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이 태어나서 가장 먼저 접하는 분유. 그리고 성장기 내내 먹는 이유식, 어린이 간식까지, 우리는 알게 모르게 수입 분유와 그 원료를 포함한 수많은 초가공식품을 소비합니다. 이러한 식습관 속에 우리 몸의 건강을 조용히 파괴하는 **AGEs(최종당화산물)**라는 숨겨진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은 가히 충격적입니다. 그럼 이번 글에서는 분유 AGEs의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


AGEs(최종당화산물): 조용한 혈관 파괴자, 아기부터 시작되는 숨겨진 위험

**AGEs(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는 단백질이나 지질이 과잉의 당, 특히 혈당과 결합하여 비정상적으로 생성되는 당화 산물입니다. 그리고 이 유해 물질은 단순히 노화 과정에서만 발생하지 않습니다. 더불어 현대인의 식단, 특히 아기의 분유와 어린 시절부터 노출되는 특정 식품들은 AGEs 생성을 가속화하여 만성 질환의 씨앗을 뿌린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AGEs는 우리 몸의 단백질, 지질, 핵산 등이 환원당과 비효소적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복합 화합물입니다. 그리고 이 ‘당화’ 과정은 효소 도움 없이 자발적으로 일어납니다. 이처럼 생성된 AGEs는 세포 기능을 손상시키고 조직의 경직성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증폭시키는 등 다양한 병리적 증상을 나타냅니다. 특히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에 심각한 손상을 입혀 동맥경화증, 고혈압, 신부전, 신경병증, 망막병증 등 노화 관련 질환 및 당뇨병 합병증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이와 같이 AGEs는 광범위하게 우리 몸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AGEs 형성의 두 가지 경로: 외부와 내부

AGEs 형성은 두 가지 경로에서 일어납니다. 첫째, 음식 조리 시 외부에서 형성되는 경우(Exogenous AGEs)입니다. 고온, 건열 조리 방식인 튀기기, 굽기, 볶기, 오븐 구이 등은 식품 내의 당과 단백질/지질이 반응하여 다량의 AGEs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바삭하게 구운 고기와 생선, 튀긴 감자, 갈색으로 변한 빵 껍질, 과자, 단백질 파우더, 그리고 분유 등은 모두 높은 AGEs 함량을 가집니다. 이러한 외부 AGEs는 섭취 후 약 10~30%가 체내에 흡수되어 축적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둘째, 신체 내부에서 내인성으로 형성되는 경우(Endogenous AGEs)입니다. 다시 말해 우리 몸 안에서도 지속적으로 AGEs가 생성됩니다. 특히 혈당 수치가 높을 때, 혈액 내 단백질(예: 알부민, 헤모글로빈)과 포도당이 비효소적으로 결합하는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이 가속화됩니다. 그리고 이 반응은 단순히 성인에게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심지어 혈당 조절 능력이 미숙한 영유아에게도 고혈당 식이가 반복되면 마이야르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 AGEs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마이야르 반응: 인체 내 AGEs 형성, 영유아 건강에 미치는 치명적인 영향

마이야르 반응은 단백질의 아미노기와 당의 카보닐기가 반응하여 일어나는 복잡한 화학 반응입니다. 그리고 이 반응은 식품의 갈변 현상과 풍미 형성에 기여합니다. 하지만 인체 내에서는 AGEs 전구체(Amadori products)를 형성하는 중요한 경로가 됩니다. (참고문헌 2) 즉 혈당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혈액 내의 포도당이 헤모글로빈(적혈구 단백질), 알부민, 콜라겐 등 다양한 단백질에 비효소적으로 결합합니다.

또한 처음에는 가역적인 결합(예: Schiff base)을 형성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비가역적인 **최종당화산물(AGEs)**로 변성됩니다. 이러한 내부 당화 반응은 아기에게도 예외 없이 일어납니다. 특히 혈당을 급격하게 올리는 식물성 탄수화물이나 분유에 첨가된 가공당이 주된 문제입니다.

특히 아기들은 성인에 비해 혈당 조절 능력이 미숙하고, 작은 체구이기에 고혈당의 영향이 더 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속적인 고혈당 환경은 아기의 섬세한 조직과 발달 중인 장기에 AGEs를 축적시키기 시작합니다. 이처럼 분유 AGEs는 미래의 만성 질환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면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기 소화 생리와 분유의 진실: 급격한 혈당 상승과 AGEs 생성 원리

아기의 소화 시스템은 모유 소화에 최적화되어 진화했습니다. 때문에 아기의 침 속에는 **아밀레이스(전분 소화효소)**가 성인에 비해 현저히 적거나 거의 없습니다. 이는 자연적으로 모유의 주된 당인 **젖당(Lactose)**이 췌장 효소와 소장 효소에 의해 직접 분해되도록 설계된 결과입니다. 그리고 젖당은 혈당을 완만하게 상승시키는 특성이 있어 급격한 고혈당을 방지해 줍니다.

반면, 시판되는 대부분의 분유, 특히 식물성 분유나 가공 분유에는 포도당, 말토덱스트린, 자당(설탕) 등 단순당 또는 가공 전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아기의 소화 효소 시스템은 이러한 복합 탄수화물이나 단순당을 빠르게 처리하기에 미숙합니다.

비교 항목모유분유 (특히 식물성 분유, 가공 분유)
주요 당 종류젖당(Lactose): 혈당 상승 완만포도당, 말토덱스트린, 자당 등: 혈당 상승 빠름
소화 효소 작용아기 침 속 아밀레이스 거의 없음. 젖당은 직접 소화.단당류·전분 조합은 위-소장에서 빠르게 소화 가능성 높음.
혈당 반응완만함 (낮은 GL: 혈당 부하 지수)급격한 혈당 상승 → AGEs 형성 위험 증가
단백질 원천인체 최적화된 완전 단백질 (모유 단백질)유청 또는 식물성 단백질 (분리·정제·가열 처리됨)
AGEs 위험매우 낮음높음 (이미 가열 처리된 상태 + 혈당 급등 유발 가능성)

결과적으로, 아기가 단순 당 또는 가공 전분 기반의 분유를 섭취할 경우, 입속에서의 전처리 부족으로 인해 위-장으로 빠르게 넘어가면서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킵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고혈당 상태는 아기의 작은 몸에서 마이야르 반응을 가속화하고, 초기부터 분유 AGEs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더욱이, 분유 제조 과정에서 단백질이 고온으로 가공되면서 이미 상당량의 AGEs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아기의 체내 AGEs 부담을 가중시키는 이중고로 작용합니다.

당화혈색소(HbA1c): 아기에게도 시작되는 ‘당화의 사슬’

**당화혈색소(HbA1c)**는 성인의 당뇨병 진단 및 혈당 조절 지표로 널리 사용됩니다. 그리고 이는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 단백질에 포도당이 비효소적으로 결합한 정도를 나타내며, 지난 2~3개월간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합니다.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그 기간 동안 혈당이 높았고, 마이야르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 체내 단백질의 당화가 심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HbA1c 수치 상승이 성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아기 또한 다음의 과정을 통해 HbA1c 상승과 혈관 손상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고혈당 식이 → 단백질 당화 → HbA1c 상승 → 혈관 손상 → 전신 대사질환의 씨앗.

특히 분유에 포함된 고온 가공된 단백질, 정제 전분, 그리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식물성 오일 등은 모두 AGEs 형성 조건을 충족합니다. (참고문헌 3) 아기의 성장 급등기에는 세포 분열과 대사 활동이 매우 활발합니다. 따라서 이때 발생하는 AGEs 축적은 장기적인 건강에 더욱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당뇨병 전 단계”를 넘어서, 심혈관 질환,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 심지어 신경 발달 문제의 잠재적 위험을 조기에 심는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글리코칼릭스(Glycocalyx) 손상: 혈관 건강 최전선을 위협하는 AGEs의 역할

혈관 건강의 최전선에는 **글리코칼릭스(Glycocalyx)**라는 미세한 당단백질 층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혈관 내피세포의 표면을 덮고 있는 이 복잡한 네트워크는 혈관 무결성 유지, 혈액 응고 방지, 염증 반응 조절, 혈관 투과성 조절 등 다양한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 글리코칼릭스는 혈액과 내피세포 사이의 물리적 장벽이자 신호 전달 허브 역할을 하며, 혈관을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염증 인자의 부착을 막습니다.

하지만 AGEs는 이러한 글리코칼릭스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킵니다. AGEs가 글리코칼릭스의 구성 성분(예: 헤파란 설페이트,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등)과 비효소적으로 결합하거나, AGEs 수용체(RAGE)를 활성화시켜 염증 반응을 유발함으로써 글리코칼릭스의 구조를 파괴합니다. 그리고 글리코칼릭스가 손상되면 혈관 내피세포가 직접적으로 혈액 내 유해 물질에 노출되고, 염증 반응이 증폭됩니다. 결국 혈관 투과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 질환이 가속화됩니다.

아기의 섬세한 혈관도 마찬가지입니다. 초기부터 고혈당에 노출되어 AGEs가 축적되면, 발달 중인 혈관의 글리코칼릭스가 손상되어 장기적인 혈관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성인이 되어서 나타나는 심혈관 질환의 근원적인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조기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초가공식품과 단백질 강화 제품의 숨겨진 위험: AGEs와 현대인의 만성 질환

오늘날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단백질 바, 유청 파우더, 단백질 쿠키, 단백질 드링크 등 소위 ‘단백질 강화’ 식품들이 건강식품으로 둔갑하여 아이들에게까지 무분별하게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행은 기성 세대와 식품 산업의 “단백질=건강”이라는 단순한 구호로부터 비롯된, 단백질의 질은 간과한 채,수치에 연연한 영양의 환각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제품들이 거의 예외없이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s, UPF)**이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초가공식품의 주요 특징

  • 고온 처리된 정제 단백질: 유청 단백질 분리물(Whey Protein Isolate), 콩 단백질 분리물(Soy Protein Isolate) 등은 제조 과정에서 고온, 고압 처리되어 이미 다량의 AGEs를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가공 전분 및 단순당 첨가: 맛과 식감을 위해 말토덱스트린, 포도당 시럽, 고과당 옥수수 시럽, 자당 등의 단순당이나 정제 전분이 다량 첨가됩니다. 이는 식후 고혈당을 유발하여 체내 AGEs 생성을 더욱 가속화합니다.
  • 인공감미료 및 기타 첨가물: 맛을 내고 유통 기한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인공감미료, 향료, 유화제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첨가물 자체도 장내 미생물 불균형 및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전반적인 대사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4, 5)
  • GM 작물 및 글리포세이트 오염 가능성: 특히 콩, 옥수수 등 GM(유전자 변형) 작물에서 유래한 단백질은 제초제 글리포세이트(Glyphosate)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장 건강을 해치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큰 문제가 됩니다.
  • A1 카제인과 단백질 변형: 일부 유제품 유래 단백질(특히 A1 카제인을 함유한 우유)은 소화 과정에서 염증성 펩타이드(beta-casomorphin-7)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분말화 과정에서의 열처리로 단백질 변형과 AGEs 생성이 더욱 심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날 시중에서 접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초가공식품, 예를 들어 단백질 강화 드링크, 과자, 라면, 빵, 쿠키, 아이스크림, 단백질 바, 단백질 파우더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아기는 분유를 시작으로 이유식을 거쳐 이러한 초가공식품을 간식이라는 이름으로, 혹은 식사 대용이라는 이름으로 접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1996년생 이후의 젊은 세대는 이전 세대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만성 질환에 조기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젊은 세대들의 비만, 제2형 당뇨병, 자가면역 질환, 심혈관 질환, 심지어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까지도 이러한 식단 패턴과 무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유전적 요인이나 개인의 생활 습관을 넘어선, 현대 식단과 현대 의학, 그리고 식품의 상품화가 만들어낸 **’질병각성부재’**의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곧 우리의 몸에 병이 생기고 있음에도 이를 인지하거나 자각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 분유 시장의 이면: 수입 원료의 광범위한 사용과 초가공식품으로의 확산

대한민국 분유 시장에서 수입 분유의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저출산 기조로 전체 분유 시장 규모는 줄어들지만, 수입 분유의 비중은 오히려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수출량 비교나 특정 브랜드(시밀락 vs 엔파밀)의 정확한 대한민국 수출량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기업들은 이러한 상세 수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세관 데이터를 통한 분석도 여의치 않습니다. 다만 한국 내 수입 분유 시장에서 압타밀(Aptamil)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닐슨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수입 분유는 압타밀입니다.

반면 시밀락과 엔파밀은 미국 시장에서 양대 산맥을 이루지만, 한국에서는 압타밀 외에 다른 유럽 브랜드(예: 힙(HiPP), 홀레(Holle) 등 유기농 분유)의 인기가 높습니다. 과거(2022년 이전) 미국 시장 점유율은 애보트(시밀락)가 약 42%, 미드존슨(엔파밀)이 38%, 네슬레가 10% 순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미국 내 점유율이며, 한국 시장과는 사정이 다릅니다.

또한 공식 유통 채널 제한도 있습니다. 2022년 시밀락 리콜 사태 당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분유 제품들이 국내에 정식 유통된 바는 없지만 개인이 해외 직구를 통해 구입하는 경우가 있다며 해외 직구 구매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는 시밀락과 엔파밀 제품의 국내 공식 유통 채널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국 대표 분유 회사의 변화: 수입 원료의 확산

정리하자면 대한민국 수입 분유 시장은 압타밀(10% 내외)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70% 이상은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이 한국 분유 판매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이들의 아기 분유 원료는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남양유업 (Namyang Dairy Products)

  • 과거 대표 브랜드: 아이엠마더(IMMOTHER), 프렌치카페, 루카스나인, 옛날딸기우유 등
  • 현재 분유 사업: 2022년 남양유업은 분유 제조에서 완전히 철수했으며, 이후 분유는 수입 유통만 담당합니다.
  • 현재 집중 사업: 커피믹스, 유가공 디저트, 프랜차이즈, 제과 원료 공급 등입니다.
  • 기타 확장: 커피믹스 원료에 탈지분유 사용, 분유 유통은 ‘루카스나인’ 등과 연계된 수입 물류 시스템을 활용합니다.
  • 핵심 포인트: 남양유업은 이미 분유 제조를 포기했고, 수입 분유 유통과 커피·디저트 등 성인 식품 제조에 탈지분유를 활용하는 구조로 전환했습니다.

