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바람과 함께 사라질지 모를 위기의 조지아의 봄 이야기입니다.
2025년 2월, 트럼프-케네디 행정부가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만들자(Make America Healthy Again, MAHA)’**는 야심 찬 보건 이니셔티브를 공식적으로 출범했습니다. 이 MAHA 운동은 만성질환의 급증과 비정상적인 식생활 습관, 그리고 환경 독소의 증가 등 복합적인 건강 문제에 대한 깊은 인식에서 출발했으며, 특히 미국 어린이들의 건강을 지키려는 중요한 움직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과연 이러한 ‘봄소식’이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의 식탁에 따뜻한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이 운동의 배경과 핵심 인물들, 그리고 주요 목표와 함께 현실적인 도전들을 면밀히 살펴보면서, 이 변화가 우리 사회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함께 예상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MAHA 운동의 시작과 핵심 인물
MAHA 운동은 2025년 2월 13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동한 행정명령을 통해 MAHA 위원회가 설립되면서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위원회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HHS(보건복지부) 장관이 직접 주도하고 있으며, 그의 핵심 고문으로는 영국 국적의 저명한 심장내과 의사이자 건강 캠페이너인 아심 말호트라 박사가 수석 의료 고문(Chief Medical Adviser)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장관은 백신 자율권 보장과 초가공식품 규제 강화, 그리고 과의료화 개선 등을 MAHA 운동의 주요 정책 방향으로 명확하게 제시했습니다. 특히 아심 말호트라 박사는 초기에는 백신 지지 입장이었으나, 이후 mRNA COVID-19 백신이 심혈관계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신호를 강조하며 현재 논쟁의 중심에 서 있기도 합니다. 그는 이와 관련된 연구와 공적 발언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MAHA 운동의 주요 목표와 현실적인 도전
MAHA 운동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바로 미국 국민들의 만성질환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핵심적인 정책 방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MAHA 운동의 세부 목표
- 글리포세이트 및 기타 화학물질 노출 최소화: 이 운동은 특히 ‘팜 투 키친(Farm to Kitchen)’ 즉, 농장에서 식탁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유해 화학물질 노출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 초가공식품 저감: 즉석식품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가공식품과 설탕, 과당, 인공색소 등 불필요한 첨가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려 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건강한 식습관을 유도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백신 자율화: COVID-19 백신 권고를 완화하고 CDC ACIP 위원회를 해체하는 등 백신 접종에 대한 개인의 자율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공중 보건과 개인의 선택권 사이에서 중요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 과의료화 방지: 아동 정신과 약, 항우울제, 그리고 체중 감량 약 등의 과도한 처방을 경계하며, 불필요한 의료 개입을 줄이려 합니다. 이는 약물 오남용과 관련된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긍정적인 목표에도 불구하고, MAHA 운동은 현실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거대한 산업의 이해관계와 과학적 논쟁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입니다.
식품·농축산업계의 예상된 강력한 반발 vs. 국민 건강 문해력을 지원하는 최신 과학적 증거들
식품·농축산업계는 MAHA 운동이 제기한 글리포세이트 관련 보고서에 대해 “비과학적”이라며 강하게 비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이 주장하는 “비과학적”이라는 말이 과연 누구에게 적용되는 것인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문자 그대로 따끈한 최신 논문이 며칠 전 발표되었기에 이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논문을 통해 여러분이 직접 누가 “비과학적”인 주장을 펼치고 있는지 판단하실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이 중요한 연구는 권위 있는 저널 **’Environment International(Elsevier 출판)’**에 게재되었습니다. 볼륨/호수는 Volume 200이며, 게재일은 2025년 6월, 논문 번호는 109544입니다. 주요 저자 및 소속 기관으로는 Marta Lombó (Università Politecnica delle Marche)와 Christian Giommi (Universidad de León) 등 이탈리아, 스페인, 캐나다의 여러 학자들이 참여했습니다.
