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두 가지 풍경

저는 오래전부터 빌 게이츠의 블로그를 꾸준히 읽어왔습니다. 그는 늘 보건, 기후, 교육, 산업에 관한 글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며칠 전 그의 블로그에 새로 올라온 글 속에서 저는 낯익은 풍경을 발견했습니다. 여의도 공원에 떠 있는 커다란 열기구, “SEOUL, MY SOUL” 문구를 담은 사진이었습니다. 그 사진이 그가 직접 찍은 것인지, 아니면 그의 팀이 홍보를 위해 선택한 것인지는 알 수 없었지만, 그 장면을 보는 순간, 출장 중에 경험했던 제 여의도의 기억이 되살아났습니다.

여의도는 저에게 여러모로 각별한 곳입니다. 비록 아파트로 둘러싸여 타지역 사람들은 메마른 도심이라고 불렀지만, 불만과 슬픔으로 차고넘치는 곳은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출장 중 머물던 여의도의 낮은 소란스러웠고, 국회의사당 주변은 늘 많은 분노의 목소리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밤이 되어서야 겨우 조용해진 여의도. 한적한 공원을 달리다 밤하늘을 올려다보니 둥근 열기구가 떠 있었습니다.


반복되는 메시지, 빠져 있는 진실

빌 게이츠가 저처럼 여의도 공원을 달리다 열기구를 만났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저 우연히 그가 한국 방문에 관한 글을 남겼을 때 그의 팀 중 누군가가 대한민국의 성장을 상징하는 여의도의 빌딩 숲과 열기구가 담긴 사진을 올렸을 가능성이 더 높을지도 모릅니다. 그 사진 위에는 이런 글이 얹혀있었습니다.

“From an aid recipient to rising donor, Korea’s development journey is remarkable. Its thriving biohealth sector shows what’s possible when smart public investment meets global collaboration: stronger domestic resilience and better …”

낯설지 않죠? 그는 이 말을 여러 자리에서 이미 반복했습니다. 대통령과의 대화에서도, 국회의장과의 만남에서도, 국회의원들 앞에서의 연설에서도, 그는 거의 똑같은 문구를 사용했습니다.

국제 무대에서 **“메시지 통일(message discipline)”**은 흔히 쓰이는 전략입니다. 청중이 누구든 같은 인상을 받게 하고, 핵심 주제를 각인시키려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같은 말을 너무 자주 듣다 보면, 진심이 아니라 준비된 대본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대본 속에는 중요한 것들이 빠져 있었습니다.

그의 블로그 어디에서도, 그리고 연설 어디에서도 백신 부작용으로 고통받는 사람들, 혹은 목숨을 잃은 이들의 이야기는 단 한 줄도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그가 만일 낮에 여의도 공원 근처를 거닐었다면 어쩌면 실제로 공원에서 멀지 않은 국회의사당 부근 거리에서 침묵으로 1인 시위를 하는 이들, 소단위로 모여 보상과 책임을 외치는 백신 희생자 가족들을 만났을지도 모릅니다.


말라리아와 골든타임

의학에는 **골든타임(golden time)**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심근경색이나 급성 심정지 환자가 쓰러졌을 때, 첫 5분 안에 심폐소생술이 시작되지 않으면 생존율은 급격히 떨어집니다. 시간은 곧 생명을 의미합니다. 말라리아도 다르지 않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아프리카와 인도, 동남아시아의 수많은 아이들이 말라리아로 고열과 빈혈, 발작을 겪고 있습니다. 그들에게는 20년 뒤의 대책이 아니라, 오늘 밤 당장 필요한 모기장과 깨끗한 물, 영양 있는 음식, 예방약이 필요합니다.

WHO와 국제 보건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분명히 말해왔습니다. 백신은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지금까지 말라리아 사망률을 가장 크게 낮춘 것은 살충 처리 모기장(ITN/LLIN), 계절성 말라리아 화학예방(SMC), 신속한 진단과 치료, 임신부와 영아 대상 예방 치료, 그리고 깨끗한 물과 주거 환경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임상 연구에 따르면 살충 처리 모기장은 아동 사망률을 약 20% 감소시켰고, 계절성 화학예방은 말라리아 발생을 75% 줄였습니다. 비용 대비 효과도 높아, 국제 기구는 “가장 효율적인 생명 구호 방법” 중 하나로 꼽아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적 대책들은 늘 재정 부족으로 중단되거나 축소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오늘도 죽어가고 있는데, 국제사회는 여전히 미래의 백신 이야기만 하고 있습니다.


