 통해 실제로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심각한 위장 질환을 겪고 있습니다.
변비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C)
널리 알려진 보고서에 따르면, 변비형 IBS(IBS-C) 환자의 일부 경우에서 섬유질 섭취를 완전히 중단한 사람들이 배변 빈도가 증가하고 복부 팽만과 긴장 증상이 100% 제거되는 놀라운 개선을 보였습니다. 섬유질이 오히려 장내 발효를 촉진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염증성 장 질환(IBD)
염증성 장 질환(IBD) 환자에게도 섬유질 제거는 유익할 수 있습니다.
크론병 관해: 실제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크론병 사례는 무섬유질 식단에 상당히 잘 반응하며, 사례의 60%에서 85%의 환자에게 관해(remission)를 유도하는 데 처방될 수 있습니다. 그 기전은 장내 병원성 미생물인 *Mucispirillum*과 같은 장내 미생물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학술지 **《Cell Host & Microbe》**에 보고되었습니다.
사례 보고: 육식주의 식단에 대한 우리의 사례 보고(RCT는 아님)에서도 10명의 염증성 장 질환 환자가 완전한 관해에 들어갔는데, 이는 이들이 섬유질을 배제한 식단으로 큰 이점을 얻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 장 건강을 생각할 때 식이섬유가 ‘만능’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지나친 단순화일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의 진실은 섬유질이 본질적으로 좋거나 나쁜 것이 아니며, 맥락과 개인의 반응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즉, 당신의 N=1 이야기, 당신의 N=1 마이크로바이옴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장 건강을 위한 접근 방식은 결코 **단일 해법(one-size-fits-all)**이 될 수 없습니다. 지금 드시는 섬유질이 여러분의 장 건강에 진정으로 도움이 되고 있는지, 아니면 오히려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있는지 객관적인 관점에서 재고해 볼 때입니다.
참고문헌
1. 염증 반응Van der Hee, M. 등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2024년동물 모델에서 이눌린 섬유가 염증성 ILC2 세포와 호산구 축적을 촉진하여 장 염증을 악화시킴을 보였으며, 이는 식이섬유로 인한 미생물 대사산물의 변화(담즙산 등)가 염증 경로를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 무섬유질 식단 다양성Stojiljkovic, M. 등ScienceOpen2024년4년간 육식주의 식단을 유지한 건강한 남성의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한 단일 사례 연구입니다. 일반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다양성에서 차이가 없었음을 보여주어, 섬유질 없이도 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3. 저섬유질 & SCFAGrzelak-Zieba, E. 등Roczniki Państwowego Zakładu Higieny2022년**케톤 생성 식단(KD)**이 SCFA(부티레이트 포함) 수치를 감소시키지 않는다고 보고하며, 이는 섬유질 발효 외에 다른 경로(예: 케톤체)가 장 건강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 식물성 식단 다양성 감소David, L.A. 등News-Medical.net (2025년 Cell 논문 보도)2025년극도로 단순화된 식단(오트밀 기반) 연구에서, 섬유질 섭취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음을 보도합니다. 이는 다양성이 식단의 복잡성과 관련됨을 시사합니다.
5. 무섬유질 식단 & 크론병Liu, X. 등Cell Host & Microbe2024년크론병(CD) 동물 모델에서 **무섬유질 식이(EEN)**가 장내 세균 Mucispirillum의 위치를 변경시켜 염증을 억제하고 **관해(remission)**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습니다.
Dietary Fiber Misconception: The Notion of Being Essential for Gut Health Must Be Scientifically Reconsidered (Based on Latest 2025 Papers)
Hello readers. Today, we want to delve into a deep discussion about the truth of dietary fiber, which has long been accepted as the ‘correct answer.’ For years, we’ve heard that dietary fiber is essential for gut health, and that without it, your microbiome would crumble.
But what if dietary fiber isn’t equally beneficial for everyone, and might not even be necessary at all? The truth about dietary fiber is far more complex and interesting than simply ‘good’ or ‘bad.’ This article cites latest scientific data to thoroughly examine the core debates surrounding fiber and inflammation, microbiome diversity, and short-chain fatty acids, aiming to advance the discussion.
The First Misconception: Is Dietary Fiber a Universal Anti-inflammatory Food?