최신 글리포세이트 관련 논문의 핵심 주제와 의미
이 최신 논문의 제목은 **”규제상 ‘안전한’ 수준의 글리포세이트가 생식 건강에 미치는 영향: 남성 생식세포 계통에 대한 세포 및 분자적 혼란(The impact of glyphosate at regulatory ‘safe’ levels on reproductive health: cellular and molecular disruptions on male germ line)”**입니다. 이 매우 중요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규제 기관들이 **’안전하다’**고 간주하는 수준의 글리포세이트 노출조차도 **남성 생식 세포(germ line)**에 **세포 수준 및 분자 수준의 손상(disruption)**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특히, 정자 형성과 기능, 호르몬 신호 전달, 그리고 유전자 발현 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이 논문은 단순히 글리포세이트의 유해성을 경고하는 것을 넘어, **’규제상 안전하다고 정의된 수준’**조차도 실제로는 무해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지적합니다. 또한, 남성 생식력 저하, 정자 이상, 세포 손상 등의 심각한 우려를 제기하며, 특히 어린이, 태아, 가임기 남성 등 취약 집단에 대한 장기적인 위험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유럽 식품안전청(EFSA), 미국 환경보호청(EPA) 등 기존의 안전 기준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 필요성을 강력하게 제기하고 있기에, 그 의미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신 글리포세이트 연구 결과와 대한민국의 대응 예측
이 논문은 식품, 농업, 환경 보건, 독성학, 생식 의학, 분자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향후 글리포세이트 사용 규제를 강화하는 논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논문이 전하는 핵심 메시지는 **”이탈리아처럼 가장 엄격한 글리포세이트 잔류 기준(예: 0.8 μg/kg bw/day)조차도 안전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탈리아의 엄격한 글리포세이트 노출 허용량을 적용한 실험에서 남성 생식 세포 손상, 호르몬 불균형, DNA 및 세포 내 신호 전달 교란이 명확히 관찰되었다면, 이보다 훨씬 허술한 기준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유럽 선진국들이 설정한 “안전 기준”이 실제로는 생명과 생식 건강을 전혀 보호하지 못할 수 있다는 과학적 반증 앞에서, 대한민국은 과연 어떤 대응을 보일지 궁금합니다.
침묵: 글리포세이트 문제에 관한 대한민국의 대처 방식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에서도 글리포세이트 관련 기준이 상대적으로 느슨한 편에 속합니다. 몇몇 분들은 “한국은 0.01 ppm이 법적 기준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혹시, 수입·통관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용도 분리’**에 대해 아실까요? 이는 수출국에서는 식용과 사료용 구분 없이 동일한 GMO 대두나 옥수수로 재배·생산되지만, 일단 한국에 들어오면 법적·행정적으로 식용과 사료용으로 분리되는 단계를 뜻합니다. 이때 식용이라면 잔류 농약 검사 대상이 되어 0.01 ppm의 법적 기준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사료용이라면 검사에서 제외되거나 훨씬 완화된 기준이 적용되어 수입이 훨씬 수월하게 허용됩니다.
그러나 문제는, 실제로는 식용으로도 충분히 쓰일 수 있는 원료가 “사료용”으로 통관되었다가 재가공되는 구조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실상은 이러한데도 국민에게는 “까다로운 기준을 지켜 유통되고 있는 안전한 수입 GMO콩과 옥수수, 글리포세이트 성분이 낮게 측정되는 수입작물을 먹고 있다”라는 착시를 유도하는 독특한 분류 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장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드릴 예정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잔류 허용 기준은 다양한 식품에서 상대적으로 높거나 불분명하게 설정된 경우가 많으며, 수입 농산물, 가공식품, 그리고 병워, 학교, 직장, 군대 급식 납품 곡물에 대한 정밀한 모니터링과 규제 조치가 턱없이 부족합니다. 게다가 실제로는 “검출되었으나 기준 이내”라는 이유로 유통 허용이 반복되고 있어 국민의 건강권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국 사회의 침묵은 왜 계속될까요?