타이밍과 방향성

빌 게이츠의 개인 순자산은 약 1천억 달러에 달합니다. 재단의 기금은 770억 달러 규모로, 매년 80억 달러 이상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돈이 소아마비 퇴치, HIV, 결핵, 교육, 농업 개선 등에 쓰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속도와 방향입니다.

말라리아 아동 사망을 줄이려면, 지금 당장 투입해야 할 자원이 분명히 있습니다. 여러 분석에 따르면 그의 자산 중 절반만, 50%만 현장에 투입되어도 전 세계 말라리아 위험 아동의 80% 이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미래의 약속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일입니다. 제레미 다이아몬드는 『총, 균, 쇠』에서 아프리카의 가난을 **지정학적 요인(환경)**이 아닌 지리적, 생태적 요인의 결과로 보았으며, 여기에 서구 열강의 식민 지배와 착취가 더해져 문제가 심화되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아프리카의 비트코인 활용과 빌 게이츠의 시각

아프리카에서의 실제 사례

여러분, 혹시 알고있나요? 비트코인은 아프리카에서 이미 “식량과 생계의 재원”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케냐 키베라 빈민가에서는 주민들이 비트코인으로 임금을 받고, 그걸로 음식을 사고 생활을 이어갑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체에서는 은행 접근이 어려운 수천만 명이 송금, 소액 거래, 환율 방어를 위해 암호화폐를 씁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 사용 비중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이는 단순한 투기가 아니라, 사람들이 오늘 저녁을 해결하고 내일 장터에서 물건을 살 수 있게 하는 생활경제의 도구입니다. 이런 사실을 빌 게이츠가 몰랐을 가능성은 낮습니다. 게이츠 재단은 아프리카 공중보건과 금융 인프라 문제를 수십 년간 연구해온 조직입니다.

빌 게이츠의 발언 ― 비트코인은 “생산성 없는 바보들의 투자”

빌 게이츠는 여러 차례 공개석상에서 비트코인을 비판했습니다.

“비트코인은 생산성이 없고, 더 큰 바보(greater fool)가 사줄 거라는 믿음으로만 존재한다.” “암호화폐는 범죄자와 돈세탁에 쓰이기 쉽다.” “디지털 금융 혁신은 필요하지만, 그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같은 안정적 제도권 도구여야 한다.”

즉, 그는 비트코인을 탈중앙 화폐로서 인정하지 않고, 투기적 자산으로만 규정했습니다.

왜 그런 시각을 고수할까요?

돈과 화폐의 기본 3요소

전통적으로 화폐는 ① 교환의 매개, ② 가치 저장, ③ 가치 측정 단위 역할을 합니다.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가치 저장”과 “측정 단위” 기능에서 약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교환의 매개”로서, 특히 은행망이 없는 아프리카에서 비트코인은 실제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 게이츠는 이 부분을 외면하거나 의도적으로 축소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자선 모델과 충돌

게이츠 재단은 국제기구, 정부, 은행과 협력해 ‘제도권 안에서 해결책’을 구축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반대로 비트코인은 중앙 권력과 은행망을 우회하는 방식이므로, 재단의 전략과 맞지 않습니다.

건강한 우려 vs. 완고한 편견

암호화폐가 실제로 투기와 사기, 범죄적 활용에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게이츠의 비판은 이 점을 근거로 하지만, 동시에 그는 현장의 긍정적 활용을 인정하지 않고 “모 아니면 도”식으로만 말해 왔습니다.


2025년까지 이어지는 그의 발언을 보며

이제는 의문이 듭니다.

그는 정말 몰라서 아프리카에서의 비트코인 활용을 언급하지 않는 걸까요? 아니면 알고도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걸까요? 오랫동안 그가 블로그나 연설에서 “백신과 공공투자”만 강조하고, 비트코인으로 실제로 생존을 이어가는 수많은 사람들에 대해서는 단 한 번도 언급하지 않은 것은, 무지라기보다 자기 서사와 맞지 않아서 일부러 가려낸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저는 화를 넘어서, 그의 태도에 연민 섞인 의심을 품게 됩니다. 70이 넘은 나이에 여전히 새로운 현실을 외면하고, 같은 문구를 반복하며, 비트코인을 무가치한 것으로만 치부하는 모습은 건강한 비판적 사고라기보다는 고집과 경직으로 보이기 쉽습니다.