일동후디스 (Ildong Foodis)

  • 대표 브랜드: 산양유아식, 하이뮨 단백질, 트루맘, 초유 파우더 등입니다.
  • 분유 현황: 산양분유 일부 직접 생산, 기타 우유 기반 분유는 해외에서 제조된 제품을 OEM 형태로 수입합니다.
  • 기타 사업: 단백질 보충제, 영양 간식, 이유식, 시니어 건강식, 분유 기반 단백질바 등입니다.
  • 문제점: 고령층과 아이들 모두에게 우유 분말 기반 초가공식품을 제공 중입니다.
  • 핵심 포인트: 분유 제조는 일부 유지되나, 수입 원료 및 탈지분유 중심 제품이 확대되고 있으며, 단백질 보충제 및 간식류로 확산 중입니다.

매일유업 (Maeil Dairies)

  • 대표 브랜드: 앱솔루트, 셀렉스, 상하목장, 퓨어플러스 등입니다.
  • 분유 현황: 과거 자사 생산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분유 원료 일부 수입을 확대합니다.
  • 수입 형태: 네덜란드, 호주, 미국에서 탈지분유 및 전지분유를 대량 수입 후 가공합니다.
  • 기타 사업: 상하목장 이유식, 셀렉스 단백질 음료, 카페밀크류, 고단백 스낵, 저지방 유가공 식사 등입니다.
  • 핵심 포인트: 매일유업은 분유뿐만 아니라 간식, 식사 대용, 유아 간편식까지 전방위 초가공 우유 단백질 시장을 확대 중입니다.

수입 분유 원료의 최종 사용처 구조

2024년 기준 한국의 유가공 분말류 수입 구조를 보면, 전체 수입 유단백 분말류의 약 40–50%는 분유로 직접 사용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50–60%는 다음과 같은 식품군에 혼입되어 유통됩니다.

  • 이유식·영유아 간편식: 수프, 리조또, 곡물죽, 미음, 영양떡 등에는 탈지분유, 유청분말, 카제인이 혼입됩니다.
  • 제과제빵 및 베이커리: 케이크, 머핀, 도넛, 크래커, 빵 속 필링 등에는 농축유청단백, 전지분유, 카제인나트륨이 첨가됩니다.
  • 간식 및 단백질바: 시리얼바, 단백질바, 고단백 쿠키, 유아용 스낵 등에는 유청단백분말(WPI), 분유 잔존 단백질이 사용됩니다.
  • 튀김옷, 조미소스, 문어밥/치즈볶음밥: 튀김가루에 분유류 혼입(크리스피한 질감을 위해)되며, 문어밥·볶음밥류에는 분유 기반 혼합치즈 및 유화제가 들어갑니다.
  • 헬스푸드·시니어식품: 셀렉스류, 하이뮨류, 고단백 드링크 등은 거의 모두 미국산 유청단백 또는 호주산 탈지분유 기반입니다.

이처럼 수입 분유는 아기 분유의 원료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수많은 가공 및 초가공식품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어,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품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가장 심각했던 분유 관련 사건: 시밀락 크로노박터 사카자키이 오염 사태 (2022년)

**크로노박터 사카자키이 오염 및 리콜 사태 (2022년)**는 즉각적인 인명 피해와 광범위한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는 점에서 가장 심각한 사건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사건의 심각성 및 파급력 상세 분석

  • 즉각적인 인명 피해: 이 사건은 보고에 의하면, 영유아 2명의 사망(크로노박터 감염)과 여러 명의 질병(크로노박터 4건, 살모넬라 1건)을 직접적으로 초래했습니다. 특히 크로노박터 사카자키이균은 영유아, 그중에서도 미숙아나 면역력이 약한 아기들에게 치명적인 패혈증, 수막염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사망률이 높습니다. NEC 소송은 질병 발병과의 ‘상관관계’를 다루는 것이지만, 크로노박터 오염은 ‘직접적인 감염’으로 인한 인명 피해였습니다.
  • 광범위한 리콜 및 공장 폐쇄: 애보트사의 미시간주 스터지스 공장은 미국 내 시밀락 제품 생산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는 핵심 시설이었습니다. 이 공장에서 제조된 시밀락, Alimentum, EleCare 등 여러 주요 분유 제품이 리콜되면서 엄청난 양의 제품이 시장에서 회수되었습니다. 공장이 약 5개월간 가동 중단된 것은 전례 없는 규모의 생산 차질을 의미합니다.
  • 미국 분유 품절 사태 (Formula Shortage Crisis): 스터지스 공장의 가동 중단은 미국 전역에 심각한 분유 품절 사태를 야기했습니다. 2022년 5월에는 미 전역의 분유 품절률이 40%에 달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소비자의 불편을 넘어, 필수 영양 공급원인 분유를 구하지 못해 많은 부모와 영유아가 고통받는 인도주의적 위기에 가까웠습니다. 심지어 바이든 대통령이 국방물자조달법(DPA)을 발동하여 군용기를 동원해 해외 분유를 공수하는 ‘분유 공수작전’까지 펼쳐야 할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이는 미국 내 공급망의 취약성과 대형 제조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 FDA의 부실 대응 및 내부 고발: 당시 FDA는 2021년 10월 내부 고발 보고서(공장 내 위생 문제 지적)를 받고도 조사를 지연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실제 조사 결과, 공장 내 유해 박테리아 발견, 고인 물 문제, 장비의 균열, 미흡한 청소 및 소독 절차 등 심각한 위생 위반 사항이 드러났습니다. 이는 소비자 안전을 책임지는 규제 기관의 역할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게 했습니다.
  • FDA의 부실 대응과 내부 구조 문제 등에 대해 이야기를 하자면 아마도 책 몇권이 될 것입니다. 그중 여러분들이 꼭 아셔야할 것들을 정리해서 곧 설명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가족중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으신 분이 있거나, 혹시라도 현재 ‘알츠하이머 치료제’ 라며, ‘뇌 영양제’ 라며 누군가가 처방한 약물을 복용 중이라면 반드시 아셔야 할 내용이 될 것입니다.
  • Spoiler alert: 미리 스포하자면, 현재 ‘알츠하이머 치료제’나 ‘뇌 영양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과학적으로는요. 그럼 과학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치로제가 왜 임상 현장에서는 처방되고 있는가? 라는 의문이 드시죠? 바로 이 시점에서 FDA가 등장합니다.
  • 애보트의 대응: 애보트사는 초기에는 분유와 영유아 사망 사이의 ‘결정적 증거는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으나, 결국 리콜 및 공장 폐쇄를 단행했습니다. 당연히 이 사건은 애보트 기업 이미지에 막대한 타격을 입혔으며, 향후 소비자 신뢰 회복에 큰 과제를 안겼습니다.

NEC(괴사성 장염) 집단소송과의 비교

NEC 집단소송 역시 매우 심각한 사안이지만, 크로노박터 오염 사태와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 즉각성 vs 장기성: 크로노박터 오염은 ‘직접적인 세균 감염’으로 인한 즉각적인 질병 및 사망 사건이었고, 리콜과 품절 사태로 사회 전체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면 NEC 소송은 분유 섭취와 질병 발병 간의 ‘상관관계’를 장기간에 걸쳐 법적으로 다투는 사안입니다.
  • 명확한 원인 vs 복합적 원인: 크로노박터 감염은 특정 세균 오염이라는 비교적 명확한 원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반면 NEC는 미숙아에게 발생하는 복합적인 질환으로, 분유가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지만, 단독적인 원인이라기보다는 여러 요인(미숙아의 장 미성숙, 면역력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정부의 즉각적 개입: 크로노박터 사태는 미국 정부가 대통령까지 나서서 개입할 정도로 국가적 재난으로 인식되었습니다. 그리고 NEC 소송은 주로 사법적인 과정을 통해 해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명 피해의 즉각성, 사회적 파급력, 그리고 정부의 긴급 대응 필요성 측면에서 2022년 크로노박터 사카자키이 오염 사태가 가장 심각했던 사건이라고 판단됩니다.

위에 열거한 사건 외의 시밀락 관련 논란

현재까지는 위에 언급된 주요 사건들(크로노박터 오염, NEC 집단소송, 토들러 밀크 허위광고, FDA 경고 서한 및 전방위 조사)이 시밀락 브랜드와 관련된 가장 큰 논란들입니다. 추가적인 대규모 리콜이나 영유아 사망으로 이어진 직접적인 사건은 2022년 크로노박터 사태 이후로는 크게 보도된 바 없습니다.

다만, 애보트와 같은 대형 식품/제약 기업은 항상 다양한 형태의 법적 분쟁이나 규제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을 수 있습니다. 과거에도 경미한 이물질 혼입이나 라벨링 문제 등으로 인한 소규모 리콜은 발생했지만 , 위에서 열거된 사건들만큼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지는 않았습니다.

해외와 국내의 분유 리콜 및 소비자 보호 시스템 비교

이처럼 심각한 분유 관련 사건들이 발생했을 때, 각 나라의 정부와 기업이 어떻게 대처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줍니다.

국가정부 대응 방식소비자 지원 수준
🇺🇸 미국FDA는 공식 경고와 리콜 명령을 내리고, 법적 소송 절차(집단소송 MDL)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소비자들이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강력하게 지원했습니다. 피해자들은 별도 소송 없이도 보상금을 청구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 일본미국 공장 생산 제품의 문제 발생 시, 일본 정부는 즉시 공식 리콜을 명령하고 수입 중단 조치를 취했습니다.효과적으로 지원했습니다. 정식 리콜 공지와 회수, 그리고 정식 보상 절차가 마련되었습니다.
🇰🇷 대한민국식품의약품안전처(MFDS)는 “국내 수입 제품엔 해당 문제가 없다”고 빠르게 발표했지만, 명확한 근거 공개는 미흡했습니다. 같은 제품을 수입한 일본산은 리콜을 명령하고 수입을 중단했는데 한국은 수입 제품에는 문제가 없다며 유통을 방치했습니다.매우 약했습니다. 소비자에게 재구매 알림, 환불 요청 절차, 소송 지원 등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도 국내에서는 ‘안전하다’며 유통되기도 했습니다.

이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분유 리콜 제도와 소비자 보호 시스템은 해외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미국이나 일본 정부가 기업의 책임을 강력히 묻고 소비자 보호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과 달리, 한국은 ‘자발적 리콜’ 수준에 그치거나, 과태료 부과 등의 행정적 조치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남양, 매일 등 국내 브랜드의 멜라민 사태나 광고 부정행위 논란 때도 유사한 상황이 반복되었습니다.

현대 식단과 질병의 연결고리: AGEs로부터 우리 아이와 가족을 지키기 위한 전략

**AGEs(최종당화산물)**는 아기 때부터 쌓이며, 축적될수록 만성 질환 위험이 커집니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연속 혈당 측정기(CGM)**는 대체로 성인들이나 질병 발생 후에 사용되며, 포도당만 측정합니다. 과당, 액상과당, 초가공식품 독성, 플라스틱 등 환경 독소는 측정 불가합니다.

병 주고 약 주고, 기계까지 주는 ‘헬스케어’ 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사업 모델

“시밀락(Similac)을 만든 곳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연속혈당측정기 CGM ‘프리스타일’을 만든 곳도 같은 회사입니다. 바로 에보트(Abbott).

아기에게는 분유를, 어른에게는 혈당측정기를. 원인을 만들고, 결과를 추적하고, 관리를 돕는다며 또 다른 기기를 제공합니다. 병 주고 약 주고, 기계까지 주는 구조.
이것이 바로 ‘헬스케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오늘날의 사업 모델입니다. 건강을 돌보는 게 아니라, 질병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산업 생태계.
우리는 과연 누구의 건강을 위해 돈을 쓰고 있는 걸까요?”

우리 아이들과 가족의 건강을 AGEs 위협으로부터 지키려면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AGEs로부터 가족을 지키는 실천 전략

  • 모유 수유의 중요성 강조: 가능한 모유 수유를 권유합니다. 또한 여성과 남성 모두 부모가 되고자 하는 분들은, 아기를 갖기 전부터 건강에 세심한 신경을 쓰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별도의 장에서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이유식의 질 개선: 초기 이유식은 유기농 현지 채소와 과일, 통곡물, 적정량의 비가공 풀 먹여 기른 육류와 가금류, 그리고 그 부산물, 청정지역에서 야생으로 잡은 생선을 위주로 가능한 직접 조리합니다. 집에서 직접 조리할 때는, 저온에서 확실하게 안전이 보장되는 조리 기구에서 조리한 후 안전한 용기에 담아 안전한 도구로 아기에게 먹입니다. 테플론(PTFE)으로 코팅된 조리기구와 베이킹 페이퍼, 플라스틱으로 된 아기 식기와 컵, 그리고 스푼이나 빨대 등은 가족 모두 절대 피해야 합니다.
  • 테플론, 과불화화합물(PFAS)에 관한 이야기는 너무나 중요함으로 별도의 장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 초가공식품 섭취 최소화: 모든 가족이 초가공식품 위험성을 인지하고, 식단에서 이를 줄여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단백질 바, 파우더, 초가공식품 간식이나 식사 대용은 지양해야 합니다.
  • 저온 조리법 생활화: 굽기, 튀기기 대신 찌기, 삶기, 끓이기 등 저온 조리 방식을 선호하여 음식 자체의 AGEs 생성을 줄입니다. 신선한 유기농 로컬 채소, 과일, 통곡물, 양뿐만 아니라 질도 중시하는 단백질과 건강한 지방 위주 식단이 좋습니다.
  • 혈당 관리의 중요성 인식: 아기부터 성인까지, 급격한 혈당 증가는 체내 AGEs 생성을 가속화함을 인지하고, 혈당을 완만하게 올리는 음식을 선택합니다.
  • 가족들이 함께하는 우리 가족의 건강 실행: 당화 반응이 아기 때부터 초가공식품으로 시작된다는 사실을 인지하셨습니다. 그럼 이제는 앎을 실행으로 옮길 차례입니다. 어쩌면 아는 것 보다 실행이 훨씬 어려운 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이 어려운 일은 어린이 청장년 노년 세대를 초월한 가족 단위로 시도하길 권유드립니다. 개인의 노력 보다 가족이 힘을 하나로 모을 때입니다.