한국 사회가 이러한 현실에 ‘침묵’으로 일관하는 이유는 복합적입니다.
- 기업과 이익 보호: 다국적 농화학 기업과 국내 대형 식품·유통업체들은 글리포세이트가 포함된 수입 작물을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규제하면 공급망에 엄청난 타격이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들은 강력한 로비를 통해 현상 유지를 꾀합니다.
- 정치적 부담 회피: 규제를 강화하면 기업의 반발은 물론, 수출입 갈등 심화, 그리고 식품 가격 상승 등 여러 가지 파장이 예상되기에 정치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정부나 정치인들은 이러한 부담을 피하려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정보 부족으로 인한 국민 인식 빈약: 대한민국 국민들은 건강에 대한 욕망이 그 어느 나라 국민들보다도 뜨겁습니다. 다만, 올바르고 충분한 정보가 제대로 공유되지 않은 탓에 이러한 욕망이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을 뿐입니다. 국민들이 정확한 정보를 알게 되면 훨씬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 해야 할 일: 정부를, 건강 관련 전문집단의, 과학적·윤리적 책임을 논하느라 시간 낭비하지 않기로 합니다
과학적·윤리적 책임을 다하는 나라의 국민이라면, 지금 당장 어떤 계획을 세워야 할까요? 우리는 더 이상 시간 낭비할 여유가 없습니다.
- 글리포세이트 노출 실태조사 강화: 수입 곡물, 급식 재료, 가공식품 등 전 영역에서 정밀 잔류 검사를 대폭 확대해야 합니다. 현재의 미흡한 검사 체계로는 국민 건강을 지킬 수 없습니다.
- 국민의 알 권리 보장: 국회에 9년 동안 잠자고 있는 GMO 완전 표시제 의안을 즉시 통과시키고, GMO 여부 및 글리포세이트 검출 이력을 명확히 표시하는 법안도 한목소리로 제정해야 합니다. 소비자가 무엇을 먹는지 정확히 알 권리는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 현행 기준의 전면 재검토: 위에 재시한 논문의 결과처럼 ‘안전하다’고 여겨지던 기준조차 실제로는 유해할 수 있다는 최신 과학적 증거를 직시하고, 현행 잔류 허용 기준을 전면 재검토해야 합니다. 유럽연합(EU)처럼 예방 원칙에 따라 글리포세이트 사용 금지 또는 단계적 퇴출을 도입해야 합니다.
- 친환경·비화학 농업 장려 정책 구체화: 제초제에 의존하지 않는 재생 농업과 무농약 자급 곡물 시스템이 확산되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전국민적인 결의를 모아야 합니다. 지속 가능한 농업만이 우리 후손들에게 건강한 환경을 물려줄 수 있습니다.
나랏일을 살피는 분들, 건강 관련 전문가들은 “지금 쓰잘데기 없는 침묵으로 금(金: 돈?)을 지킬 때가 아닙니다. 더 늦기 전에 두려운 정보이지만 이를 큰 소리로 대국민에게 전하고, 정부와 전문가와 국민들이 하나의 목소리를 내어 생명(生命)을 지켜야 할 때입니다.”
글리포세이트 논란과 기만적인 마케팅: 맥도날드와 스테이크 앤 쉐이크의 사례
MAHA 운동이 글리포세이트와 같은 화학물질 노출 최소화를 강조하고 동시에 이런 작물들을 이용해 헥산으로 가공 정제되는 식물성 기름의 확산을 막으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맥도날드와 스테이크 앤 쉐이크(Steak ‘n Shake) 등 일부 외식업체는 글리포세이트 노출 작물을 사용**”헥산 이용 가공 정제로 생산되는 콩·옥수수 식물성 기름 대신 소고기 탈로(tallow)나 쇠기름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러한 선언이 여러분이 보기에는 제법 건강을 고려한 것처럼 보이나요?