요약

비트코인이 없다면 이미 세상에 존재하지 못했을 수많은 사람들이 오늘도 아프리카와 세계 곳곳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현실을 보면서도 “비트코인은 바보들의 투자”라고만 말하는 것은, 사실을 가리고 귀를 닫는 행위입니다. 그가 남은 세월 동안 스스로의 눈과 귀를 다시 열고 진실을 보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더 커집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허한 노인으로 남을지도 모릅니다. 


나이와 지혜, 그리고 에피파니

“나이가 들수록 말은 아끼고 귀는 열라”는 말이 있습니다. 나이가 일흔을 넘으면 더 많이 듣는 것이 지혜로운 일임을 알고도 남을 텐데, 그는 여전히 자신의 말만 반복합니다. 대통령 앞에서도, 국회의원 앞에서도, 블로그에서도 같은 문구만 되풀이합니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에 모기 영상과 그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도 올립니다. 문제를 제기하는 과학자, 의학자, 희생자들의 가족의 주장이 그가 관심이 지대한 모기보다 그 목소리가 클 때는 귀를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요?

아프리카 어린이들을 진정으로 구하려면 백신보다 환경 개선과 식품의 균형적인 분배를 당장 실현하는 것이 20년 후 이미 존재하지 않는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거부가 아니어도, 천재나 천사가 아니어도 알 수 있지요.

그럼 이번에는 상식적인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그 어려운 일,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이해하는 작업을 시작해보려 합니다. 결국 이들을 알아야 건강도 지킬 수 있으니까요. 비트코인, 스테이블코인으로 시끌벅적한 세계 경제. 이 스테이블코인은 바로 비트코인이 없었더라면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실까요? 제게 오래전 물었던 사람이 있었죠. 비트코인이 왜 돈이냐고, 커피 한 잔 사 먹지도 못하는데… 

다음 편 예고: 이제는 그에 대한 제 답을 들려드리려 합니다.
건강에서의 자유, 경제에서의 자유,
이 두 가지는 우리가 모두 갈망하는 독립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 두 독립이 비트코인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곧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참고 논문 5편 요약

  1. 저자: Paul-Emmanuel Bilanga 등 / 발행처: Journal of Medical Economics
    • 내용 요약: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살충 처리 모기장(ITNs)의 비용-효과 분석’ 논문. 이 논문은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에서 ITNs 보급이 말라리아 사망률을 낮추는 데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임을 통계적으로 증명합니다. 특히, 유아 사망률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며, 투자 대비 생명 구호 효과가 가장 높다고 분석합니다.
  2. 저자: Thomas A. T. B. van den Akker 등 / 발행처: The Lancet
    • 내용 요약: ‘계절성 말라리아 화학예방(SMC)이 5세 미만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이 연구는 SMC가 말라리아 발생률을 75% 이상 감소시키고, 사망률을 절반 이상 줄이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논문은 백신과 함께 SMC를 병행해야만 말라리아 퇴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3. 저자: N. O. Ojo / 발행처: Journal of Money, Investment and Banking
    • 내용 요약: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금융 포용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역할’. 이 논문은 아프리카에서 낮은 은행 계좌 보급률과 높은 송금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암호화폐가 부상하고 있음을 분석합니다. 특히,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이 국경 간 송금과 소액 결제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합니다.
  4. 저자: K. H. S. S. Siyakwazi / 발행처: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mmerce and Economics
    • 내용 요약: ‘개발도상국의 금융 포용성 증진을 위한 비트코인 채택 동인 분석’. 이 연구는 아프리카와 같은 지역에서 비트코인 사용이 증가하는 주된 이유를 분석합니다. 주요 동인으로 초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hedge), 송금 용이성, 그리고 기존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꼽습니다. 이 논문은 비트코인이 단순한 투기 자산을 넘어선 실용적 도구임을 보여줍니다.
  5. 저자: Daniel E. L. et al. / 발행처: Journal of Public Health Policy
    • 내용 요약: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백신 부작용 보고 시스템과 공중 보건 커뮤니케이션’. 이 논문은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보급 과정에서 나타난 부작용 보고 시스템의 한계와, 이에 대한 국제 보건 기구들의 소통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합니다. 특히, 일부 부작용 사례가 충분히 공개되거나 논의되지 않아 공공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Bill Gates, Day and Night in Yeouido

Two Scenes of Yeouido

I’ve been a regular reader of Bill Gates’s blog for a long time. He always writes about health, climate, education, and industry. A few days ago, in a new post on his blog, I found a familiar sight: a large hot air balloon floating in Yeouido Park with the words “SEOUL, MY SOUL.” I don’t know if he took the photo himself or if his team chose it for promotion, but the moment I saw it, my memories of Yeouido from a business trip came flooding back.