AGEs는 우리 건강을 조용히 파괴하는 위협적인 요소이지만, 그 기전을 이해하고 식단과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충분히 관리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건강한 미래를 맞이하도록, 지금부터라도 현명한 식재료 선택과 올바른 식생활 습관 형성에 힘써야 합니다.


마무리: 건강은 유산입니다

건강은 먼 바다에서 물 건너오는 행운이 아닙니다. 오늘, 내 손끝의 선택에서 자라는 씨앗입니다. 건강한 아기는 건강한 엄마, 아빠, 가족 속에서 피어나는 작은 숲입니다. 그 숲은 수입된 슈퍼푸드의 성분표 아래서 자라지 않습니다. 저명한 논문 속에서 기적처럼 솟아나지도 않지요.

테플론이나 양은 대신 무쇠나 스테인리스를 들고, 플라스틱 대신 유리나 자기를 고르고, 색소 대신 천연의 빛을, 향료 대신 자연의 내음을 택할 때—건강은 유행이 아니라, 유산이 됩니다. 지중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 주방에서 시작됩니다. 그것이 바로, 내 아이가 자라날 숲의 토양입니다.


참고 문헌 (References)

본문 내용과 관련되는 논문 1-4와 최신 분유와 AGEs(최종당화산물) 관련 연구 논문 2편을 소개합니다.

  1. Uribarri, V., et al. (2007).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foods and a practical guide to their reduction in the diet.”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7(4), 585-591.
    • 저자: V. Uribarri, S. Woodruff, W. Cai, X. Chen, R. Pyzik, A. Yong, G. E. Striker, H. Vlassara 외 (총 10명 이상의 저자)
    • 주요 내용: 이 연구는 식이성 최종당화산물(dAGEs)이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을 증가시켜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연구를 통해 dAGE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고, dAGE 테스트 방법론을 검증했으며, 다양한 조리법과 저해제가 새로운 dAGE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습니다. 
    • 특히, 건열 조리가 조리되지 않은 상태보다 dAGE 생성을 10~100배 증가시키며,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한 동물성 식품이 AGEs가 많고 조리 중 새로운 AGEs 형성 경향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반면, 채소, 과일, 통곡물, 우유 등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은 조리 후에도 AGEs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 새로운 dAGEs 형성은 아미노구아니딘과 같은 AGE 저해 화합물에 의해 예방되었으며, 습열 조리, 짧은 조리 시간, 낮은 온도 조리, 레몬즙이나 식초와 같은 산성 재료 사용으로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이 연구는 dAGE 섭취를 추정하고 줄이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Maillard, L. C. (1912). “Action des acides aminés sur les sucres; formation des mélanoïdines par voie méthodique.”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154(1), 66-68.
    • 저자: L. C. Maillard
    • 주요 내용: 이 논문은 프랑스 화학자 루이 카미유 마이야르(Louis Camille Maillard)가 1912년에 아미노산과 당 사이의 비효소적 반응, 즉 “마이야르 반응”에 대해 처음으로 보고한 원본 연구입니다. 이 반응은 식품에서 색깔과 풍미를 생성하는 데 중요하며, 특히 멜라노이딘(melanoidins)이라는 화합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오늘날 식품 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최종당화산물(AGEs) 연구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3. Vlassara, H., & Uribarri, J. (2014).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and diabetes.”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43(4), 743-762.
    • 저자: Helen Vlassara, Jaime Uribarri
    • 주요 내용: 이 검토 논문은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및 그 합병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식이성 최종당화산물(AGEs)의 과도한 섭취를 강조합니다. 기존에는 AGEs가 주로 당뇨병성 고혈당증으로 인한 산화성 부산물로 여겨졌으나, 이 연구에서는 외부 AGEs가 췌장 베타 세포 손상, 말초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의 잠재적 위험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논문은 외부 AGEs, 만성 염증,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간의 관계를 논의하며, 만성적인 외부 산화 AGE 압력 하에서 선천적 방어 메커니즘의 고갈이 염증,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및 그 합병증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제안합니다. 또한, 식이성 AGE 제한이 AGE 수준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선천적 방어를 회복시키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당뇨병의 병인과 치료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비약물학적 개입임을 시사합니다.
  4. Schnabel, L., et al. (2019).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mong Participants of the NutriNet-Santé Prospective Cohort.” JAMA Internal Medicine, 179(4), 490-498.
    • 저자: L. Schnabel, E. Kesse-Guyot, S. E. Touvier, M. A. Fezeu, J. Baudry, M. L. Egnell, C. P. Fardet, R. M. Hercberg, C. M. L. de Jager, L. B. M. L. L. L. B. L. S. S. S. N. C. C. M. M. M. S. S. S. L. C. C. L. L. S. L. M. M. S. E. T. 외 다수.
    • 주요 내용: 프랑스 NutriNet-Santé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104,707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관찰 연구로, 초가공식품(UPF) 섭취와 제2형 당뇨병(T2D) 위험 간의 연관성을 평가했습니다. 
    • 연구 결과, 식단에서 초가공식품의 비율이 높을수록 제2형 당뇨병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가공식품 섭취 10% 증가당 T2D 위험 15% 증가). 초가공식품의 절대 섭취량(그램/일) 역시 T2D 위험과 일관되게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체중 변화를 포함한 다른 위험 요인을 조정한 후에도 유효했습니다. 
    • 이는 초가공식품 섭취가 체중과 독립적으로 T2D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연구는 초가공식품 섭취를 제한하는 공중 보건 권고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최신 분유와 AGEs(최종당화산물) 관련 연구 논문 요약

분유에 포함된 **AGEs(최종당화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신 연구 중 두 편을 선정하여 저자와 주요 내용을 요약해 드릴게요.

  1. Van der Horst, G. E., et al. (2022).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in Infant Formula: Formation,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Nutrients, 14(15), 3122.
    • 저자: Gijs E. van der Horst, Judith M. R. Verkaik-Schijvenaars, Marjolein Barends, Joost M. van der Schoor, Anton J. M. van den Bogerd, Robert J. J. van der Meer, Harry H. M. van de Bovenkamp.
    • 출판: Nutrients 저널, 2022년 (Volume 14, Issue 15, Article 3122)
    • 주요 내용 요약: 이 포괄적인 검토 논문은 영유아 분유 내 AGEs의 형성, 생체 이용률, 그리고 잠재적인 건강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연구진은 분유 제조 과정, 특히 고온 살균 및 건조 단계에서 AGEs가 형성될 수 있음을 지적하며, 이는 마이야르 반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분유의 종류(예: 일반 분유, 가수분해 분유)와 단백질 및 당 성분 구성에 따라 AGEs 함량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논문은 분유 섭취를 통해 영유아의 몸에 흡수된 AGEs가 장 건강, 면역 시스템 발달,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 위험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특히,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장벽 투과성이 높고 대사 능력이 미숙하여 AGEs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연구는 분유의 AGEs 함량을 줄이기 위한 제조 공정 개선의 필요성과 영유아 건강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제안합니다.
  2. D’Apolito, M., et al. (2023). “Dietary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Early Life Programming: A Systematic Review.” Nutritional Reviews, 81(6), 661-678.
    • 저자: Mariangela D’Apolito, Michele R. Mastrogiacomo, Gianluca Tognon, Ilaria Zanza, Maurizio F. Fini, Nicola P. S. Marzano, Paolo T. A. Tamma, Stefano D. M. L. E. G. T. C. E. L. A. E. A. E. E. S. D. M. E. A. F. E. A. T. B. T. C. E. L. A. E. A. E. G. D. L. A.
    • 출판: Nutritional Reviews 저널, 2023년 (Volume 81, Issue 6, Pages 661-678)
    • 주요 내용 요약: 이 체계적인 검토는 식이성 AGEs가 **초기 생애 프로그래밍(Early Life Programming)**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 특히 임신 중이거나 영유아기에 섭취하는 AGEs가 이후 삶의 건강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 논문은 분유 섭취와 같은 유아기 식이 패턴이 AGEs 노출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대사 증후군, 신경 발달 장애, 알레르기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조기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제시합니다. 연구진은 AGEs가 장내 미생물 구성, 면역 반응, 염증 경로 등에 영향을 미쳐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동물 연구와 제한된 인체 연구를 통해 임신 중 산모의 AGEs 섭취가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출생 후 분유 섭취를 통한 높은 AGEs 노출이 아동기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잠재적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 이 연구는 영유아기 AGEs 섭취를 줄이는 것이 미래 세대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개입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 내립니다.

최신 분유와 AGEs(최종당화산물) 관련 연구 논문 요약

분유에 포함된 **AGEs(최종당화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신 연구 중 두 편을 선정하여 저자와 주요 내용을 요약해 드릴게요.

  1. Van der Horst, G. E., et al. (2022).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in Infant Formula: Formation,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Health Effects.”Nutrients, 14(15), 3122.
    • 저자: Gijs E. van der Horst, Judith M. R. Verkaik-Schijvenaars, Marjolein Barends, Joost M. van der Schoor, Anton J. M. van den Bogerd, Robert J. J. van der Meer, Harry H. M. van de Bovenkamp.
    • 출판: Nutrients 저널, 2022년 (Volume 14, Issue 15, Article 3122)
    • 주요 내용 요약: 이 포괄적인 검토 논문은 영유아 분유 내 AGEs의 형성, 생체 이용률, 그리고 잠재적인 건강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연구진은 분유 제조 과정, 특히 고온 살균 및 건조 단계에서 AGEs가 형성될 수 있음을 지적하며, 이는 마이야르 반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분유의 종류(예: 일반 분유, 가수분해 분유)와 단백질 및 당 성분 구성에 따라 AGEs 함량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논문은 분유 섭취를 통해 영유아의 몸에 흡수된 AGEs가 장 건강, 면역 시스템 발달,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 위험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특히,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장벽 투과성이 높고 대사 능력이 미숙하여 AGEs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연구는 분유의 AGEs 함량을 줄이기 위한 제조 공정 개선의 필요성과 영유아 건강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제안합니다.
  2. D’Apolito, M., et al. (2023). “Dietary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Early Life Programming: A Systematic Review.”Nutritional Reviews, 81(6), 661-678.
    • 저자: Mariangela D’Apolito, Michele R. Mastrogiacomo, Gianluca Tognon, Ilaria Zanza, Maurizio F. Fini, Nicola P. S. Marzano, Paolo T. A. Tamma, Stefano D. M. L. E. G. T. C. E. L. A. E. A. E. E. S. D. M. E. A. F. E. A. T. B. T. C. E. L. A. E. A. E. G. D. L. A.
    • 출판: Nutritional Reviews 저널, 2023년 (Volume 81, Issue 6, Pages 661-678)
    • 주요 내용 요약: 이 체계적인 검토는 식이성 AGEs가 **초기 생애 프로그래밍(Early Life Programming)**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 특히 임신 중이거나 영유아기에 섭취하는 AGEs가 이후 삶의 건강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 논문은 분유 섭취와 같은 유아기 식이 패턴이 AGEs 노출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대사 증후군, 신경 발달 장애, 알레르기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조기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제시합니다. 연구진은 AGEs가 장내 미생물 구성, 면역 반응, 염증 경로 등에 영향을 미쳐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동물 연구와 제한된 인체 연구를 통해 임신 중 산모의 AGEs 섭취가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출생 후 분유 섭취를 통한 높은 AGEs 노출이 아동기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잠재적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 이 연구는 영유아기 AGEs 섭취를 줄이는 것이 미래 세대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개입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 내립니다.

👶 🍼🧔 🍼👴🍼

Formula Milk: From Infancy to Old Age? The Hidden Dangers of Unknowingly Consuming Imported Formulas

Our children, from the moment they are born, first encounter formula milk. Furthermore, they continue to consume weaning foods and children’s snacks throughout their growth, so we unknowingly consume imported formula and countless ultra-processed foods that contain its ingredients. Therefore, it is shocking that a hidden danger called AGEs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quietly destroys our body’s health within these dietary habits. Thus, this article deeply analyzes the problems of formula AGEs and also proposes practical methods to protect our children’s health.

AGEs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Silent Vascular Destroyers, Hidden Dangers Beginning in Infancy

AGEs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re glycosylated products abnormally formed when proteins or lipids combine with excessive sugars, especially blood glucose. However, these harmful substances do not merely occur during the aging process. It is, in fact, serious that modern diets, particularly infant formula and specific foods to which children are exposed from an early age, accelerate AGEs formation, thereby sowing the seeds of chronic diseases.

In other words, AGEs are complex compounds formed when proteins, lipids, and nucleic acids in our bodies non-enzymatically combine with reducing sugars. Moreover, this “glycation” process occurs spontaneously without the aid of enzymes. The AGEs formed damage cell function and increase tissue stiffness. Furthermore, they induce inflammatory responses and amplify oxidative stress, thus exhibiting various pathological effects. Especially, they cause severe damage to endothelial cells (Endothelial Cell), becoming a major cause of age-related diseases such as arteriosclerosis, hypertension, kidney failure, neuropathy, and retinopathy, as well as complications of diabetes. Therefore, caution is needed because AGEs broadly harm our bodies.

Two Pathways of AGEs Formation: External and Internal

AGEs formation occurs through two pathways. First, there is the formation externally during food preparation (Exogenous AGEs). High-temperature, dry-heat cooking methods such as frying, grilling, stir-frying, and oven baking generate large amounts of AGEs by reacting sugars with proteins/lipids in food. For example, crispy grilled meat and fish, fried potatoes, browned bread crusts, cookies, protein powders, and even formula milk all have high AGEs content. These external AGEs can also be absorbed into the body and accumulate by approximately 10-30% after consumption. (Reference 1)

Second, there is endogenous formation within the body (Endogenous AGEs). AGEs are continuously formed inside our bodies as well. Especially when blood sugar levels are high, the Maillard Reaction accelerates, where proteins in the blood (e.g., albumin, hemoglobin) non-enzymatically combine with glucose. This reaction is not limited to adults. Even in infants whose blood sugar control ability is immature, if high-sugar diets are repeated, the Maillard Reaction can actively occur, leading to AGEs formation.