그러나 전문가들은 풀을 먹여 방사로 키워지는 가축이 아닌, 공장식 사육 방식으로 GM 대두·옥수수와 글리포세이트 조합 사료를 먹여 기른 소의 쇠기름과 탈로에는 여전히 문제가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GM 작물과 제초제 잔류 농약의 피해를 고스란히 지닌, 그로 인해 비만해지고 아픈 소들. 마블링 잘 된고기로, 한국에서는 한우 1등급이라는 이름으로, 미국에서는 최고급 스테이크로 불리우며, 사람들의 입에서 살살 녹는 사람으로 치자면 병든 고기.
“병들도록 길러진 가축의 지방질이 고급 음식으로 포장되기 까지. 축산업의 환각의 맛, 환미, 즉 실체 없는 미각적 쾌락을 조작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별도의 장에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비만은 사람이나 가축이나 아픈 상태임을 알리는 몸의 신호라는 말씀 만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그 공장식으로 사육되며 GM 작물과 제초제 잔류 농약의 피해를 고스란히 지닌 비만한 아픈 소의 지방을 사용해 음식을 튀길 경우, 잔류 농약이나 화학물질이 1차로 농축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즉, 단순히 기름 종류만 바꾼다고 해서 본질적인 초가공식품의 안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입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지점을 둔 대형 식품업체들이 얼마나 얕은 생각으로 소비자를 기만하려 하는지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며, 이런 근거 없는 선언은 비판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단계가 어떻게 진행될지 지켜보지요.
정크푸드의 본질. 맥도날드 감자튀김, 인스턴트 라면, 그리고 렌틸콩 함유 즉석밥 모두 노바 (NOVA)분류, UN,WHO,FAO 기준,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s,UPFs) 입니다.
맥도날드 감자튀김과 같은 정크푸드는 단순히 튀김 기름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감자튀김은 단순하게 썰린 채소가 아니라 1차 가공(전분 벗기기·블랜칭·양념 첨가)을 거쳐 재성형된 후 종자유 또는 탈로에 튀겨지는 복잡한 공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맛을 자극하는 첨가물(나트륨, MSG 유사 물질 등)은 도파민뿐만 아니라 오피오이드 수용체까지 함께 자극하여 뇌의 보상 시스템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키고, 강한 만족감과 반복 섭취 욕구를 유도하는 “중독 유사” 설계의 “중독 정크푸드” 구조를 형성합니다.
인스턴트 라면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미국, 브라질, 호주, 아르헨티나에서 수입되는 밀가루는 100% 글리포세이트가 사용되며, 면 형태로 가공하기 전 프리믹스(전분 + 기타 첨가제)를 거쳐 숙성, 재압축, 튀김 또는 찜 공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 자체가 정크푸드 공정의 축소판입니다.
참고로 우리 뇌에는 오피오이드 시스템과 도파민 시스템이 협력하여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을 강화하여 반복 행동을 유도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이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별도의 장에서 좀 더 자세하게 다룰 예정입니다.
맛있는 인스턴트 라면, 무엇이 문제인가요?
맛있는 인스턴트 라면,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요? 그 비밀은 바로 복잡한 가공 과정과 글리포세이트 유해성에 깊이 숨어있습니다.
원인 1: 면 자체의 ‘프리믹스’ 설계
라면의 면은 단순한 밀가루가 아닙니다. 제조 전 프리믹스(premix), 즉 밀가루에 전분, 정제소금, 산화방지제, 가공유지, 유화제, 그리고 향료가 결합된 혼합분이 사용됩니다. 이 프리믹스는 이미 입안 감촉, 향, 씹힘, 튀김감 등을 고려하여 고도로 가공되었기 때문에, 라면이 입에 들어가기도 전에 뇌를 기대하게 만듭니다.