Some experts claim that fiber-rich foods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but this claim may not be entirely true for everyone.
Research in 《Cell》 Identifying Inflammatory Responders
The results of a promine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Cell》. This groundbreaking study revealed the existence of inflammatory responders: some individuals for whom dietary fiber actually triggers a pro-inflammatory response.
According to the paper,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divergent immune system responses to the high-fiber intervention, with high inflammation participants exhibiting broad increases in steady-state immune activation, which means inflammation.”
Relationship with Diversity: Fortunately, this was not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individuals with low microbiome diversity tended to be the ones who responded to fiber with inflammation. This raises the hypothesis that protocols may exist to ‘train’ the microbiome to respond to fiber with a healthier, anti-inflammatory response.
Comparative Advantage of Fermented Foods
Still, some people show a pro-inflammatory response to dietary fiber, which can exacerbate chronic diseases or cause gut disorders. Another important discovery in this paper is that fermented foods demonstrated a much more universal anti-inflammatory effect than fiber. Therefore, if your goal is to reduce inflammation, focusing on a fermented food like Kimchi might be a more practical approach than foods primarily rich in fiber, such as broccoli. (For details on the efficacy of fermented foods, please refer to [Insert Link].)
The Second Misconception: Does the Microbiome Collapse Without Fiber?
It is often claimed that the elimination of dietary fiber decreases microbiome diversity, and that diversity is a marker of good gut health. This is a common assumption, but there are deeper nuances.
Gut Microbes Don’t Only Feed on Fiber.
Gut microbes can feed on more than just fiber, and a low-fiber diet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decreased microbiome diversity.
Case Study of a Four-Year Carnivore Diet: An impressive single Case Study compared the microbiome of a man who had been on a Carnivore Diet for four years to that of omnivores and plant-based people. Surprisingly, this carnivore’s gut microbiome did not show a lack of richness or diversity in terms of alpha or beta diversity when compared to the others. The study concludes that “adherence to a carnivorous diet does not cause detrimental changes in the gut microbiome,” which is important evidence showing that the microbiome doesn’t simply starve off even with complete fiber elimination for four years.
Greater Microbiome Diversity Isn’t Always Better.
The notion that greater microbiome diversity is always better is also being challenged.
Latest 2025 Study in 《Cell》: A study published in 《Cell》 in 2025 attempted to restore the gut microbiomes of people in industrial settings with a diet mimicking non-industrialized patterns (primarily plant-based carbohydrates like beans, sweet potatoes, rice, and vegetables). Ironically, this plant-based carbohydrate-rich diet decreased microbiome diversity. Nevertheless, some cardiometabolic benefits were noted, including weight loss and improved inflammatory markers.
Key Takeaway: A low-fiber diet, even a zero-fiber diet, doesn’t necessarily decrease diversity, and we should note that greater microbiome diversity isn’t necessarily synonymous with better health.
The Third Misconception: Does a Low-Fiber Diet Reduce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Another criticism of low-fiber diets is that they reduce the levels of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beneficial compounds produced by the bacterial fermentation of fiber. SCFAs are known to be essential for gut health. However, considering human data and physiology, this story evolves again.
2024 RCT Result: No Change in SCFA Levels
A 2024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compared groups consuming a low-fiber Ketogenic diet for 12 weeks to groups consuming high-fiber diets. Consequently, SCFA levels, including the key SCFA Butyrate, were not reduced in the group consuming the Ketogenic diet.
Overlapping Functions of Ketone Bodies and Butyrate
Furthermore, the ketone body Beta-hydroxybutyrate shares structural and functional overlap with Butyrate. Even if Butyrate levels were reduced on a Ketogenic diet (which wasn’t the case in this study), Beta-hydroxybutyrate can carry out many of the functions that Butyrate can, including fueling cells that line the gut and stimulating various important cell surface receptors.
Conclusion: It cannot be concluded that low-fiber, low-carb diets necessarily reduce SCFA levels, suggesting that pathways for maintaining gut health exist beyond fiber fermentation.
The Fourth Truth: When Fiber Elimination Can Be Therapeutic
Every person’s circumstance is different, and some individuals suffer from severe gastrointestinal conditions that could actually benefit from fiber reduction or even complete fiber elimination.