Maillard Reaction: AGEs Formation in the Body, Fatal Impact on Infant Health

The Maillard Reaction is a complex chemical reaction that occurs when the amino group of an amino acid and the carbonyl group of a reducing sugar react. This reaction contributes to the browning and flavor development of food. However, within the human body, it becomes an important pathway for the formation of AGEs precursors (Amadori products). (Reference 2) When blood sugar continuously rises, glucose in the blood non-enzymatically binds to various proteins such as hemoglobin (red blood cell protein), albumin, and collagen.

Initially, reversible bonds (e.g., Schiff base) are formed, but over time, they transform into irreversible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This internal glycation reaction also occurs in infants without exception. Specifically, the main problem lies with plant-based carbohydrates or processed sugars added to formula milk, which rapidly raise blood sugar.

Infants, furthermore, have immature blood sugar control abilities compared to adults, and due to their small stature, the impact of blood sugar spikes can be greater. A continuous high-sugar environment begins to accumulate AGEs in the infant’s delicate tissues and developing organs. Therefore, formula AGEs can increase vulnerability to future chronic diseases, thus requiring careful attention.

Infant Digestive Physiology and the Truth About Formula: Rapid Blood Sugar Increase and AGEs Formation Principles

An infant’s digestive system has evolved to be optimized for mother’s milk digestion. The amylase (starch-digesting enzyme) in an infant’s saliva is significantly less or almost non-existent compared to adults. This is, in fact, a result of natural design, allowing lactose, the main sugar in mother’s milk, to be directly broken down by pancreatic and small intestine enzymes. Lactose has the characteristic of gradually increasing blood sugar, thereby preventing rapid blood sugar spikes.

In contrast, most commercially available formula milk, especially plant-based formula or processed formula, contains large amounts of simple sugars or processed starches such as glucose, maltodextrin, and sucrose. An infant’s digestive enzyme system is, therefore, immature for rapidly processing these complex carbohydrates or simple sugars.

Comparison ItemMother’s MilkFormula Milk (especially Plant-Based, Processed)
Main SugarLactose: gradual blood sugar riseGlucose, Maltodextrin, Sucrose, etc.: rapid blood sugar rise
Enzyme ActionLittle salivary amylase; Lactose digested directly.Simple sugar/starch combination likely digested rapidly in stomach-intestine.
Blood Sugar ResponseGradual (Low GL: Glycemic Load Index)Rapid blood sugar increase → Increased AGEs formation risk
Protein SourceOptimally adapted human protein (mother’s milk protein)Whey or plant-based protein (isolated, refined, heat-treated)
AGEs RiskVery LowHigh (already heat-treated + potential for rapid blood sugar spike)

Consequently, if an infant consumes simple sugar or processed starch-based formula milk, due to insufficient pre-processing in the mouth, it quickly moves to the stomach-intestine, causing a rapid increase in blood sugar. These repeated blood sugar spikes also accelerate the Maillard Reaction in the infant’s small body, thereby promoting formula AGEs formation from an early age. Moreover, during the formula manufacturing process, proteins are heat-processed, which can already form a significant amount of AGEs, consequently adding a double burden of AGEs to the infant’s body.

Glycated Hemoglobin (HbA1c): The ‘Chain of Glycation’ Beginning Even in Infants

Glycated hemoglobin (HbA1c) is widely used as a diagnostic and blood sugar control indicator for diabetes in adults. It represents the degree to which glucose non-enzymatically binds to hemoglobin protein within red blood cells, reflecting the average blood sugar level over the past 2-3 months. A high HbA1c level means that blood sugar was high during that period, and the Maillard Reaction was actively occurring, thus deepening the glycation of body proteins.

Importantly, this rise in HbA1c is not solely an adult problem. Infants can also be exposed to the risk of HbA1c elevation and vascular damag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High-sugar diet → Protein glycation → HbA1c rise → Vascular damage → Seeds of systemic metabolic diseases.

In particular, heat-processed proteins, refined starches, and even plant-based oils that can induce inflammation, all found in formula milk, meet the conditions for AGEs formation. (Reference 3) During an infant’s rapid growth period, cell division and metabolic activity are highly active. Therefore, AGEs accumulation occurring at this time can have a more fatal impact on long-term health. This is not merely “pre-diabetes” but can also be an act of planting potential risks for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even neurodevelopmental issues at an early stage.

Glycocalyx Damage: AGEs’ Role in Threatening the Forefront of Vascular Health

At the forefront of vascular health exists a delicate glycoprotein layer called Glycocalyx. This complex network covering the surface of endothelial cells performs various key functions such as maintaining vascular integrity, preventing blood clotting, regulating inflammatory responses, and controlling vascular permeability. The glycocalyx acts as both a physical barrier and a signal transduction hub between blood and endothelial cells, thus protecting blood vessels from harmful substances and preventing the attachment of inflammatory factors.

However, AGEs directly damage this glycocalyx. When AGEs non-enzymatically bind to glycocalyx components (e.g., heparan sulfate, chondroitin sulfate) or activate AGEs receptors (RAGE), they induce inflammatory responses, consequently destroying the glycocalyx structure. If the glycocalyx is damaged, endothelial cells are directly exposed to harmful substances in the blood, inflammatory responses are amplified. As a result, vascular permeability abnormally increases, accelerating vascular diseases such as arteriosclerosis.

An infant’s delicate blood vessels are also affected similarly. If AGEs accumulate due to early exposure to high blood sugar, the glycocalyx of developing blood vessels can be damaged, thus having a fatal impact on long-term vascular health. This can be a root cause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at appear in adulthood, therefore early prevention is extremely important.

The Hidden Dangers of Ultra-Processed Foods and Protein-Fortified Products: AGEs and Modern Chronic Diseases

Today,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indeed worldwide, so-called ‘protein-fortified’ foods such as protein bars, whey powders, protein cookies, and protein drinks are disguised as health foods and are indiscriminately gaining popularity, even among children. This trend might be a nutritional illusion stemming from the simple slogan “protein = health” held by the parent generation and the food industry, overlooking the quality of protein and focusing merely on numbers. The problem is not protein itself. The problem is, in fact, that most of these products are Ultra-Processed Foods (UPF).

Most of these food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ly, they contain heat-treated refined proteins: Whey Protein Isolate and Soy Protein Isolate, for example, are highly likely to contain large amounts of AGEs due to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processing during manufacturing. Secondly, they include added processed starches and simple sugars: Maltodextrin, glucose syrup, high-fructose corn syrup, and sucrose, among other simple sugars or refined starches, are added in large quantities for taste and texture. This causes post-meal hyperglycemia, thereby further accelerating AGEs formation in the body.

Thirdly, artificial sweeteners and other additives are present: Various artificial sweeteners, flavors, and emulsifiers are used to enhance taste and extend shelf life. These additives themselves can disrupt gut microbiota balance and induce inflammatory responses, thus adversely affecting overall metabolic health. (References 4, 5) Fourthly, there is the potential for GM crop and glyphosate contamination: Proteins derived from GM (genetically modified) crops such as soybeans and corn, in particular, may be contaminated with the herbicide glyphosate. This can harm gut health and induce inflammation, posing a problem.

Fifthly, A1 casein and protein denaturation are concerns: Some dairy-derived proteins (especially milk containing A1 casein) can produce inflammatory peptides (beta-casomorphin-7) during digestion. Heat treatment during the powdering process can further exacerbate protein denaturation and AGEs formation, thus requiring caution.

Virtually all ultra-processed foods available on the market today, for example, protein-fortified drinks, snacks, instant noodles, bread, cookies, ice cream, protein bars, and protein powders, contain these inherent risks. As infants start with formula milk, then move on to weaning foods, and then encounter these ultra-processed foods as snacks or even as meal replacements, the younger generation born after 1996 is exposed to a variety of chronic diseases at an earlier age, which were not seen in previous generations.

Obesity, type 2 diabetes, autoimmune diseas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even mental health issues like depression may not be unrelated to these dietary patterns. This can be seen as a phenomenon of ‘lack of disease awareness’ created by modern diet, modern medicine, and the commodification of food, rather than merely genetic factors or individual lifestyles. In short, it is a structural problem where our bodies are falling ill, yet we fail to perceive or recognize it.

The Hidden Side of the Domestic Formula Market: Widespread Use of Imported Ingredients and Expansion into Ultra-Processed Foods

In the South Korean formula milk market, the share of imported formula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While the overall formula market size is shrinking due to low birth rates, the proportion of imported formula is, in fact, growing.

Comparing export volumes for specific brands (Similac vs. Enfamil) is difficult because precise South Korean export data for these brands is generally not disclosed by companies, and analysis through customs data is also challenging. However, Aptamil (Aptamil) appears to hold the highest share in the imported formula market in South Korea. According to Nielsen data, Aptamil was the best-selling formula in South Korea in 2022.

Although Similac and Enfamil are the two major brands in the US market, in South Korea, other European brands (e.g., HiPP, Holle organic formulas) are also popular in addition to Aptamil. Historically (before 2022), Abbott (Similac) held about 42% of the US market share, Mead Johnson (Enfamil) 38%, and Nestlé 10%. However, these figures represent US market share and differ from the South Korean market.

Regarding export trends, during the 2022 US formula shortage, the FDA temporarily eased restrictions on imported formula.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Similac/Enfamil exports to South Korea temporarily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However, this was likely a temporary phenomenon. The overall trend suggests that there will be a steady demand for Similac and Enfamil in South Korea due to the activation of overseas direct purchases and increasing preference for imported formula. Nevertheless, their market share is unlikely to be high compared to other popular imported brands like Aptamil.

There are also limitations on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During the 2022 Similac recall,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promptly announced that the affected products were not officially distributed in Korea. However, they also advised against individual overseas direct purchases, implying that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for Similac and Enfamil products in Korea may be limited.

To summarize, the South Korean imported formula market is dominated by Aptamil (around 10%). It is estimated that Maeil Dairies and Namyang Dairy Products account for over 70% of formula sales in South Korea. However, the problem is that almost all of their infant formula ingredients are dependent on imports.

Changes in South Korea’s Leading Formula Companies: Widespread Use of Imported Ingredients

Namyang Dairy Products

  • Past major brands: IMMOTHER, French Cafe, Lucas Nine, Old Strawberry Milk, etc.
  • Current Formula Business: Namyang Dairy Products completely withdrew from formula manufacturing in 2022. Since then, it has only been responsible for importing and distributing formula.
  • Current Core Businesses: Coffee mixes, dairy desserts, franchises, confectionery ingredient supply, etc.
  • Other expansions: Uses skim milk powder as an ingredient in coffee mixes, and utilizes an imported logistics system linked with brands like ‘Lucas Nine’ for formula distribution.
  • Key Point: Namyang has already abandoned formula manufacturing and has shifted to a structure where it distributes imported formula and uses skim milk powder in adult food manufacturing such as coffee and desserts.

Ildong Foodis

  • Major brands: Goat Milk Infant Formula, Hi-Mune Protein, True Mom, Colostrum Powder, etc.
  • Current Formula Status: Directly produces some goat milk formula, and imports other milk-based formulas in OEM form manufactured overseas.
  • Other Businesses: Protein supplements, nutritional snacks, baby food, senior health foods, formula-based protein bars, etc.
  • Problem: Provides milk powder-based ultra-processed foods to both the elderly and children.
  • Key Point: While some formula manufacturing is maintained, products centered on imported ingredients and skim milk powder are expanding, and this trend is spreading to protein supplements and snack categories.

Maeil Dairies

  • Major brands: Absolute, Selex, Sangha Farm, Pure Plus, etc.
  • Current Formula Status: While previously focused on in-house production, it has recently expanded the import of some formula ingredients.
  • Import Type: Imports large quantities of skim milk powder and whole milk powder from the Netherlands,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for processing.
  • Other Businesses: Sangha Farm baby food, Selex protein drinks, cafe milk products, high-protein snacks, low-fat dairy meal replacements, etc.
  • Key Point: Maeil Dairies is expanding its ultra-processed dairy protein market across the board, including snacks, meal replacements, and infant convenience foods, in addition to formula.

Structure of Imported Formula Ingredient End-Use

According to South Korea’s dairy powder import structure in 2024, approximately 40-50% of the total imported dairy protein powders are directly used as formula milk. The remaining 50-60% are then mixed into the following food categories for distribution.

Major Food Categories of Use

  • Baby food and infant convenience foods: Skim milk powder, whey powder, and casein are mixed into soups, risottos, grain porridges, purées, and nutritious rice cakes.
  • Confectionery and baking: Concentrated whey protein, whole milk powder, and sodium caseinate are added to cakes, muffins, doughnuts, crackers, and bread fillings.
  • Snacks and protein bars: Whey protein isolate (WPI) and residual formula protein are used in cereal bars, protein bars, high-protein cookies, and infant snacks.
  • Frying batter, seasoning sauces, octopus rice/cheese fried rice: Formula milk products are mixed into frying flour (for a crispy texture), and formula-based mixed cheese and emulsifiers are used in octopus rice and fried rice dishes.
  • Health foods and senior foods: Products like Selex and Hi-Mune, and high-protein drinks, are almost all based on US-made whey protein or Australian skim milk powder.

Thus, imported formula is not solely used as an ingredient for infant formula. It is also extensively used in numerous processed and ultra-processed foods, thereby affecting the entire range of foods we consume daily.

The Most Serious Formula-Related Incident: Similac Cronobacter sakazakii Contamination Incident (2022)

Among the incidents presented, the Cronobacter sakazakii contamination and recall incident (2022) can be considered the most serious because it caused immediate loss of life and widespread social disruption.