일부는 재열추(再熱抽, 다시 끓여도 맛이 유지됨) 성분이 포함되어, 실제 끓이거나 볶아도 쫄깃함, 기름 향, 감칠맛이 변함없이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복잡한 과정 때문에 집에서 국산 유기농 밀가루를 구입해서 물을 넣고 반죽을 한다 해도 결코 라면 면발의 독특한 식감을 만들 수 없는 이유지요. 그리고 바로 이 고도로 연구 개발된 식감과 기름의 조합 자체가 뇌의 오피오이드 시스템을 강하게 자극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원인 2: 스프의 첨가물 구조
조미스프에는 다음과 같은 성분들이 자주 사용됩니다: 글루타민산나트륨(MSG) 또는 자연 유래로 표기된 효모추출물, 핵산계 조미료,당류, 고과당콘시럽, 포도당, 말토덱스트린(숨은 당질), 식물성 유지(GMO 유래 가능), 합성향료, 착향료, 그리고 **’천연향료’라는 이름의 ‘나라가 법으로 보호하는 절대 비밀: 마법의 복합화합물 5%’**가 추가됩니다.
식품회사는 모든 성분을 100% 공개할 의무가 없습니다. 그리고 법으로 보호되고 있는 이 5%의 비밀 물질들이 어떻게, 얼마나, 어떤 방식으로 우리 각자의 도파민뿐만 아니라 오피오이드 시스템까지 자극하는지, 뇌 보상 회로에 어느 정도의 강력한 시너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을 지 알 수 없다는 것이 우리 소비자들의 현실입니다.
이런 이유로 인해 비록 식품업체 관련자들은 자사의 인스턴트 라면을 맛있다며 판매할 수 있을 지라도, 건강 관련 전문가들은 이런 인스턴트 라면이나 즉석밥을 권하거나 자신의 얼굴과 이름을 내어주는 일은 당연히 경계해야 할 일이라고 전 생각합니다.
인스턴트 라면이 뇌에 미치는 영향
결국, 면과 스프의 시너지 효과가 인간의 **’쾌감 회로’**를 동시에 건드립니다. 도파민은 강한 기대감과 행동 동기를 유발하고, 오피오이드는 실제적인 만족감을 생성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식욕 통제 상실, 반복 섭취, 그리고 죄책감과 쾌감의 악순환을 유도합니다. 이것은 단순히 개인의 의지 부족으로 치부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이는 과학적으로 정교하게 설계된 중독 유사 식품 시스템의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식품회사들의 성분, 영업 비밀. 모르는 게 약?
식품회사들의 일부 성분은 영업 비밀 보호 조항에 따라 비공개가 합법적으로 허용됩니다. 대한민국 기준(미국, 일본도 유사합니다)의 관련 제도, 즉 「식품위생법」과 「표시 기준」에 따르면, 5% 미만 사용된 복합조미료 또는 천연향료는 개별 성분 공개 의무가 없으며, **’조미료(천연향료)’**로 묶어 표기가 가능합니다. 또한, 기밀 유지가 필요한 영업비밀 물질은 일부 비공개가 허용됩니다. 예를 들어 “조미베이스”, “천연향료”, “복합조미료”로 표기된 경우, 소비자는 화학적으로 조합된 수십 가지 물질이 들어있더라도 정확한 성분을 알 수 없습니다.
식품업자들은 정부의 법적 보호 아래 5%의 비밀을 영구히 지킬 수 있는 반면, 같은 나라의 국민임에도 소비자는 정부의 온전한 보호에서 누락되는 셈입니다. 모르는 게 약 일까요? 아니면 알려고 하면 다칠까요?
건강하게 라면 먹기, 혈당 걱정 없이 라면 먹는 법: 그 이면에 숨겨진 인지 부조화
‘건강하게 라면 먹기’, ‘혈당 걱정 없이 라면 먹는 법’, ‘건강 관련 전문가인 저도 사실 라면 좋아합니다. 종종 먹습니다’ 등의 말이 널리 존재하는 이유를 과학적 관점에서 설명하자면, 라면의 단순 탄수화물, 정제 지방, 감칠맛, 향료, 그리고 오일의 복합적인 조합 형태가 설탕, 니코틴, 심지어 마약류와 유사한 중독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이처럼 중독 반응 유발 가능성이 농후한 식품들은 흥미롭게도, 섭취자에게 인지 부조화 현상을 나타나게 합니다. 아무리 직업이 건강 관련 전문가라고 해도 “라면이 몸에 나쁘다는 걸 알지만 끊을 수 없음”을 고백하기도 하고, 심지어 혈당 대사 문제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당뇨 전단계이거나 당뇨병 진단을 받았음에도, 혹은 이상지질혈증을 진단받고 그에 따른 처방약을 스스로에게 처방하여 복용 중임에도 라면을 끊지 못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합니다.