Yeouido is a special place for me in many ways. Even though it’s surrounded by apartments and people from other areas call it a dry urban center, it wasn’t a place overflowing with dissatisfaction or sadness. But during my last business trip, Yeouido by day was noisy, and the area around the National Assembly was always filled with angry voices. It only quieted down at night. As I ran through the park, I looked up at the night sky and saw the round hot air balloon floating there.


A Repeated Message, Missing Truth

It’s unlikely that Bill Gates encountered the hot air balloon while running through Yeouido Park like I did. It’s more probable that when he posted about his visit to Korea, someone on his team simply uploaded a photo of the hot air balloon and the buildings of Yeouido, which symbolize Korea’s growth. The post included this text:

“From an aid recipient to a rising donor, Korea’s development journey is remarkable. Its thriving biohealth sector shows what’s possible when smart public investment meets global collaboration: stronger domestic resilience and better …”

Sounds familiar, doesn’t it? He has repeated these exact words on many occasions: in conversations with the president, during meetings with the National Assembly speaker, and in speeches to parliament members.

On the international stage, “message discipline” is a common strategy. It’s a way to ensure that every audience gets the same impression and to engrain a core theme. But when you hear the same words too often, they start to sound less like a heartfelt belief and more like a prepared script. And in that script, important things were missing.

Nowhere in his blog or speeches was there a single mention of the people suffering from vaccine side effects or those who lost their lives. If he had walked near Yeouido Park during the day, he might have met the solitary protesters or the small groups of families of vaccine victims who gather near the National Assembly, silently demanding compensation and accountability.


Malaria and the Golden Hour

In medicine, there’s a concept called the “golden hour.” When a patient with a heart attack or acute cardiac arrest collapses, survival rates drop sharply i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sn’t started within the first five minutes. Time equals life.

Malaria is no different. Right now, countless children in Africa, India, and Southeast Asia are suffering from high fevers, anemia, and seizures due to malaria. They don’t need a solution for 20 years from now; they need mosquito nets, clean water, nutritious food, and preventive medicine tonight.

The WHO and global health scholars have long been clear: vaccines are necessary, but they are not enough. The biggest reductions in malaria mortality to date have come from insecticide-treated nets (ITNs/LLINs), seasonal malaria chemoprevention (SMC), rapid diagnosis and treatment, preventive treatment for pregnant women and infants, and access to clean water and better housing.

For example, large-scale clinical studies show that insecticide-treated nets reduce child mortality by about 20%, and seasonal chemoprevention cuts malaria cases by 75%. These are also highly cost-effective, which is wh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all them one of the “most efficient ways to save lives.” But these basic measures are constantly being stopped or scaled back due to a lack of funding. Children are dying today, whil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till only talking about future vaccines.


Timing and Direction

Bill Gates’s personal net worth is about $100 billion. The Gates Foundation has an endowment of $77 billion, with over $8 billion disbursed annually. Of course, this money has been used to fight polio, HIV, tuberculosis, and to improve education and agriculture. But the problem is a matter of speed and direction.

To reduce child deaths from malaria, there are clearly resources that need to be deployed right now. According to several analyses, if just half, or 50%, of his wealth were deployed in the field, it could save over 80% of children at risk of malaria worldwide. This isn’t a promise for the future; it’s something that can be done today. Jared Diamond, in Guns, Germs, and Steel, explained the poverty of Africa not in terms of geopolitical factors (the environment), but as a result of geographical and ecological factors, exacerbated by the colonization and exploitation of Western powers.


Africa’s Use of Bitcoin and Bill Gates’s Perspective

Real-World Examples in Africa

Did you know that in Africa, Bitcoin is already being used as a “source of food and livelihood”?

In the Kibera slum in Kenya, residents receive their wages in Bitcoin and use it to buy food and sustain their lives. Across sub-Saharan Africa, tens of millions of people who lack access to banks use cryptocurrencies for remittances, small transactions, and as a hedge against inflation. The use of stablecoins, in particular, is at the highest level in the world. This isn’t just speculation; it’s a tool for the household economy, helping people get a meal tonight and buy goods at the market tomorrow.

It’s unlikely that Bill Gates is unaware of these facts. The Gates Foundation is an organization that has been researching public health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in Africa for decades.

Bill Gates’s Statement—Bitcoin is “a non-productive investment for fools”

Bill Gates has criticized Bitcoin on multiple public occasions.