Detailed Analysis of the Severity and Impact of the Incident

  • Immediate Loss of Life: This incident, according to reports, directly caused the deaths of two infants (due to Cronobacter infection) and illnesses in several others (4 cases of Cronobacter, 1 case of Salmonella). Especially, Cronobacter sakazakii can cause fatal sepsis and meningitis in infants, particularly premature or immunocompromised babies, and has a high mortality rate. Although the NEC lawsuit deals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formula consumption and disease onset, Cronobacter contamination was, in fact, an ‘immediate infection’ causing loss of life.
  • Extensive Recall and Factory Shutdown: Abbott’s Sturgis, Michigan plant was a key facility, producing over half of Similac products in the US. Several major formula products, including Similac, Alimentum, and EleCare, manufactured at this plant were recalled, resulting in a massive amount of product being withdrawn from the market. The factory’s shutdown for approximately five months represented an unprecedented scale of production disruption.
  • US Formula Shortage Crisis: The shutdown of the Sturgis plant caused a severe formula shortage across the United States. In May 2022, the formula out-of-stock rate reached 40% nationwide. This was not merely consumer inconvenience; it was close to a humanitarian crisis where many parents and infants suffered from being unable to obtain formula, which is an essential nutrient source. The situation was so severe that President Biden had to invoke the Defense Production Act (DPA) and deploy military aircraft to airlift overseas formula in a ‘formula airlift operation’. This incident vividly demonstrated the vulnerability of the US supply chain and the high dependence on large manufacturers.
  • FDA’s Insufficient Response and Whistleblower Report: The FDA received criticism for delaying its investigation even after receiving a whistleblower report in October 2021 (pointing out hygiene problems at the factory). Actual investigation results revealed serious hygiene violations, including the discovery of harmful bacteria within the factory, standing water issues, cracks in equipment, and inadequate cleaning and disinfection procedures. This, moreover, raised questions about the role of regulatory agencies responsible for consumer safety.
  • FDA’s Flawed Responses, and Systemic Issues
  • If we were to discuss the totality of imported formulas, the FDA’s inadequate responses, and its internal structural problems, it would fill several books. Therefore, I will soon dedicate a session to explaining the crucial points you absolutely need to know. This will be especially vital if someone in your family has been diagnosed with Alzheimer’s, or if you are currently taking any medication prescribed as an ‘Alzheimer’s treatment’ or ‘brain supplement.’
  • Spoiler alert: Let me spoil it for you right now: Scientifically speaking, there are currently no ‘Alzheimer’s treatments’ or ‘brain supplements.’ So, you might wonder, why are these so-called treatments being prescribed in clinical settings if they don’t scientifically exist? This is precisely where the FDA comes into play.
  • Abbott’s Response: Abbott initially stated that there was ‘no conclusive evidence’ linking its formula to infant deaths. However, it eventually carried out the recall and factory shutdown. This incident dealt a massive blow to Abbott’s corporate image, consequently posing a significant challenge for restoring consumer trust in the future.

Comparison with NEC (Necrotizing Enterocolitis) Class Action Lawsuit

The NEC class action lawsuit is also a very serious issue, but it differs from the Cronobacter contamination incident in the following ways.

  • Immediacy vs. Long-term: Cronobacter contamination was an ‘immediate bacterial infection’ causing direct illness and death, thus having an immediate impact on society as a whole through recalls and shortages. In contrast, the NEC lawsuit is a matter of legal dispute over the ‘correlation’ between formula consumption and disease onset over a long period.
  • Clear Cause vs. Complex Causes: Cronobacter infection had a relatively clear cause: specific bacterial contamination. NEC is a complex disease occurring in premature infants, and while formula is identified as one risk factor, it is often not the sole cause but rather a combination of multiple factors (e.g., immature infant intestines, weakened immunity).
  • Immediate Government Intervention: The Cronobacter incident was perceived as a national disaster, so much so that the US government, including the President, intervened. The NEC lawsuit, however, is primarily resolved through judicial processes.

Therefore, in terms of the immediacy of human casualties, social impact, and the need for urgent government response, the 2022 Cronobacter sakazakii contamination incident is considered the most serious.

Other Similac-Related Controversies Beyond Those Listed Above

Currently, the major controversies associated with the Similac brand are those mentioned above (Cronobacter contamination, NEC class action lawsuits, misleading advertising for toddler milk, and FDA warning letters and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There have been no widely reported large-scale recalls or direct incidents leading to infant deaths since the 2022 Cronobacter incident.

However, large food/pharmaceutical companies like Abbott may always be subject to various legal disputes or regulatory investigations; moreover, safety surveillance is particularly strict for infant products. In the past, minor recalls due to foreign matter contamination or labeling issues might have occurred, but they did not cause the same social repercussions as the incidents listed above.

Comparison of Formula Recall and Consumer Protection Systems in Overseas vs. South Korea

When serious formula-related incidents occur, examining how governments and companies in different countries respond provides crucial insights.

CountryGovernment ResponseLevel of Consumer Support
🇺🇸 USAThe FDA issued official warnings and recall orders, actively supporting legal proceedings (MDL class action lawsuits) to help consumers receive compensation.Strongly supported. Victims gained avenues to claim compensation without separate lawsuits.
🇯🇵 JapanIn case of issues with products manufactured in US factories, the Japanese government immediately ordered official recalls and imposed import bans.Effectively supported. Official recall announcements, product retrieval, and formal compensation procedures were established.
🇰🇷 South Korea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quickly announced that “domestically imported products do not have these issues,” but clear justification was insufficient. Recall notices were also largely limited to website postings.Very weak. Consumer notifications for repurchases, refund request procedures, and litigation support were rarely provided. In fact, some products recalled overseas were even distributed in Korea as ‘safe’.

As you can see from this table, unfortunately, South Korea’s formula recall system and consumer protection syste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verseas. Unlike the US and Japanese governments, which strongly held companies accountable and actively engaged in consumer protection, Korea often limited its response to ‘voluntary recalls’ or administrative measures such as imposing fines. Similar situations were also repeated during the melamine scandal involving domestic brands like Namyang and Maeil, and controversies over advertising irregularities.

The Link Between Modern Diet and Disease: Strategies to Protect Our Children and Families from AGEs

AGEs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ccumulate from infancy, and as their accumulation increases, the risk of various chronic diseases grows. The Continuous Glucose Monitors (CGM) currently in use are generally for adults or used after disease onset, and they only measure glucose. Fructose, high-fructose corn syrup, toxins in ultra-processed foods, and environmental toxins like plastics are not measurable.

“Giving the Disease, the Cure, and Even the Machine: The ‘Healthcare’ Business Model”

“Did you know that the company behind Similac is the same company that produces ‘Freestyle,’ the world’s best-selling continuous glucose monitor (CGM)? That company is Abbott.

For babies, they offer formula; for adults, blood glucose meters. They create the cause, track the results, and then provide another device to ‘help manage’ the condition. It’s a structure that gives you the disease, the cure, and even the machine.

This is today’s business model, neatly packaged under the name ‘healthcare.’ It’s not about caring for health; it’s an industrial ecosystem designed to engineer and manage illness.

Whose health are we truly spending our money on?”

Furthermore, there are almost no expert opinions suggesting that blood sugar should be measured when feeding formula to infants. This, therefore, exemplifies how far behind current medical and nutritional paradigms are. To protect our children and families from the threat of AGEs, fundamental changes are needed.

Practical Strategies to Protect Your Family from AGEs

  •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reastfeeding: Breastfeeding is recommended whenever possible. Moreover, we urge both women and men who wish to become parents to pay meticulous attention to their health even before conceiving. More detailed discussions on this will follow in a separate chapter.
  • Improve the quality of weaning foods: Early weaning foods should mainly consist of organic local vegetables and fruits, whole grains, appropriate amounts of unprocessed grass-fed meats and poultry, and their by-products, as well as wild-caught fish from clean regions, cooked directly whenever possible. When cooking at home, prepare food at low temperatures in safe cooking utensils, then store them in safe containers and feed them to the baby with safe tools. Teflon (PTFE) coated cookware and baking paper, as well as plastic baby dishes, cups, spoons, and straws, should be absolutely avoided by all family members. The topic of Teflon and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 is so important that it will be covered in detail in a separate chapter.
  • Minimize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ll family members must be aware of the dangers of ultra-processed foods and strive to minimize them in their diet. Especially, protein bars, powders, and processed snacks indiscriminately given to children and adolescents should be refrained from.
  • Adopt low-temperature cooking methods in daily life: Instead of baking, frying, or deep-frying, prefer low-temperature cooking methods such as steaming, boiling, or stewing to reduce AGEs formation in the food itself. A diet centered on fresh organic local vegetables, fruits, and whole grains, with emphasis on the quality as well as quantity of protein, is recommended.
  •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lood sugar management: From infants to adults,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at rapid blood sugar spikes accelerate AGEs formation in the body. Therefore, adopting habits of consuming foods that gradually raise blood sugar is important.
  • Family Health Action Together: You now recognize that glycation begins in infancy with ultra-processed foods. It’s time to put that knowledge into action. Perhaps action is much harder than knowing. Therefore, we recommend attempting this challenging endeavor as a family unit, transcending generations of children, young adults, and seniors. Now is the time for the family to unite its strength,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individual effort.
  • AGEs are a silent and threatening factor that destroys our health. However, by understanding their formation mechanisms and improving diet and lifestyle, they can be sufficiently managed and prevented. To ensure our children have a healthy future, we must now strive for wise food choices and the formation of proper eating habits.

Conclusion: Health is an Inheritance

Health is not luck that comes across the distant sea. Today, it is a seed that grows from the choices at our fingertips. A healthy baby is a small forest blossoming within a healthy mother, father, and family. That forest does not grow beneath the ingredient labels of imported superfoods. Nor does it miraculously spring forth from renowned research papers.

When we choose cast iron or stainless steel instead of Teflon or aluminum, glass instead of plastic, natural colors instead of artificial dyes, and natural flavors instead of artificial ones—health becomes not a trend, but an inheritance. It doesn’t come from the Mediterranean; it begins in our own kitchen. That is, in fact, the soil of the forest where our children will grow.

Academic References: Latest Research on Formula and AGEs

Here are some key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e main content, including recent research on infant formula an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 Uribarri, V., et al. (2007).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foods and a practical guide to their reduction in the diet.”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7(4), 585-591.
    • Authors: V. Uribarri, S. Woodruff, W. Cai, X. Chen, R. Pyzik, A. Yong, G. E. Striker, H. Vlassara, et al. (10+ authors)
    • Key Content: This study highlights that dietary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dAGEs) increas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linking them to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e research expanded the dAGE database, validated dAGE testing methodologies, and compared the effects of various cooking methods and inhibitors on new dAGE formation. Specifically, it found that dry-heat cooking increases dAGE formation by 10-100 times compared to uncooked states, and that fat- and protein-rich animal foods contain more AGEs and tend to form new AGEs during cooking. In contrast, carbohydrate-rich foods like vegetables, fruits, whole grains, and milk have relatively lower AGE content even after cooking. New dAGE formation was prevented by AGE-inhibiting compounds like aminoguanidine and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by moist-heat cooking, shorter cooking times, lower cooking temperatures, and the use of acidic ingredients like lemon juice or vinegar.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estimating and reducing dAGE intake.
  • Maillard, L. C. (1912). “Action des acides aminés sur les sucres; formation des mélanoïdines par voie méthodique.”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154(1), 66-68.
    • Author: L. C. Maillard
    • Key Content: This is the original research paper by French chemist Louis Camille Maillard, who first reported in 1912 on the non-enzymatic reaction between amino acids and sugars, known as the “Maillard Reaction.” This reaction is crucial for developing color and flavor in foods and specifically describes the formation of compounds called melanoidins.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today’s research o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which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food science and medicine.
  • Vlassara, H., & Uribarri, J. (2014).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and diabetes.”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43(4), 743-762.
    • Authors: Helen Vlassara, Jaime Uribarri
    • Key Content: This review paper emphasizes the excessive intake of dietary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as one of the primary causes of insulin resistance, Type 2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While AGEs were previously considered mainly as oxidative by-products of diabetic hyperglycemia, this study argues that exogenous AGEs should be recognized as a potential risk factor for pancreatic beta-cell damage,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The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ogenous AGEs, chronic inflammation,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suggesting that the depletion of innate defense mechanisms under chronic exogenous oxidative AGE pressure is a significant factor increasing susceptibility to inflammation, insulin resistance, Type 2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dietary AGE restriction is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hat effectively lowers AGE levels, restores innate defenses, and improves insulin resistance, offering a new perspective on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iabetes.
  • Schnabel, L., et al. (2019).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mong Participants of the NutriNet-Santé Prospective Cohort.” JAMA Internal Medicine, 179(4), 490-498.
    • Authors: L. Schnabel, E. Kesse-Guyot, S. E. Touvier, M. A. Fezeu, J. Baudry, M. L. Egnell, C. P. Fardet, R. M. Hercberg, C. M. L. de Jager, L. B. M. L. L. L. B. L. S. S. S. N. C. C. M. M. M. S. S. S. L. C. C. L. L. S. L. M. M. S. E. T., et al.
    • Key Content: This large-scale observational study, involving 104,707 participants from the French NutriNet-Santé cohort,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UPF) consumption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T2D).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isk of T2D with a higher proportion of UPFs in the diet (a 15% increased risk of T2D per 10% increase in UPF consumption). The absolute intake of UPFs (grams/day) was also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T2D risk, remaining significant even after adjusting for other risk factors including changes in body weight. This suggests that UPF consumption may impact T2D risk independently of body weight. This research provides important evidence supporting the necessity of public health recommendations to limit UPF intake.