아마도 그래서일까요? 인스턴트 라면을 끓일 때 야채, 버섯, 렌틸콩, 계란을 추가하거나, 라면을 끓인 뒤 그 물을 버리고 새 물에 다시 끓이거나, 식초를 넣는 등 온갖 다양한 방법들이 ‘건강하게 라면 먹기’라는 타이틀을 달고 유튜브를 유유히 떠다닙니다.
당장 보이는 혈당 수치가 덜 오르고 야채, 버섯, 렌틸콩, 계란 등 식물성, 동물성 단백질을 더하니 왠지 건강한 음식을 먹은 듯한 착각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뇌는 이를 합리화하면서 반복 섭취를 허용하게 됩니다.
인스턴트 라면은 단순히 음식을 넘어서 ‘어릴 때 엄마가 끓여준 라면’, ‘시험 끝나고 먹던 라면’처럼 감정, 기억, 그리고 위로의 코드로 작동하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어떤 건강 전문가분이 말하는 것처럼 “소울 푸드(soul food)”라고 인스턴트 라면을 부르는 것은 엄연히 “소울 푸드”의 오용입니다.
**”소울 푸드”**는 미국 딥 사우스(Deep South, 특히 조지아, 미시시피, 앨라배마) 출신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개발한 레시피로, 문화, 공동체, 자급자족, 감정, 눈물, 그리고 자부심이 내재된 자가 식품입니다. 이는 자연 재료로 영양 균형을 맞추고, 슬로우 쿡(slow cook)이라는 조리 방식을 따르며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음식입니다. 공장에서 생산된 상품, 플라스틱에 든 제품을 “소울 푸드”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반면 인스턴트 라면을 소울 푸드 라고 표현한다면 ? 한국어 구사 중 영어 단어를 사용하는 것 그 자체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정의를 거스르는 외국어 사용은 특히 그 사람이 어떤 분야의 전문가일 때 그 전문성에 오점을 남길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굳이 영어 단어를 쓰고 싶다면 그에 적당한 용어는 “컴포트 푸드(Comfort food)” 정도를 추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심이 있으시다면 직접 “Soul food vs Comfort food”를 찾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건강 관련 전문인으로서 여러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생각을 나누고 의견을 공유하는 것은 멋진 일입니다. 그러나 그 주제가 건강에 관련되고 특히 금전이 오고 갈 때는 신중 또 신중, 점검 또 점검, 공부와 조사에 최선의 철저를 기해야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설사 자신의 주장이 옳다는 판단하에 어떤 상품을 내놓고, 자신의 얼굴이나 이름을 빌려주었다 하더라도 차후, 그 주장에 미흡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시점에서는 과감하게 자신의 주장을 재빨리 수정하여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라면은 인스턴트 라면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그리고 일본에는 자국의 밀을 유기농으로 재배해서 특수 발효를 거친 후, 손 반죽으로 그날그날 자신들이 수급한 식재료로 한정된 양만을 팔면서, 양이 소진되면 문을 닫아버리는 라면집들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그들 중에는 수제 라면, 수제 메밀면 등을 한 자리에서 수십 년, 아니 수백 년(정확하게 들으신 것입니다) 간 지속하고 있는 가게들도 있습니다.