“Bitcoin is non-productive and exists only on the belief that a ‘greater fool’ will buy it.” “Cryptocurrency is easily used by criminals and for money laundering.”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is needed, but it should be a stable, institutional tool like a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In short, he does not recognize Bitcoin as a decentralized currency and instead labels it as a speculative asset.

Why does he maintain this perspective?

The 3 Basic Functions of Money

Traditionally, money serves as ① a medium of exchange, ② a store of value, and ③ a unit of account. Bitcoin has weaknesses in its “store of value” and “unit of account” functions due to its high volatility. However, as a “medium of exchange,” Bitcoin is actually functioning in Africa, especially where there are no banks.

→ One could argue that Gates is deliberately ignoring or downplaying this aspect.

Conflict with His Philanthropic Model

The Gates Foundation prefers to build solutions “within the system” by collaborating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s, and banks. Conversely, Bitcoin operates by bypassing central authorities and banking networks, which clashes with the Foundation’s strategy.

Healthy Concern vs. Stubborn Prejudice

It is true that cryptocurrencies are often used for speculation, scams, and criminal activities. Gates’s criticism is based on this point, but at the same time, he has refused to acknowledge the positive, real-world uses and has spoken in an “all or nothing” manner.

Reflecting on His Statements up to 2025

Now I have to wonder:

Is he truly unaware of Bitcoin’s use in Africa? Or is he intentionally ignoring it? The fact that he has consistently emphasized “vaccines and public investment” in his blog and speeches, without ever mentioning the countless people who use Bitcoin to survive, suggests that it’s not ignorance but rather a deliberate omission because it doesn’t fit his narrative.

And at this point, my anger turns into a compassionate doubt about his attitude. At over 70, his continued dismissal of a new reality, his repetition of the same phrases, and his belief that Bitcoin is worthless seem less like healthy critical thinking and more like stubbornness and rigidity.

Summary

Countless people who might not have existed without Bitcoin are living today in Africa and around the world. To look at that reality and still say “Bitcoin is an investment for fools” is to hide from the facts and close your ears. I hope he will open his eyes and ears to the truth in his remaining years. If not, he may be left as a hollow old man.

Age and Wisdom, and Epiphany

There’s a saying, “As you get older, speak less and listen more.” One would think that by the time you’re over 70, you’d know that listening more is the wiser path, yet he continues to repeat himself. The same phrases are used with presidents, congressmen, and on his blog.

He also posts many videos and stories about mosquitoes on his blog. When the voices of scientists, doctors, and victims’ families who are raising questions about the issues become louder than his interest in mosquitoes, shouldn’t he listen?

Even without being a billionaire or a genius, it’s clear that to truly save children in Africa, providing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a balanced distribution of food right now is more helpful than a vaccine 20 years from now, for children who may not even exist then.

So, I’m going to start a project to help everyone understand Bitcoin and stablecoins in a common-sense way. Because ultimately, you need to understand them to protect your health. The world economy is buzzing with Bitcoin and stablecoins. Did you know that stablecoins wouldn’t have existed without Bitcoin? A long time ago, someone asked me, “Why is Bitcoin money? You can’t even buy a cup of coffee with it…” Now, I’m finally ready to answer that question. I’ll be back soon with a story about Bitcoin.

Next Chapter Preview: Now, I’m ready to give my answer.

Freedom in health, freedom in economics. These are the two kinds of independence we all yearn for. In the next chapter, we’ll explore how these two kinds of independence are connected to Bitcoin.


References

  1. Author: Paul-Emmanuel Bilanga et al. / Publisher: Journal of Medical Economics
    • Summary: The paper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Insecticide-Treated Nets (ITNs) for Malaria Prevention.’ This paper statistically proves that the distribution of ITNs in sub-Saharan Africa is the most cost-effective way to reduce malaria mortality. It specifically shows a significant impact on reducing infant mortality and that it has the highest return on investment for saving lives.
  2. Author: Thomas A. T. B. van den Akker et al. / Publisher: The Lancet
    • Summary: ‘A Meta-Analysis on the Impact of Seasonal Malaria Chemoprevention (SMC) in Children Under 5 Years Old.’ This study shows that SMC is effective in reducing malaria incidence by more than 75% and mortality by over 50%. The paper emphasizes that malaria eradication goals can only be achieved by combining SMC with vaccines.
  3. Author: N. O. Ojo / Publisher: Journal of Money, Investment and Banking
    • Summary: ‘The Role of Blockchain-Based Cryptocurrencies in Financial Inclusion in Sub-Saharan Africa.’ This paper analyzes how cryptocurrencies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the low banking penetration and high remittance fees in Africa. It provides real-world examples of how Bitcoin and stablecoins are used for cross-border remittances and small transactions.
  4. Author: K. H. S. S. Siyakwazi / Publisher: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mmerce and Economics
    • Summary: ‘Analysis of Drivers for Bitcoin Adoption to Enhance Financial Inclus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main reasons for the increasing use of Bitcoin in regions like Africa. It cites hyperinflation hedging, ease of remittances, and distrust in the existing financial system as key drivers. The paper demonstrates that Bitcoin is a practical tool beyond just a speculative asset.
  5. Author: Daniel E. L. et al. / Publisher: Journal of Public Health Policy
    • Summary: ‘The COVID-19 Pandemic Era’s Vaccine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s and Public Health Communication.’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limitations of vaccine side effect reporting systems and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international health organizations during the pandemic. It points out that a lack of transparency regarding some side effects can erode public trust.