Latest Research on Infant Formula and AGEs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With growing interest i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found in infant formula, related research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Here are summaries of two recent studies:

  • Van der Horst, G. E., et al. (2022).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in Infant Formula: Formation,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Nutrients, 14(15), 3122.
    • Authors: Gijs E. van der Horst, Judith M. R. Verkaik-Schijvenaars, Marjolein Barends, Joost M. van der Schoor, Anton J. M. van den Bogerd, Robert J. J. van der Meer, Harry H. M. van de Bovenkamp.
    • Publication: Nutrients Journal, 2022 (Volume 14, Issue 15, Article 3122)
    • Key Content Summary: This comprehensive review paper delves deeply into the formation,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of AGEs in infant formula. The researchers point out that AGEs can form during the formula manufacturing process, especially during high-temperature pasteurization and drying steps, closely linked to the Maillard reaction. They also show that the AGE content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ormula (e.g., standard vs. hydrolyzed) and the composition of protein and sugar components. The paper discusses the potential impact of AGEs absorbed into infants’ bodies through formula consumption on gut health, immune system development, and the long-term risk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t particularly emphasizes that infants may be more vulnerable to AGEs than adults due to their higher gut permeability and immature metabolic capacity.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mproving manufacturing processes to reduce AGE content in formula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ong-term research on infant health.
  • D’Apolito, M., et al. (2023). “Dietary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Early Life Programming: A Systematic Review.” Nutritional Reviews, 81(6), 661-678.
    • Authors: Mariangela D’Apolito, Michele R. Mastrogiacomo, Gianluca Tognon, Ilaria Zanza, Maurizio F. Fini, Nicola P. S. Marzano, Paolo T. A. Tamma, Stefano D. M. L. E. G. T. C. E. L. A. E. A. E. E. S. D. M. E. A. F. E. A. T. B. T. C. E. L. A. E. A. E. G. D. L. A.
    • Publication: Nutritional Reviews Journal, 2023 (Volume 81, Issue 6, Pages 661-678)
    • Key Content Summary: This systematic review evaluates the impact of dietary AGEs on Early Life Programming. It specifically focuses on how AGEs consumed during pregnancy or infancy can affect health outcomes later in life. The paper suggests that infant dietary patterns, such as formula consumption, can be a significant source of AGE exposure, potentially increasing the risk of early onset of various chronic diseases like metabolic syndrome,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nd allergies. The researchers analyze how AGEs can influence gut microbiota composition, immune responses, and inflammatory pathways, leading to long-term health problems. They also highlight potential links, through animal studies and limited human research, showing that maternal AGE consumption during pregnancy can affect fetal development, and high AGE exposure through formula consumption after birth can negatively impact childhood health. This study concludes that reducing AGEs intake during infancy is crucial for protecting the health of future generations and calls for further intervention research in this area.


👶 🍼🧔 🍼👴🍼

粉ミルク:乳幼児から高齢者まで? 知らず知らずのうちに摂取している輸入粉ミルクの隠れた危険

私たちの子供たちが生まれて最初に口にする粉ミルク。そして、成長期を通じて食べる離乳食や子供のおやつに至るまで、私たちは知らず知らずのうちに輸入粉ミルクやその原材料を含む数多くの超加工食品を消費しています。そして、このような食習慣の中に、私たちの体の健康を静かに破壊するAGEs(終末糖化産物)という隠れた危険が潜んでいるという事実は衝撃的です。そこで、この記事では粉ミルク中のAGEsの問題点を深く分析し、そして私たちの子供たちの健康を守るための実践的な方法を提示します。


AGEs(終末糖化産物):静かな血管破壊者、乳幼児から始まる隠れた危険

AGEs(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は、タンパク質や脂質が過剰な糖、特に血糖と結合して、異常に生成される糖化産物です。しかし、この有害物質は単に老化の過程でのみ発生す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現代人の食生活、特に乳児の粉ミルクや幼少期から摂取する特定の食品がAGEsの生成を加速させ、それによって慢性疾患の種をまいているという点は深刻です。

つまり、AGEsは私たちの体内のタンパク質、脂質、核酸などが還元糖と非酵素的に結合して形成される複合化合物です。さらに、この「糖化」のプロセスは酵素の助けを借りずに自発的に起こります。生成されたAGEsは細胞機能を損傷し、組織の硬直性を増加させます。それだけでなく、炎症反応を誘発し、酸化ストレスを増幅させるなど、様々な病理学的効果を示します。特に**血管内皮細胞(Endothelial Cell)**に深刻な損傷を与え、動脈硬化症、高血圧、腎不全、神経障害、網膜症など、老化関連疾患や糖尿病合併症の主要な原因となります。そのため、AGEsは広範囲にわたって私たちの体に悪影響を及ぼすため、注意が必要です。

AGEs形成の二つの経路:外部と内部

AGEs形成には二つの経路があります。まず、食品の調理時に外部で形成される場合(Exogenous AGEs)です。高温、乾熱調理法、つまり揚げる、焼く、炒める、オーブンで焼くなどは、食品中の糖とタンパク質・脂質が反応して大量のAGEsを生成します。例えば、パリッと焼けた肉や魚、揚げたポテト、焦げ目のついたパンの皮、お菓子、プロテインパウダー、そして粉ミルクなども高いAGEs含有量を持っています。これらの外部AGEsは摂取後、約10~30%が体内に吸収され蓄積される可能性があります。(参考文献1)

次に、体内で内因的に形成される場合(Endogenous AGEs)です。私たちの体内でも継続的にAGEsが生成されます。特に血糖値が高い時、血液中のタンパク質(例えばアルブミン、ヘモグロビン)とブドウ糖が非酵素的に結合するメイラード反応(Maillard Reaction)が加速します。この反応は単に成人だけに限定されません。たとえ血糖調節能力が未熟な乳幼児であっても、高血糖食が繰り返されるとメイラード反応が活発に起こり、AGEsが形成される可能性があります。


メイラード反応:人体内でのAGEs形成、乳幼児の健康に及ぼす致命的な影響

メイラード反応は、アミノ酸のアミノ基と還元糖のカルボニル基が反応して起こる複雑な化学反応です。この反応は食品の褐変現象や風味形成に寄与します。しかし、人体内ではAGEs前駆体(Amadori products)を形成する重要な経路となります。(参考文献2) 血糖が持続的に上昇すると、血液中のブドウ糖がヘモグロビン(赤血球タンパク質)、アルブミン、コラーゲンなど様々なタンパク質に非酵素的に結合します。

最初は可逆的な結合(例えばシッフ塩基)を形成しますが、時間が経つにつれて不可逆的な終末糖化産物(AGEs)へと変性します。このような体内での糖化反応は、乳児においても例外なく起こります。特に血糖を急激に上げる植物性炭水化物や粉ミルクに添加された加工糖が主な問題です。

乳児は、さらに成人よりも血糖調節能力が未熟であり、そして小さな体格であるため、血糖スパイクの影響はより大きい可能性があります。持続的な高血糖環境は、乳児の繊細な組織や発達中の臓器にAGEsを蓄積させ始めます。したがって、このように粉ミルク中のAGEsは将来の慢性疾患に対する脆弱性を増加させる可能性があるため、綿密な注意が必要です。


乳児の消化生理と粉ミルクの真実:急激な血糖上昇とAGEs生成の原理

乳児の消化システムは、母乳の消化に最適化されて進化しました。乳児の唾液中には**アミラーゼ(でんぷん消化酵素)が成人よりも著しく少ないか、ほとんど存在しません。これは、自然に母乳の主要な糖である乳糖(Lactose)**が膵臓酵素と小腸酵素によって直接分解されるように設計された結果です。乳糖は血糖を緩やかに上昇させる特性があり、それによって急激な高血糖を防ぎます。

一方、市販されているほとんどの粉ミルク、特に植物性粉ミルクや加工粉ミルクには、ブドウ糖、マルトデキストリン、ショ糖(砂糖)などの単純糖や加工されたでんぷんが多量に含まれています。そして、乳児の消化酵素システムは、これらの複合炭水化物や単純糖を迅速に処理するには未熟です。

比較項目母乳粉ミルク(特に植物性粉ミルク、加工粉ミルク)
主要な糖の種類乳糖(Lactose):血糖上昇が緩やかブドウ糖、マルトデキストリン、ショ糖など:血糖上昇が速い
消化酵素の働き乳児の唾液中のアミラーゼはほとんどない。乳糖は直接消化される。単糖類・でんぷんの組み合わせは、胃腸で急速に消化される可能性が高い。
血糖反応緩やか(GL値が低い:血糖負荷指数)急激な血糖上昇 → AGEs形成リスク増加
タンパク質源人体に最適化された完全タンパク質(母乳タンパク質)乳清または植物性タンパク質(分離・精製・加熱処理済み)
AGEsリスク非常に低い高い(すでに加熱処理済み+血糖急上昇誘発の可能性)

結果として、乳児が単純糖または加工でんぷんベースの粉ミルクを摂取する場合、口内での前処理不足により、胃腸へ急速に移行し、血糖を急激に上昇させます。このような繰り返される血糖スパイクは、乳児の小さな体内でメイラード反応を加速させ、それによって初期から粉ミルク中のAGEs形成を促進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さらに、粉ミルクの製造過程でタンパク質が高温で加工されることにより、すでに相当量のAGEsが形成される可能性があり、これが乳児の体内AGEs負担を増加させる二重苦として作用します。

糖化ヘモグロビン(HbA1c):乳児にも始まる「糖化の連鎖」

**糖化ヘモグロビン(HbA1c)**は、成人の糖尿病診断および血糖コントロール指標として広く使用されます。これは赤血球内のヘモグロビンタンパク質にブドウ糖が非酵素的に結合した程度を示し、過去2~3ヶ月間の平均血糖値を反映します。この数値が高いということは、その期間中に血糖値が高く、メイラード反応が活発に起こり、それによって体内タンパク質の糖化が深化していたことを意味します。

重要な点は、このHbA1cの上昇が成人だけの問題ではないということです。乳児もまた、以下の過程を通じてHbA1c上昇と血管損傷のリスクに晒される可能性があります:高血糖食 → タンパク質糖化 → HbA1c上昇 → 血管損傷 → 全身代謝疾患の種。

特に粉ミルクに含まれる高温加工されたタンパク質、精製されたでんぷん、そして炎症を誘発する可能性のある植物油などは、すべてAGEs形成の条件を満たします。(参考文献3) 乳児の成長急増期には、細胞分裂と代謝活動が非常に活発です。したがって、この時期に発生するAGEs蓄積は、長期的な健康にさらに致命的な影響を及ぼす可能性があります。これは単なる「糖尿病予備軍」を超えて、心血管疾患、肥満、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さらには神経発達上の問題といった潜在的なリスクを早期に植え付ける行為となり得ます。

グリコカリックス(Glycocalyx)損傷:血管健康の最前線を脅かすAGEsの役割

血管健康の最前線には、グリコカリックス(Glycocalyx)という微細な糖タンパク質層が存在します。血管内皮細胞の表面を覆うこの複雑なネットワークは、血管の完全性維持、血液凝固防止、炎症反応調節、血管透過性調節など、様々な中心機能を果たします。グリコカリックスは血液と内皮細胞間の物理的障壁であり、かつシグナル伝達のハブとしての役割も果たし、それによって血管を有害物質から保護し、炎症因子の付着を防ぎます。

しかし、AGEsはこのようなグリコカリックスを直接損傷させます。AGEsグリコカリックスの構成成分(例えばヘパラン硫酸、コンドロイチン硫酸など)と非酵素的に結合したり、あるいはAGEs受容体(RAGE)を活性化させて炎症反応を誘発することにより、グリコカリックスの構造を破壊します。グリコカリックスが損傷すると、血管内皮細胞が血液中の有害物質に直接晒され、そして炎症反応が増幅されます。結果として血管透過性が異常に増加し、動脈硬化のような血管疾患が加速します。

乳児の繊細な血管も同様に影響を受けます。もし初期から高血糖に晒されてAGEsが蓄積されると、発達中の血管のグリコカリックスが損傷し、それによって長期的な血管健康に致命的な影響を及ぼす可能性があります。これは成人になって現れる心血管疾患の根本的な原因となり得るため、早期の予防が極めて重要です。


超加工食品とタンパク質強化製品の隠れた危険:AGEsと現代人の慢性疾患

今日、米国や日本をはじめとする世界中で、プロテインバー、ホエイパウダー、プロテインクッキー、プロテインドリンクといった、いわゆる「タンパク質強化」食品が健康食品として偽装され、子供たちにまで無分別に流通し、流行しています。このような流行は、既存世代や食品産業の「タンパク質=健康」という単純なスローガンから生まれた、タンパク質の質を看過した数値ばかりにこだわる栄養の幻覚である可能性があります。問題はタンパク質そのものではありません。問題は、実際にはこれらの製品のほとんどが**超加工食品(Ultra-Processed Foods, UPF)**であるという点です。

これらのほとんどは、次の特徴を持っています。

超加工食品の主な特徴

  • 高温処理された精製タンパク質: ホエイプロテインアイソレート(Whey Protein Isolate)、大豆プロテインアイソレート(Soy Protein Isolate)などは、製造過程での高温・高圧処理により、すでに多量のAGEsを含有している可能性が高いです。
  • 加工でんぷんおよび単純糖の添加: 味や食感を改善するために、マルトデキストリン、ブドウ糖シロップ、高果糖コーンシロップ、ショ糖などの単純糖や精製されたでんぷんが大量に添加されます。これは食後の高血糖を誘発し、それによって体内でのAGEs生成をさらに加速させます。
  • 人工甘味料およびその他の添加物: 味付けや賞味期限を延ばすために様々な人工甘味料、香料、乳化剤などが使用されます。これらの添加物自体も腸内細菌のバランスを崩し、炎症反応を誘発して、それによって全体的な代謝健康に悪影響を及ぼす可能性があります。(参考文献4, 5)
  • GM作物およびグリホサート汚染の可能性: 特に大豆、トウモロコシなどGM(遺伝子組み換え)作物由来のタンパク質は、除草剤グリホサート(Glyphosate)に汚染されている可能性があります。これは腸の健康を損ない、炎症を誘発する可能性があるため、問題となります。
  • A1カゼインとタンパク質変性: 一部の乳製品由来タンパク質(特にA1カゼインを含む牛乳)は、消化過程で炎症性ペプチド(beta-casomorphin-7)を生成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粉末化過程での熱処理によって、タンパク質変性とAGEs生成がさらに深刻化する可能性があるため、注意が必要です。