Irritable Bowel Syndrome with Constipation (IBS-C)
According to widely circulated reports, some patients with IBS with Constipation (IBS-C) who completely stopped fiber intake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with increased bowel movement frequency and 100% elimination of symptoms like bloating and straining. This is because fiber can promote intestinal fermentation, worsening symptoms.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Fiber elimination can also be beneficial for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Crohn’s Disease Remission: In fact, treatment-resistant cases of Crohn’s disease respond quite well to fiber-free diets and can be prescribed to promote remission in 60% to 85% of cases. The mechanism is thought to be related to changes in the gut microbes, such as the intestinal pathobiont Mucispirillum, as reported in the journal 《Cell Host & Microbe》.
Case Report: Our case report (not an RCT) on the carnivore diet also showed that 10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went into complete remission, indicating that they benefited greatly from a diet that excludes fiber.
Conclusion: It May Be an Oversimplification to Claim Dietary Fiber Is the ‘Be-all and End-all’ for Gut Health.
The truth about dietary fiber is that it is not inherently good or bad; it depends on context and individual response. That is, your N=1 story, your N=1 microbiome, is what matters. The approach to gut health can never be a one-size-fits-all. It is time to objectively reassess whether the fiber you are currently consuming is truly benefiting your gut health or, conversely, is inducing an inflammatory response.
Reference
1. Inflammatory Response | Van der Hee, M. et al. |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 2024 | Showed in an animal model that a diet including inulin fiber promoted inflammatory ILC2 cells and eosinophil accumulation, exacerbating intestinal inflammation. Suggests that changes in microbial metabolites (e.g., bile acids) induced by dietary fiber can drive inflammatory pathways. |
2. Fiber-Free Diet Diversity | Stojiljkovic, M. et al. | ScienceOpen | 2024 | A single case study analyzing the microbiome of a healthy male on a Carnivore Diet for four years. It showed no difference in diversity (alpha or beta) compared to controls, suggesting diversity can be maintained without fiber. |
3. Low-Fiber & SCFA | Grzelak-Zieba, E. et al. | Roczniki Państwowego Zakładu Higieny | 2022 | Reported that a Ketogenic Diet (KD) did not decrease SCFA (including butyrate) levels, suggesting that pathways other than fiber fermentation (e.g., ketone bodies) can contribute to maintaining gut health. |
4. Plant-Based Diversity Drop | David, L.A. et al. | News-Medical.net (Reporting on 2025 Cell paper) | 2025 | Reported that in a study testing an extremely simplified diet (oatmeal-based), overall microbiome diversity significantly dropped despite increased fiber intake, suggesting diversity relates to diet complexity. |
5. Fiber-Free Diet & Crohn’s | Liu, X. et al. | Cell Host & Microbe | 2024 | In a Crohn’s disease (CD) animal model, a fiber-free diet (EEN) inhibited inflammation by altering the location of the gut bacterium Mucispirillum and inducing remission. |
Export to Sheets
食物繊維に対する誤解:腸の健康に必須という通念、科学的に再考すべき時(2025年最新論文根拠)
読者の皆様、こんにちは。今日は、長らく「正解」として受け入れられてきた食物繊維の真実について、深く議論したいと思います。私たちは何年もの間、食物繊維が腸の健康に不可欠であり、繊維質がなければマイクロバイオームは崩壊すると聞いてきました。
しかし、食物繊維がすべての人に等しく有益ではなく、場合によっては全く必要ではないとしたらどうでしょうか? 食物繊維の真実は、単に「良い」か「悪い」かを超え、はるかに複雑で興味深いものです。この記事は、最新の科学的データを引用し、繊維質と炎症、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短鎖脂肪酸に関する議論の核心を詳細に扱い、議論をさらに一歩進めることを目指します。
最初の誤解:食物繊維は普遍的な抗炎症食品でしょうか?