주정부에서 살랑살랑 전해지던 봄소식에, 매몰찬 한기로 대응하고 있는 조지아: ‘MAHA 운동’은 어느 나라 이야기? 미국 조지아 식탁의 운명,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봄 날씨는 때때로 사람의 인내심을 시험대에 올리기도 하죠. 따뜻해지는가 싶다가도 다시 쌀쌀해지기를 반복하며 예측 불가능한 변화를 보여줍니다. 어쩌면 이러한 날씨처럼, 중앙 정부에서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만들자(Make America Healthy Again, MAHA)’**는 따스한 보건 소식이 들려오는 와중에, 제가 거주하는 조지아에는 마치 봄을 겨울로 되돌리는 듯한 차가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보건복지부 장관이 직접 나서서 글리포세이트 최소화와 가공 정제식품을 줄여 국민을 보호하려는 노력과는 대조적으로, 조지아에서는 농약 제조사의 손을 들어주는 법안이 통과된 것입니다. 이는 MAHA 운동의 이상과 지역 현실 간의 간극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지아의 ‘글리포세이트 우산법(SB 144)’: 재등판, 바이엘! 강력한 로비로 농약 제조사 보호하는 법 통과에 기여
조지아주 의회는 최근 **SB 144, “제초제 라벨에 대한 책임 제한(Limitation on Liability for Pesticide Labels)”**이라는 법안을 발의하고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안은 상원 42대 12, 하원 101대 58이라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되었고, 2025년 5월 12일 케미 주지사의 서명까지 마치며 2026년 1월 1일부터 공식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 법의 핵심 골자는 매우 명확합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승인을 받은 제초제의 라벨이 연방 기준을 충족할 경우, 주 법원이나 민사 소송에서 해당 제품에 대해 추가적인 경고 의무를 부과할 수 없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곧 농약으로 인한 피해 발생 시 제품 책임 소송의 가능성을 현저히 줄이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따라서 조지아는 노스다코타에 이어 농약 제조사를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법을 채택한 두 번째 주가 되었으며, 이 법이 시행되면 조지아 내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글리포세이트 관련 소송은 오직 연방 수준에서만 판단될 것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앙 정부의 건강 증진 노력과는 상반되는, 지역의 현실을 보여주는 안타까운 사태입니다.
로비스트의 그림자 뒤 바이엘: 조지아 법안 통과의 배경
이러한 **글리포세이트 우산법(SB 144)**이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된 배경에는 농업계와 종자 기업의 강력한 로비가 깊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몬산토를 인수한 바이엘(Bayer)과 같은 거대 농화학 산업이 이 법률 제정을 주도했으며, “모던 애그 얼라이언스(Modern Ag Alliance)”, “조지아 농업기업 협의회(Georgia Agribusiness Council)”, 그리고 “조지아 농업국(Georgia Farm Bureau)”과 같은 단체들이 이 법안의 통과를 열렬히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조지아주의 로비스트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으로 총 1,144명의 로비스트가 등록되어 4,524개의 단체를 대변하고 있으며, 연간 로비스트 수는 약 1,00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숫자는 조지아 내에서 막대한 로비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명확하게 시사합니다. 실제로, 다수의 농업 및 화학 기업의 로비 자금과 행사 후원이 SB 144의 ‘패스트-트랙(Fast-track)’ 법 처리 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반면, 건강 및 환경 단체, 그리고 소액 로비스트들은 상대적으로 열세에 놓여 있어 이러한 거대 로비의 힘에 맞서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를 아십니까?
애틀랜타가 사랑하는 작가 마가렛 미첼(Margaret Mitchell, 1900–1949)은 애틀랜타 출신으로, 어린 시절 할머니에게 남북전쟁과 재건 시기의 이야기를 들으며 자랐다고 합니다. 그녀의 유일한 장편 소설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로 1937년 퓰리처 문학상을 수상했죠. 이 작품은 역사 소설로, 미국 남북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 연대기적 성장 드라마입니다. 무대는 조지아주의 타라(Tara) 농장 및 애틀랜타이며, 주로 1861년부터 1873년까지의 시기를 다룹니다.