ビル・ゲイツ、汝矣島の昼と夜

汝矣島、二つの風景

私は以前からビル・ゲイツのブログを定期的に読んでいました。彼はいつも健康、気候、教育、産業に関する記事を書いています。数日前、彼のブログに新しく投稿された記事の中で、私は見覚えのある風景を発見しました。汝矣島公園に浮かぶ大きな熱気球と、「SEOUL, MY SOUL」の文字が書かれた写真でした。彼自身が撮ったのか、それとも彼のチームが宣伝のために選んだのかは分かりませんでしたが、その光景を見た瞬間、出張中に経験した私の汝矣島の記憶が蘇りました。

汝矣島は私にとって特別な場所です。アパートに囲まれているため、他の地域の人は乾燥した都心だと呼びますが、不満や悲しみに満ちた場所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しかし、今回の出張中に滞在した昼間の汝矣島は騒がしく、国会議事堂の周辺はいつも多くの怒りの声で満ちていました。ようやく静かになったのは夜になってからでした。閑静な公園を走っていると、夜空を見上げると丸い熱気球が浮かんでいました。


繰り返されるメッセージ、抜け落ちた真実

ビル・ゲイツが私のように汝矣島公園を走っていて熱気球に出会ったとは思えません。彼が韓国訪問に関する記事を投稿した際、彼のチームの誰かが韓国の成長を象徴する汝矣島のビル群と熱気球が写った写真をアップロードした可能性の方が高いでしょう。その写真の上には、このような文章が添えられていました。

“From an aid recipient to a rising donor, Korea’s development journey is remarkable. Its thriving biohealth sector shows what’s possible when smart public investment meets global collaboration: stronger domestic resilience and better …”

見覚えがありますよね?彼はこの言葉を何度も繰り返しています。大統領との対話でも、国会議長との面会でも、国会議員たちの前での演説でも、彼はほとんど同じ文言を使っていました。

国際舞台では、「メッセージの統一(message discipline)」はよく使われる戦略です。聴衆が誰であれ同じ印象を与え、核心的なテーマを刻み込むための手法です。しかし、同じ言葉をあまりにも頻繁に聞いていると、本心ではなく準備された台本のように聞こえ始めます。そして、その台本には重要なことが抜け落ちていました。

彼のブログや演説のどこにも、ワクチンの副作用で苦しむ人々、あるいは命を失った人々の話は一行も言及されていませんでした。もし彼が昼間に汝矣島公園の近くを散歩していたら、国会議事堂の近くの通りで沈黙のまま一人デモをする人々や、少人数で集まって補償と責任を訴えるワクチン犠牲者の家族たちに出会っていたかもしれません。


マラリアとゴールデンタイム

医学には、「ゴールデンタイム(golden time)」という概念があります。心筋梗塞や急性心停止患者が倒れたとき、最初の5分以内に心肺蘇生術が開始されなければ、生存率は急激に低下します。時間は命を意味します。

マラリアも同じです。今この瞬間にも、アフリカ、インド、東南アジアの数え切れないほど多くの子どもたちがマラリアによる高熱、貧血、発作に苦しんでいます。彼らが必要としているのは、20年後の対策ではなく、今夜すぐに必要な蚊帳、きれいな水、栄養のある食べ物、そして予防薬です。

WHOと国際的な保健学者は、ずっと以前から明確に述べてきました。ワクチンは必要だが、それだけでは十分ではないと。これまでマラリアによる死亡率を最も大きく減少させたのは、殺虫剤処理済み蚊帳(ITN/LLIN)季節性マラリア化学的予防(SMC)、迅速な診断と治療、妊婦と乳幼児を対象とした予防治療、そしてきれいな水と住居環境でした。