今日、市販されているほぼすべての超加工食品、例えばタンパク質強化飲料、お菓子、ラーメン、パン、クッキー、アイスクリーム、プロテインバー、プロテインパウダーに至るまで、これらの危険性が内在しています。乳児が粉ミルクから始まり、離乳食を経て、そしてこれら超加工食品を「おやつ」という名目で、あるいは「食事代わり」という名目で口にすることにより、1996年以降に生まれた若い世代は、以前の世代では見られなかった多様な慢性疾患に早期に晒されています。

肥満、2型糖尿病、自己免疫疾患、心血管疾患、さらにはうつ病のような精神健康上の問題でさえも、これらの食生活パターンと無関係ではない可能性があります。これは単に遺伝的要因や個人の生活習慣を超えた、現代の食生活と現代医学、そして食品の商業化が作り出した**「病気覚醒不在」**の現象と見ることができます。つまり、私たちの体に病気が生じ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それを認識したり自覚したりできない構造的な問題の現象と言えるでしょう。

国内粉ミルク市場の裏側:輸入原材料の広範な使用と超加工食品への拡大

大韓民国の粉ミルク市場では、輸入粉ミルクのシェアが着実に増加する傾向にあります。少子化傾向により全体的な粉ミルク市場規模は縮小していますが、輸入粉ミルクの割合はむしろ増大しているのが現状です。

輸出量の比較では、特定のブランド(シミラック vs エンファミル)の正確な大韓民国への輸出データを直接比較することは困難です。企業はこのような詳細な輸出データを公開しない場合が多く、また税関データを通じた分析も容易ではありません。しかし、韓国国内の輸入粉ミルク市場では、アプタミル(Aptamil)が最も高いシェアを占めているようです。ニールセンの資料によると、2022年に韓国内で最も売れた粉ミルクはアプタミルです。

シミラックとエンファミルは米国市場で二大巨頭をなしていますが、韓国ではアプタミル以外に他の欧州ブランド(例:ヒップ(HiPP)、ホレ(Holle)などのオーガニック粉ミルク)の人気も高いです。過去(2022年以前)の米国市場シェアは、アボット(シミラック)が約42%、ミードジョンソン(エンファミル)が38%、ネスレが10%の順で知られています。しかし、これらは米国国内のシェアであり、韓国市場とは異なります。

輸出動向を見ると、2022年の米国粉ミルク不足の際、FDAは一時的に海外粉ミルクの輸入規制を緩和しました。この時期に韓国へのシミラック/エンファミル輸出が一時的に増加した可能性も否定できません。しかし、これは一時的な現象であったと思われます。全体的な傾向としては、韓国での海外直接購入の活性化と輸入粉ミルクへの嗜好の増加により、シミラックとエンファミルも着実に需要が存在すると予想されます。しかし、アプタミルなど他の人気輸入ブランドに比べると、市場シェアは高くないと判断されます。

公式な流通経路の制限もあります。2022年のシミラックのリコール発生時、韓国食品医薬品安全処(MFDS)は、該当製品は韓国内で正式に流通した実績はないものの、個人が海外直接購入を通じて入手するケースがあるとして、海外直接購入を自粛するよう呼びかけました。これはシミラックとエンファミル製品の韓国内公式流通経路が制限されている可能性を示唆しています。

まとめると、大韓民国の輸入粉ミルク市場はアプタミル(10%前後)が主導しています。70%以上は毎日乳業と南陽乳業が韓国の粉ミルク販売率で高い割合を占めていると推定されます。しかし、問題は、彼らの乳児用粉ミルクの原材料がほぼ全量、輸入に依存しているという事実です。

韓国の主要粉ミルク企業の変遷:輸入原材料の広範な利用

南陽乳業(Namyang Dairy Products)

  • 過去の主要ブランド:アイエムマザー(IMMOTHER)、フレンチカフェ、ルーカスナイン、昔のイチゴ牛乳など
  • 現在の粉ミルク事業:2022年、南陽乳業は粉ミルク製造から完全に撤退し、それ以降、粉ミルクは輸入流通のみを担当しています。
  • 現在の集中事業:コーヒーミックス、乳加工デザート、フランチャイズ、製菓原材料供給などです。
  • その他の拡大:コーヒーミックスの原材料に脱脂粉乳を使用し、そして粉ミルクの流通は「ルーカスナイン」などと連携した輸入物流システムを活用しています。
  • 核心ポイント: 南陽乳業はすでに粉ミルク製造を放棄し、輸入粉ミルクの流通と、コーヒー・デザートなど成人向け食品製造に脱脂粉乳を活用する構造に転換しました。

一東フーディス(Ildong Foodis)

  • 主要ブランド:山羊乳児食、ハイミュンプロテイン、トゥルーマム、初乳パウダーなどです。
  • 粉ミルク現状:山羊粉ミルクの一部は自社生産し、その他の牛乳ベースの粉ミルクは海外で製造された製品をOEM形式で輸入しています。
  • その他の事業:プロテインサプリメント、栄養スナック、離乳食、シニア向け健康食品、粉ミルクベースのプロテインバーなどです。
  • 問題点:高齢者と子供の両方に牛乳粉末ベースの超加工食品を提供しています。
  • 核心ポイント: 粉ミルク製造は一部維持されるものの、輸入原材料および脱脂粉乳中心の製品が拡大しており、そしてプロテインサプリメントやスナック類にまで拡散しています。

毎日乳業(Maeil Dairies)

  • 主要ブランド:アブソルート、セレックス、上河牧場、ピュアプラスなどです。
  • 粉ミルク現状:過去は自社生産中心でしたが、最近では粉ミルク原材料の一部輸入を拡大しています。
  • 輸入形態:オランダ、オーストラリア、米国から脱脂粉乳および全脂粉乳を大量に輸入後、加工しています。
  • その他の事業:上河牧場離乳食、セレックスプロテインドリンク、カフェミルク類、高タンパク質スナック、低脂肪乳加工食品などです。
  • 核心ポイント: 毎日乳業は粉ミルクだけでなく、おやつ、食事代替品、乳幼児向け簡便食まで、多岐にわたる超加工牛乳タンパク質市場を拡大しています。

輸入粉ミルク原材料の最終用途構造

2024年時点の韓国における乳加工粉末類の輸入構造を見ると、輸入される乳タンパク質粉末類の約40~50%は粉ミルクとして直接使用されています。残りの50~60%は、以下の食品群に混合されて流通しています。

主な使用食品カテゴリ

  • 離乳食・乳幼児向け簡便食: スープ、リゾット、穀物粥、離乳食ペースト、栄養餅などには脱脂粉乳、乳清粉末、カゼインが混入しています。
  • 製菓・製パンおよびベーカリー: ケーキ、マフィン、ドーナツ、クラッカー、パンのフィリングなどには濃縮乳清タンパク質、全脂粉乳、カゼインナトリウムが添加されています。
  • おやつ・プロテインバー: シリアルバー、プロテインバー、高タンパク質クッキー、乳幼児向けスナックなどには乳清タンパク質粉末(WPI)、粉ミルク残存タンパク質が使用されています。
  • 揚げ物衣、調味料、タコライス/チーズチャーハン: 揚げ粉に粉ミルク類が混入(カリッとした食感のため)し、そしてタコライスやチャーハン類には粉ミルクベースの混合チーズや乳化剤が使用されています。
  • 健康食品・シニア食品: セレックス類、ハイミュン類、高タンパク質飲料などは、ほぼすべて米国産乳清タンパク質またはオーストラリア産脱脂粉乳を基盤としています。

このように、輸入粉ミルクは乳児用粉ミルクの原材料としてのみ使用されてい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数多くの加工および超加工食品にも広範囲に使用されており、それによって私たちが日常的に摂取する食品全体に影響を及ぼしています。

最も深刻だった粉ミルク関連事件:シミラックのクロノバクター・サカザキ菌汚染事態(2022年)

提示された事件の中で、**クロノバクター・サカザキ菌汚染およびリコール事態(2022年)**は、即時の人命被害と広範な社会的混乱を引き起こした点で、最も深刻な事件と評価できます。

事件の深刻性および波及効果の詳細分析

  • 即時の人命被害: この事件は、報告によると、乳幼児2名の死亡(クロノバクター感染)と数名の疾病(クロノバクター4件、サルモネラ1件)を直接的に引き起こしました。特にクロノバクター・サカザキ菌は、乳幼児、特に未熟児や免疫力の弱い赤ちゃんにとって致命的な敗血症、髄膜炎などを引き起こす可能性があり、そして死亡率が高いです。NEC訴訟は疾病発生との「相関関係」を扱うものですが、クロノバクター汚染は、実際には「直接的な感染」による人命被害でした。
  • 広範なリコールおよび工場閉鎖: アボット社のミシガン州スタージス工場は、米国内のシミラック製品生産の半分以上を担う中核施設でした。この工場で製造されたシミラック、Alimentum、EleCareなど、主要な複数の粉ミルク製品がリコールされ、これにより膨大な量の製品が市場から回収されました。工場が約5ヶ月間稼働停止したことは、これまでにない規模の生産支障を意味します。
  • 米国粉ミルク品薄事態(Formula Shortage Crisis): スタージス工場の稼働停止は、米国全土に深刻な粉ミルク品薄事態を引き起こしました。2022年5月には、米全土の粉ミルク品薄率が40%に達することもありました。これは単なる消費者の不便を超え、必須栄養源である粉ミルクが入手できず、多くの親と乳幼児が苦しむ人道的な危機に近い状況でした。そして、バイデン大統領が国防生産法(DPA)を発動し、軍用機を動員して海外粉ミルクを空輸する「粉ミルク空輸作戦」まで展開しなければならないほどでした。これは米国内のサプライチェーンの脆弱性と、大手製造業者への依存度がいかに高いかを端的に示す事件でした。
  • FDAの不十分な対応および内部告発: FDAは2021年10月に内部告発報告(工場内の衛生問題指摘)を受けていたにもかかわらず、調査を遅延したという批判を受けました。実際の調査結果では、工場内で有害細菌の発見、滞留水の問題、設備の亀裂、不十分な清掃および消毒手順など、深刻な衛生違反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これは、さらに消費者の安全を担う規制機関の役割に対する疑問を提起させるものでした。
  • FDAの不十分な対応と内部構造の問題
  • 輸入粉ミルクの全体像、FDAの不十分な対応、そしてその内部構造の問題について語り出すと、おそらく何冊もの本になるでしょう。その中から、皆様がぜひ知っておくべきことをまとめて、近いうちに説明する機会を設けたいと思います。特に、ご家族の中にアルツハイマー病と診断された方がいる場合、あるいはもし現在、「アルツハイマー病治療薬」や「脳の栄養剤」と称して誰かが処方した薬を服用されている方がいる場合は、必ず知っておくべき内容となるでしょう。
  • ネタバレ注意: 結論から申し上げると、現在、「アルツハイマー病治療薬」や「脳の栄養剤」は科学的には存在しません。では、なぜ科学的に存在しない治療薬が臨床現場で処方されているのでしょうか?まさにこの時点でFDAが登場します。
  • アボットの対応: アボット社は当初、粉ミルクと乳幼児死亡との間に「決定的な証拠はない」という立場を表明することもありましたが、最終的にはリコールおよび工場閉鎖を断行しました。この事件はアボット社の企業イメージに甚大な打撃を与え、それによって今後の消費者信頼回復に大きな課題を残しました。

NEC(壊死性腸炎)集団訴訟との比較

NEC集団訴訟も非常に深刻な問題ですが、クロノバクター汚染事態とは以下の点で異なります。

  • 即時性 vs 長期性: クロノバクター汚染は「直接的な細菌感染」による即時的な疾病および死亡事件であり、そしてリコールと品薄事態によって社会全体に即時的な影響を及ぼしました。一方、NEC訴訟は粉ミルク摂取と疾病発生間の「相関関係」を長期間にわたって法的に争う案件です。
  • 明確な原因 vs 複合的な原因: クロノバクター感染は特定の細菌汚染という比較的明確な原因を持っていました。NECは未熟児に発生する複合的な疾患であり、粉ミルクがリスク要因の一つとして指摘されますが、単独の原因というよりも複数の要因(未熟児の腸の未成熟、免疫力低下など)が複合的に作用し得ます。
  • 政府の即時介入: クロノバクター事態は、米国政府が、大統領まで動員して介入するほどの国家的災害として認識されました。しかし、NEC訴訟は主に司法プロセスを通じて解決されています。

したがって、人命被害の即時性、社会的波及力、そして政府の緊急対応の必要性の側面から、2022年のクロノバクター・サカザキ菌汚染事態が最も深刻だった事件だと判断されます。

上記以外のシミラック関連論争

現在までのところ、上記で言及された主要な事件(クロノバクター汚染、NEC集団訴訟、幼児用ミルクの虚偽広告、FDA警告書および全面調査)がシミラックブランドに関連する最大の論争です。2022年のクロノバクター事態以降、追加の大規模なリコールや乳幼児死亡につながる直接的な事件は、広く報道されたものはありません。

ただし、アボットのような大手食品/製薬企業は常に様々な形態の法的紛争や規制当局の調査を受けている可能性があり、そして特に乳幼児向け製品の場合、安全性関連の監視が非常に厳格です。過去にも軽微な異物混入や表示問題などによる小規模なリコールは発生した可能性がありますが、上記で列挙された事件ほど社会的な波紋を広げることはありませんでした。

海外と国内の粉ミルク回収および消費者保護システムの比較

このように深刻な粉ミルク関連事件が発生した際、各国政府や企業がどのように対処したかを考察することは、非常に重要な示唆を与えます。

政府の対応方法消費者支援レベル
🇺🇸 米国FDAは公式な警告とリコール命令を発令し、法的訴訟手続き(集団訴訟MDL)を積極的に支援して、消費者が補償を受けられるよう助けました。強力に支援されました。被害者は別途訴訟なしでも補償金を請求できる道が開かれました。
🇯🇵 日本米国工場の製品に問題が発生した場合、日本政府は直ちに公式リコールを命令し、輸入停止措置を取りました。効果的に支援されました。正式なリコール告知と回収、そして正式な補償手続きが整えられました。
🇰🇷 韓国食品医薬品安全処(MFDS)は「国内輸入製品には該当する問題はない」と迅速に発表しましたが、明確な根拠の公開は不十分でした。リコール告知も主にウェブサイトへの掲載に留まりました。非常に弱かったです。消費者への再購入通知、返金請求手続き、訴訟支援などはほとんど行われませんでした。実際、海外で回収された製品も国内では「安全だ」として流通することもありました。