一部の専門家は、繊維質が豊富な食品には抗炎症効果があると主張しますが、この主張はすべての人に当てはまるとは限りません。
炎症反応者(Inflammatory Responders)の存在を明らかにした《Cell》誌の研究
権威ある無作為化比較対照試験(RCT)の結果が学術誌《Cell》に発表されました。この画期的な研究は、一部の人々において食物繊維が逆に親炎症性(pro-inflammatory)反応を引き起こす炎症反応者の存在を明らかにしました。
論文によれば、「これらのデータは、高繊維質の介入に対する免疫システムの異なる反応を示唆しており、高炎症参加者は定常状態の免疫活性化、すなわち炎症の広範な増加を示した」とのことです。
多様性との関係: 幸い、これは参加者の大多数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が、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が低い人々が、繊維質に対して炎症反応を示す傾向があったことは注目に値します。これは、マイクロバイオームを訓練し、繊維質に対してより健康的で抗炎症的な反応を示すようにするためのプロトコルが存在する可能性という仮説を提起します。
発酵食品の比較優位性
それでも、一部の人々は食物繊維に対して親炎症性の反応を示し、これは慢性疾患を悪化させたり、腸疾患を引き起こしたり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この論文のもう一つの重要な発見は、発酵食品が繊維質よりもはるかに普遍的に抗炎症効果を示したという点です。したがって、炎症の軽減を目指すのであれば、ブロッコリーのような繊維質中心の食品よりも、キムチのような発酵食品に集中する方が実用的なアプローチかもしれません。(発酵食品の効能に関する詳細は [リンク挿入]をご参照ください。)
二番目の誤解:繊維質がなければ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は崩壊するのでしょうか?
一般的に、食物繊維の除去が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を減少させ、多様性が良好な腸の健康の指標であるという主張がなされます。これは一般的な推測ですが、より深いニュアンスが存在します。
腸内微生物は繊維質だけを食べてい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
腸内微生物は繊維質以外にも多様なものを食べて生きていくことができ、低繊維質食が必ずしも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減少につなが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
4年間の肉食主義食の事例: 印象的な単一事例研究(Case Study)は、4年間肉食主義(Carnivore)食を維持した男性のマイクロバイオームを、雑食および植物ベースの食生活を送る人々と比較しました。驚くべきことに、この肉食主義者の腸マイクロバイオームは、アルファまたはベータ多様性の観点から他のグループと比較して、豊かさや多様性の不足を示しませんでした。研究は、「肉食主義食の順守が腸内マイクロバイオームに有害な変化を引き起こさない」と結論付けており、これは4年間繊維質を完全に除去してもマイクロバイオームが飢餓状態にならないという重要な根拠を示しています。
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が高いことが常に良いわけではありません。
より高い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が常に優れているという通念も覆されつつあります。
2025年《Cell》誌最新研究: 2025年に**《Cell》誌に発表された研究では、産業化された環境に住む人々の腸マイクロバイオームを、非産業化された食生活パターン(主に豆、サツマイモ、米、野菜などの植物ベースの炭水化物中心)で回復させようと試みました。皮肉なことに、この植物ベースの炭水化物が豊富な食事が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を減少させました。それにもかかわらず、体重減少や炎症マーカーの改善**を含むいくつかの心臓代謝上の利益が観察されました。
核心的要点: 低繊維質食、さらには無繊維質食であっても必ずしも多様性を減少させるわけではなく、マイクロバイオームの多様性が高いことが必ずしもより良い健康と同義ではないという点を心に留めておく必要があります。
三番目の誤解:低繊維質食は短鎖脂肪酸(SCFAs)を減少させるのでしょうか?