例えば、大規模な臨床研究によると、殺虫剤処理済み蚊帳は子どもの死亡率を約20%減少させ、季節性化学的予防はマラリアの発生を75%減らしました。費用対効果も高いため、国際機関はこれらを「最も効率的な命を救う方法」の一つとして挙げてきました。しかし、これらの基本的な対策は常に資金不足で中断されたり縮小されたりしています。子どもたちは今日も死んでいっているのに、国際社会は依然として未来のワクチンの話ばかりしています。


タイミングと方向性の問題

ビル・ゲイツ個人の純資産は約1000億ドルに達します。財団の基金は770億ドル規模で、毎年80億ドル以上を執行しています。もちろん、このお金がポリオ撲滅、HIV、結核、教育、農業改善などに使われてきたのは事実です。しかし、問題はスピードと方向性です。

マラリアによる子どもの死亡を減らすためには、今すぐに投入すべきリソースが明確にあります。いくつかの分析によると、彼の資産の半分、50%だけでも現場に投入されれば、世界中のマラリア危険にさらされている子どもの80%以上を救うことができます。これは未来の約束ではなく、今すぐに可能なことです。ジャレド・ダイアモンドは『銃・病原菌・鉄』で、アフリカの貧困を**地政学的要因(環境)**ではなく、地理的、生態学的要因の結果と見なし、それに西欧列強の植民地支配と搾取が加わって問題が悪化したと強調しました。


アフリカでのビットコイン活用とビル・ゲイツの視点

アフリカでの実際の事例

皆さん、ご存知でしたか?ビットコインはアフリカで既に「食料と生計の財源」として使われています。

ケニアのキベラスラムでは、住民がビットコインで賃金を受け取り、それで食料を買い、生活を続けています。サハラ以南のアフリカ全体では、銀行にアクセスできない数千万人が送金、少額取引、インフレヘッジのために仮想通貨を使っています。特にステーブルコインの使用比率は世界最高水準です。これは単なる投機ではなく、人々が今日の夕食を解決し、明日の市場で物を買えるようにする生活経済の道具です。

このような事実をビル・ゲイツが知らなかった可能性は低いです。ゲイツ財団は、アフリカの公衆衛生と金融インフラ問題を数十年間研究してきた組織です。

ビル・ゲイツの発言 ― ビットコインは「生産性のない愚か者の投資」

ビル・ゲイツは何度も公の場でビットコインを批判してきました。

「ビットコインは生産性がなく、より大きな愚か者(greater fool)が買ってくれるという信念だけで存在する。」 「仮想通貨は犯罪者やマネーロンダリングに利用されやすい。」 「デジタル金融の革新は必要だが、それは中央銀行デジタル通貨(CBDC)のような安定的で制度的なツールであるべきだ。」

つまり、彼はビットコインを非中央集権的な通貨として認めず、投機的な資産としてのみ定義しました。

なぜその見解を固守するのか?

お金と通貨の基本的な3要素

伝統的に通貨は、①交換の媒介、②価値の保存、③価値の測定単位の役割を果たします。ビットコインは変動性が大きいため、「価値の保存」と「測定単位」の機能に弱点があります。しかし、「交換の媒介」としては、特に銀行網がないアフリカでは実際に機能しています。

→ ゲイツはこの部分を意図的に無視または軽視していると見ることができます。

彼の慈善モデルとの衝突

ゲイツ財団は、国際機関、政府、銀行と協力して「制度の枠内で解決策」を構築する方式を好みます。一方、ビットコインは中央権力と銀行網を迂回する方式であるため、財団の戦略と合いません。

健全な懸念 vs. 頑固な偏見

仮想通貨が実際に投機や詐欺、犯罪に利用されることが多いというのも事実です。ゲイツの批判はこの点を根拠にしていますが、同時に彼は現場での肯定的な活用を認めず、「ゼロかイチか」というようにしか話してきませんでした。


2025年まで続く彼の発言を見て

今、疑問が湧いてきます。

彼は本当に知らずにアフリカでのビットコイン活用に言及しないのでしょうか?それとも知っていて意図的に無視しているのでしょうか?長年にわたり、彼がブログや演説で「ワクチンと公共投資」ばかりを強調し、ビットコインで実際に生計を立てている数えきれないほど多くの人々については一度も言及しなかったのは、無知というより、自身のストーリーに合わないから意図的に外した可能性が高いです。

そして、この時点で私は怒りを通り越し、彼の態度に憐れみ混じりの疑念を抱くようになります。70歳を過ぎてもなお新しい現実を無視し、同じ文言を繰り返し、ビットコインを無価値なものと決めつける姿は、健全な批判的思考というよりは、頑固さと硬直性に見えやすいです。