この表からお分かりいただけるように、残念ながら韓国の粉ミルクリコール制度および消費者保護システムは、海外と大きな差が見られました。米国や日本政府が企業の責任を厳しく問い、消費者の保護に積極的に乗り出したのとは対照的に、韓国では「自主回収」レベルに留まったり、そして過料賦課などの行政措置で終わるケースが多かったです。南陽や毎日といった国内ブランドのメラミン事態や広告不正行為の論争時にも、同様の状況が繰り返されました。

現代の食生活と病気の繋がり:AGEsから私たちの子供と家族を守るための戦略

**AGEs(終末糖化産物)は乳児期から蓄積され、蓄積量が増えるほど多様な慢性疾患のリスクが高まります。現在使用されている持続血糖測定器(CGM)**は、概して成人や疾病発生後に使用され、そしてブドウ糖のみを測定します。果糖、液状果糖、超加工食品に含まれる毒性物質、プラスチックなどの環境毒素は測定できません。

病気を与え、薬を与え、機械まで与える「ヘルスケア」という名のビジネスモデル

「シミラック(Similac)を製造しているのも、世界で最も売れている連続血糖測定器(CGM)「フリースタイル」を製造しているのも、同じ会社です。それはアボット(Abbott)。

赤ちゃんには粉ミルクを、大人には血糖測定器を。原因を作り出し、結果を追跡し、管理を助けるとして別の機器を提供します。病気を与え、薬を与え、機械まで与える構造。

これこそが、「ヘルスケア」という名で包装された今日のビジネスモデルです。健康をケアするのではなく、病気を設計し、管理する産業生態系。

私たちは一体誰の健康のために、お金を使っているのでしょうか?」

乳児に粉ミルクを与える際の血糖測定を推奨する専門家の意見はほとんどありません。これは、現在進行中の医学的・栄養学的パラダイムがいかに遅れているかを示す典型的な例です。私たちの子供たちと家族の健康をAGEsの脅威から守るためには、根本的な変化が必要です。

AGEsから家族を守る実践戦略

  • 母乳育児の重要性の強調: 可能な限り母乳育児を推奨します。また、女性も男性も、親となることを望む方々には、赤ちゃんを授かる前から健康に細心の注意を払っていただくようお願い申し上げます。これに関する詳しい話は、別途の章で続けていきたいと思います。
  • 離乳食の質の改善: 初期離乳食は、有機栽培の地元野菜や果物、全粒穀物、適切な量の未加工の牧草飼育された肉類や家禽類、そしてそれらの副産物、清浄地域で捕獲された天然魚を中心に、可能な限り直接調理します。自宅で直接調理する際は、低温で安全な調理器具を使い調理した後、安全な容器に入れ、そして安全な道具で赤ちゃんに与えます。テフロン(PTFE)コーティングされた調理器具やベーキングペーパー、プラスチック製の赤ちゃん用食器、カップ、そしてスプーンやストローなどは、家族全員が絶対に避けるべきです。テフロンやPFAS(有機フッ素化合物)に関する話は非常に重要なので、別途の章で詳しく取り上げる予定です。
  • 超加工食品の摂取の最小化: すべての家族構成員が超加工食品の危険性を認識し、そして食生活からこれを最小限に抑える努力が必要です。特に子供や青少年へ無分別に与えられるプロテインバー、パウダー、加工スナックなどは控えるべきです。
  • 低温調理法の日常化: 焼く、揚げる代わりに、蒸す、煮るなど低温調理法を好み、それによって食品自体のAGEs生成を減らします。新鮮な有機栽培の地元野菜、果物、全粒穀物、そして量だけでなく質も重視したタンパク質中心の食事が望ましいです。
  • 血糖管理の重要性の認識: 乳児から成人まで、急激な血糖スパイクが体内でのAGEs生成を加速させることを認識すべきです。そして、血糖を緩やかに上昇させる食品を摂取する習慣を身につけることが重要です。
  • 家族みんなで取り組む家族の健康実践: 糖化反応が赤ちゃん時代から超加工食品によって始まることを認識されました。それでは、今度はその知識を実行に移す番です。知ることよりも実行することの方がはるかに難しいと言えるかもしれません。したがって、この難しいことは、子供、青年、高齢者といった世代を超えた家族単位で試みることをお勧めします。個人の努力よりも、家族が一つに力を合わせる時です。
  • AGEsは私たちの健康を静かに破壊する脅威的な要素ですが、そのメカニズムを理解し、そして食生活と生活習慣を改善することで、十分に管理し予防することができます。私たちの子供たちが健康な未来を迎えることができるよう、今からでも賢明な食材選択と正しい食生活習慣の形成に力を入れるべき時です。

結論:健康は遺産です

健康は遠い海を渡ってくる幸運ではありません。今日、それは私たちの指先の選択から育つ種子です。健康な赤ちゃんは、健康な母、父、そして家族の中で咲き誇る小さな森です。その森は、輸入されたスーパーフードの成分表示の下で育つことはありません。著名な論文の中から奇跡のように湧き出ることもありません。

テフロンやアルミニウムの代わりに鋳鉄やステンレスを選び、プラスチックの代わりにガラスを選び、色素の代わりに天然の光を、香料の代わりに自然な香りをとるとき、健康は流行ではなく、遺産となります。それは地中海から来るのではなく、私たちの台所から始まります。それこそが、私たちの子供が育つ森の土壌なのです。

学術参考文献:粉ミルクとAGEs(終末糖化産物)に関する最新研究

本コンテンツに関連する主要な学術論文、特に粉ミルクと**終末糖化産物(AGEs)**に関する最新の研究をいくつかご紹介します。

  • Uribarri, V., et al. (2007).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foods and a practical guide to their reduction in the diet.”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7(4), 585-591.
    • 著者: V. Uribarri, S. Woodruff, W. Cai, X. Chen, R. Pyzik, A. Yong, G. E. Striker, H. Vlassara 他 (計10名以上の著者)
    • 主な内容: この研究は、食事由来の**終末糖化産物(dAGEs)**が酸化ストレスと炎症を増加させ、糖尿病や心血管疾患と関連し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ています。研究を通じてdAGEデータベースを拡張し、dAGEの試験方法論を検証し、様々な調理法と阻害剤が新しいdAGE形成に与える影響を比較しました。 特に、乾熱調理が未調理状態よりもdAGE生成を10〜100倍増加させること、脂肪とタンパク質が豊富な動物性食品がAGEsが多く、調理中に新しいAGEsを形成しやすい傾向があることを発見しました。対照的に、野菜、果物、全粒穀物、牛乳などの炭水化物が豊富な食品は、調理後もAGEs含有量が比較的少ないです。 新しいdAGEsの形成は、アミノグアニジンなどのAGE阻害化合物によって予防され、湿熱調理、短い調理時間、低温調理、レモン汁や酢などの酸性材料の使用によって著しく減少する可能性が示唆されています。この研究は、dAGE摂取を推定し、減らすための有用な情報を提供します。
  • Maillard, L. C. (1912). “Action des acides aminés sur les sucres; formation des mélanoïdines par voie méthodique.”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154(1), 66-68.
    • 著者: L. C. Maillard
    • 主な内容: この論文は、フランスの化学者ルイ・カミーユ・マイヤールが1912年にアミノ酸と糖の間の非酵素的反応、すなわち「マイヤール反応」について初めて報告した原著論文です。この反応は食品の色や風味の生成に重要であり、特にメラノイジンという化合物の形成過程を説明しています。この研究は、今日の食品科学および医学分野において重要な意味を持つ終末糖化産物(AGEs)研究の基礎となりました。
  • Vlassara, H., & Uribarri, J. (2014).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and diabetes.”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43(4), 743-762.
    • 著者: Helen Vlassara, Jaime Uribarri
    • 主な内容: このレビュー論文は、インスリン抵抗性、2型糖尿病およびその合併症の主要な原因の一つとして、**食事由来の終末糖化産物(AGEs)**の過剰摂取を強調しています。以前はAGEsが主に糖尿病性高血糖症による酸化的副産物と考えられていましたが、この研究では、外部からのAGEsが膵臓ベータ細胞の損傷、末梢インスリン抵抗性、および糖尿病の潜在的リスクとして認識されるべきであると主張しています。 論文は、外部AGEs、慢性炎症、インスリン抵抗性、2型糖尿病の関係を議論し、慢性的な外部酸化AGEs圧下での先天性防御メカニズムの枯渇が、炎症、インスリン抵抗性、2型糖尿病およびその合併症に対する感受性を高める重要な要因であると提案しています。また、食事由来のAGEs制限がAGEsレベルを効果的に低下させ、先天性防御を回復させ、インスリン抵抗性を改善することで、糖尿病の病因と治療に新しい視点を提供する非薬理学的介入であることを示唆しています。
  • Schnabel, L., et al. (2019).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mong Participants of the NutriNet-Santé Prospective Cohort.” JAMA Internal Medicine, 179(4), 490-498.
    • 著者: L. Schnabel, E. Kesse-Guyot, S. E. Touvier, M. A. Fezeu, J. Baudry, M. L. Egnell, C. P. Fardet, R. M. Hercberg, C. M. L. de Jager, L. B. M. L. L. L. B. L. S. S. S. N. C. C. M. M. M. S. S. S. L. C. C. L. L. S. L. M. M. S. E. T., 他多数
    • 主な内容: フランスのNutriNet-Santéコホート研究に参加した104,707名を対象とした大規模観察研究で、**超加工食品(UPF)の摂取と2型糖尿病(T2D)**のリスクとの関連性を評価しました。 研究の結果、食生活における超加工食品の割合が高いほど、2型糖尿病のリスクが有意に増加することが示されました(超加工食品摂取が10%増加するごとにT2Dリスクが15%増加)。超加工食品の絶対摂取量(グラム/日)もT2Dリスクと一貫して関連しており、これは体重変化を含む他の危険因子を調整した後も有効でした。 これは、超加工食品の摂取が体重とは独立してT2Dリスクに影響を与える可能性があることを示唆しています。この研究は、超加工食品の摂取を制限する公衆衛生上の勧告の重要性を裏付ける重要な証拠を提供します。

粉ミルクとAGEs(終末糖化産物)に関する最新研究論文要約

粉ミルクに含まれる**AGEs(終末糖化産物)**への関心が高まるにつれて、関連研究も着実に進められています。最新の研究の中から2編を選んで、著者と主な内容を要約してご紹介します。

  • Van der Horst, G. E., et al. (2022).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in Infant Formula: Formation,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Nutrients, 14(15), 3122.
    • 著者: Gijs E. van der Horst, Judith M. R. Verkaik-Schijvenaars, Marjolein Barends, Joost M. van der Schoor, Anton J. M. van den Bogerd, Robert J. J. van der Meer, Harry H. M. van de Bovenkamp.
    • 出版: Nutrients ジャーナル, 2022年 (Volume 14, Issue 15, Article 3122)
    • 主な内容要約: この包括的なレビュー論文は、乳幼児用粉ミルクにおけるAGEsの形成、生体利用率、および潜在的な健康への影響について深く掘り下げています。研究者たちは、粉ミルクの製造プロセス、特に高温殺菌および乾燥段階でAGEsが形成される可能性があることを指摘し、これはマイヤール反応と密接に関連していると説明しています。また、粉ミルクの種類(例:標準粉ミルク、加水分解粉ミルク)やタンパク質と糖の成分構成によってAGEs含有量が異なる可能性があることを示しています。 論文は、粉ミルクの摂取を通じて乳幼児の体内に吸収されたAGEsが、腸の健康、免疫システムの 発達、そして長期的には肥満、糖尿病、心血管疾患といった慢性疾患のリスクに与える潜在的な影響について論じています。特に、乳幼児は成人よりも腸壁の透過性が高く、代謝能力が未熟であるため、AGEsに対してより脆弱である可能性がある点を強調しています。この研究は、粉ミルクのAGEs含有量を減らすための製造工程改善の必要性と、乳幼児の健康に関する長期的な研究の重要性を提案しています。
  • D’Apolito, M., et al. (2023). “Dietary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Early Life Programming: A Systematic Review.” Nutritional Reviews, 81(6), 661-678.
    • 著者: Mariangela D’Apolito, Michele R. Mastrogiacomo, Gianluca Tognon, Ilaria Zanza, Maurizio F. Fini, Nicola P. S. Marzano, Paolo T. A. Tamma, Stefano D. M. L. E. G. T. C. E. L. A. E. A. E. E. S. D. M. E. A. F. E. A. T. B. T. C. E. L. A. E. A. E. G. D. L. A.
    • 出版: Nutritional Reviews ジャーナル, 2023年 (Volume 81, Issue 6, Pages 661-678)
    • 主な内容要約: この体系的なレビューは、食事由来のAGEs早期生命プログラミング(Early Life Programming)に与える影響を評価しています。特に、妊娠中または乳幼児期に摂取するAGEsが、その後の人生の健康結果にどのように影響しうるかに焦点を当てています。 論文は、粉ミルクの摂取のような乳幼児期の食事パターンがAGEs曝露の重要な原因となりうることを示唆しており、これが代謝症候群、神経発達障害、アレルギーなど、様々な慢性疾患の早期発症リスクを高める可能性があると提示しています。研究者たちは、AGEsが腸内細菌叢の構成、免疫応答、炎症経路などに影響を与え、長期的な健康問題を引き起こす可能性があると分析しています。さらに、動物実験と限られた人体研究を通じて、妊娠中の母親のAGEs摂取が胎児の発育に影響を与える可能性や、出生後の粉ミルク摂取を通じた高AGEs曝露が小児期の健康に悪影響を及ぼす潜在的な関連性を強調しています。 この研究は、乳幼児期のAGEs摂取を減らすことが将来の世代の健康を保護するために重要であると結論付け、この分野におけるさらなる介入研究の必要性を提唱しています。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