低繊維質食に対するもう一つの批判は、繊維質の細菌発酵産物である有益な化合物、短鎖脂肪酸(Short-Chain Fatty Acids, SCFAs)のレベルを減少させるというものです。SCFAsは腸の健康に不可欠な物質として知られています。しかし、ヒトのデータと生理学を考慮すると、この話は再び進化します。
2024年RCTの結果:SCFAレベルに変化なし
2024年無作為化比較対照試験(RCT)は、低繊維質ケトン生成食(Ketogenic diet)を12週間摂取したグループと、高繊維質食を摂取したグループを比較しました。結果として、ケトン生成食を摂取したグループでも、主要なSCFAである酪酸(Butyrate)を含む短鎖脂肪酸のレベルは減少しませんでした。
ケトン体と酪酸の機能的な重複
さらに、ケトン体であるベータ-ヒドロキシ酪酸(Beta-hydroxybutyrate)は、酪酸と構造的・機能的な重複があります。仮にケトン生成食で酪酸レベルが減少したとしても(この研究ではそう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が)、Beta-hydroxybutyrateは腸内を覆う細胞にエネルギーを供給したり、重要な細胞表面受容体を刺激したりするなど、酪酸が果たす多くの機能を代行することができます。
結論: 低繊維質、低炭水化物食が必ずしも短鎖脂肪酸レベルを減少させるとは言えず、これは腸の健康を維持する経路が繊維質の発酵以外にも存在することを示唆しています。
四番目の真実:繊維質の除去が治療的になり得る場合
人それぞれの状況は異なり、一部の人々は繊維質の削減、または完全な繊維質の除去によって実際に恩恵を受ける可能性のある重度の消化器疾患を抱えています。
便秘型過敏性腸症候群(IBS-C)
広く知られた報告によると、便秘型IBS(IBS-C)の患者の一部においては、繊維質摂取を完全に中止した人々が排便頻度の増加と、腹部膨満およびいきみ症状の100%排除という著しい改善を見せました。これは繊維質が腸内発酵を促進し、症状を悪化させる可能性があるためです。
炎症性腸疾患(IBD)
炎症性腸疾患(IBD)の患者にとって繊維質の除去は有益である可能性があります。
クローン病の寛解: 実際、治療抵抗性のクローン病の症例は、無繊維質食に非常によく反応し、症例の60%から85%で寛解(remission)を促進するために処方されることがあります。そのメカニズムは、腸内病原共生菌である Mucispirillum のような腸内微生物の変化と関連していることが、学術誌**《Cell Host & Microbe》**に報告されています。
事例報告: 肉食主義食に関する私たちの事例報告(RCTではありません)でも、10人の炎症性腸疾患患者が完全寛解に入りました。これは、彼らが繊維質を含まない食事から大きな恩恵を受けたことを示しています。
結論:腸の健康を考えるとき、食物繊維が「万能薬」だと主張するのは行き過ぎた単純化かもしれません。
食物繊維の真実は、繊維質が本質的に良いか悪いかではなく、文脈と個人の反応に依存するということです。つまり、あなたのN=1のストーリー、あなたのN=1のマイクロバイオームこそが重要なのです。腸の健康へのアプローチは、決して単一の解決策(one-size-fits-all)ではあり得ません。今摂取している繊維質が、あなたの腸の健康に真に役立っているのか、あるいは逆に炎症反応を引き起こしていないのかを、客観的な視点から再考する時が来ています。
論文
1. 炎症反応 | Van der Hee, M.ら |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 2024年 | 動物モデルで、イヌリン繊維を含む食事が炎症性ILC2細胞を促進し、好酸球の蓄積を引き起こし、腸炎症を悪化させることを示しました。食物繊維による微生物代謝産物の変化(胆汁酸など)が炎症経路を誘導する可能性を示唆します。 |
2. 無繊維質食の多様性 | Stojiljkovic, M.ら | ScienceOpen | 2024年 | 4年間肉食主義食を続けた健康な男性のマイクロバイオームを分析した単一事例研究。一般対照群と比較して多様性に違いがないことを示し、繊維質がなくても多様性が維持され得ることを示唆します。 |
3. 低繊維質とSCFA | Grzelak-Zieba, E.ら | Roczniki Państwowego Zakładu Higieny | 2022年 | **ケトン生成食(KD)がSCFA(酪酸を含む)**レベルを減少させないと報告しており、繊維質の発酵以外の経路(例:ケトン体)が腸の健康維持に寄与し得ることを示唆しています。 |
4. 植物性食品と多様性低下 | David, L.A.ら | News-Medical.net (2025年 Cell 論文報道) | 2025年 | 極度に単純化された食事(オートミールベース)の研究で、繊維質摂取が増加したにもかかわらず、全体のマイクロバイオーム多様性が有意に減少したと報道。多様性が食事の複雑さと関連することを示唆します。 |
5. 無繊維質食とクローン病 | Liu, X.ら | Cell Host & Microbe | 2024年 | クローン病(CD)の動物モデルで、**無繊維質食(EEN)**が腸内細菌 Mucispirillum の位置を変更することで炎症を抑制し、**寛解(remission)**を誘導するメカニズムを明らかにしました。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