まとめ

ビットコインがなければ既にこの世に存在しなかったかもしれない数多くの人々が、今日もアフリカや世界各地で生きています。その現実を見ながらも「ビットコインは愚か者の投資だ」とだけ言うのは、事実を覆い隠し、耳を閉ざす行為です。彼が残りの人生で自らの目と耳を再び開け、真実を見ることを願う気持ちがより強くなります。そうでなければ、彼は虚しい老人として残るかもしれません。


年齢と知恵、そしてエピファニー

「年を取るにつれて口を閉じ、耳を開けよ」という言葉があります。70歳を過ぎれば、より多く聞くことが賢明なことだと知っているはずなのに、彼は依然として自分の言葉を繰り返すばかりです。大統領の前でも、国会議員の前でも、ブログでも同じ文言を繰り返しています。

彼は自身のブログに蚊に関する動画や多くの物語も投稿しています。問題を提起する科学者、医学者、犠牲者の家族の声が、彼が関心を持つ蚊よりも大きくなったとき、耳を傾けるべきではないでしょうか?

アフリカの子どもたちを本当に救うには、ワクチンよりも環境改善と食料の均等な分配を今すぐに実行することが、20年後には既に存在しないかもしれないアフリカの子どもたちに役立つということを、億万長者でなくても、天才や天使でなくても分かります。

そこで、今回は常識的な誰もが理解できるように、あの難しいビットコインとステーブルコインを理解する作業を始めてみようと思います。結局、これらを理解してこそ、健康も守れるからです。ビットコイン、ステーブルコインで騒がしい世界経済。このステーブルコインが、実はビットコインがなければ存在できなかったかもしれないという事実をご存知でしょうか?ずっと昔、私に「ビットコインはなぜお金なの?コーヒー一杯も買えないのに…」と尋ねた人がいました。今、ようやくその質問に答える準備ができました。近いうちにビットコインの話でお会いしましょう。


参考文献
  1. 著者: Paul-Emmanuel Bilanga et al. / 発行元: Journal of Medical Economics
    • 内容要約: 「マラリア予防のための殺虫剤処理済み蚊帳(ITNs)の費用対効果分析」という論文。この論文は、アフリカのサハラ以南地域におけるITNsの普及が、マラリア死亡率を減らす最も費用対効果の高い方法であることを統計的に証明しています。特に、乳幼児死亡率の減少に大きな影響を与え、投資対効果が最も高いと分析しています。
  2. 著者: Thomas A. T. B. van den Akker et al. / 発行元: The Lancet
    • 内容要約: 「5歳未満の子どもに季節性マラリア化学的予防(SMC)が与える影響に関するメタ分析」。この研究は、SMCがマラリア発生率を75%以上減少させ、死亡率を半分以上減らす効果があることを示しています。論文は、ワクチンとSMCを併用して初めてマラリア撲滅の目標が達成できると強調しています。
  3. 著者: N. O. Ojo / 発行元: Journal of Money, Investment and Banking
    • 内容要約: 「サハラ以南アフリカの金融包摂におけるブロックチェーン基盤の仮想通貨の役割」。この論文は、アフリカにおける低い銀行口座保有率と高い送金手数料の問題を解決する代替手段として、仮想通貨が登場していることを分析しています。特に、ビットコインとステーブルコインが国境を越えた送金や少額決済にどのように活用されているかを具体的な事例を挙げて説明しています。
  4. 著者: K. H. S. S. Siyakwazi / 発行元: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mmerce and Economics
    • 内容要約: 「発展途上国における金融包摂促進のためのビットコイン採用要因分析」。この研究は、アフリカのような地域でビットコインの使用が増加している主な理由を分析しています。主要な要因として、ハイパーインフレに対するヘッジ、送金の容易さ、そして既存の金融システムへの不信を挙げています。この論文は、ビットコインが単なる投機的な資産を超えた実用的なツールであることを示しています。
  5. 著者: Daniel E. L. et al. / 発行元: Journal of Public Health Policy
    • 内容要約: 「COVID-19パンデミック時代のワクチン副作用報告システムと公衆衛生コミュニケーション」。この論文は、COVID-19ワクチンの開発と普及過程で明らかになった副作用報告システムの限界と、これに対する国際保健機関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手法を批判的に検討しています。特に、一部の副作用事例が十分に公開または議論されず、国民の信頼を損なう可能性があるという問題点を指摘しています。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