주인공 스칼렛 오하라(Scarlett O’Hara)는 미국 남부 귀족 가문의 어린 딸로, 전쟁 후 몰락 위기에 처한 가족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그녀의 사랑(레트 버틀러, 애슐리 윌크스)을 둘러싼 복잡한 감정과, 가진 것을 지키려는 강한 의지, 그리고 생존 본능이 교차하며 극적인 성장 스토리를 이룹니다. 1936년에서 1937년 연속 미국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하고 퓰리처 문학상을 수상한 이 책은 영화로도 제작되었습니다. 애틀랜타 시 및 마리에타 지역에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관련 투어와 박물관이 운영됩니다(Margaret Mitchell House, Marietta WGTW Museum 등).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주요 테마는 바로 생존이었습니다. 혼란스러운 시기 속에서도 살아남으려는 인간의 내면과 강한 의지를 중심으로 전개되지요.
이제 조지아 주민들이 스칼렛 오하라의 정신으로 자신들의 생존을 지켜내야 할 때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스칼렛 오하라의 DNA를 이어받은 이들, 단순히 주민일지라도 미국 땅에서 몇 안 되는 공짜, 생존에 가장 중요한 공짜인 건강한 땅, 물, 공기를 누리고자 하는 이들이 해야 할 일은?
조지아 주민들은 스칼렛 오하라처럼 굳건한 의지로 우리의 건강, 그리고 소중한 땅, 물, 공기를 지켜내야 합니다.
“내 것을 지키겠다”는 결의—정보권 확보:
스칼렛이 타라(Tara)를 지켰듯, 주민들은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 글리포세이트 허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그 위험성을 스스로 파악하는 공부를 당장 시작해야 합니다.
조지아 의회는 최근 EPA 승인 기준을 따르는 한 제조사 책임 면죄를 규정한 SB 144를 통과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제조사는 EPA 라벨에 명시된 것 이상으로 경고할 의무를 피하게 됩니다. 무너지고 왜곡된 정보의 세계 속에서, 허위 뉴스와 축소된 위험, 조작된 데이터 속에서, 진실을 가려내는 눈과 새로운 기준을 세우려면 철저한 공부로 재무장해야 합니다. 다시 배움으로써 정보의 고향 타라(Tara)를 세워야 합니다.
- “배우고, 대응합니다”—시민 주도 감시: 스칼렛이 전쟁과 혼란을 견뎌낸 것처럼, 조지아 주민들도 이제 현행 법률의 한계에 맞서야 합니다. 다행히 늘어난 주민 청원과 건강 단체의 견제는 변화의 가능성을 선사합니다. 농약 경고 라벨링 강화, 현장 독성 검사 확대, 대체 농업 모델로의 전환, 건강 영향 조사 요구 등 다양한 정책 압박 전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공동체 건강을 위한 전략: 스칼렛의 끈질긴 생존 본능처럼, 주민들은 지역 비영리·환경단체와의 연대, 의회 및 지방정부에 공개 청문 요청, 대의적인 소송 참여, 그리고 학교와 교회 중심의 교육 활동 등을 통해 글리포세이트 의존 구조를 단계별로 대체해 나갈 수 있습니다.
글리포세이트 노출 지도 만들기: 애틀랜타 주변에 글리포세이트가 주로 살포되는 지역과 병원, 학교, 농장, 공원, 그리고 골프장 등의 위치를 기반으로 노출 지도를 직접 작성하여 위험성을 시각화하시기를 권유합니다. 이는 위험 지역을 파악하고 대책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건강 감시 책임 집단 조직: 지역 의료인, 학부모, 농민이 연대하여 글리포세이트 관련 질환이나 발암 사례를 추적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향후 정책 변화를 위한 강력한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정책 압박 네트워크 구성: 의회와 지자체에 적극적으로 청원하고, 공개 토론회나 청문회를 추진하며, 언론 노출과 SNS 캠페인을 병행하여 정책 변화를 강력하게 압박합니다. 지속적인 목소리를 내야만 정책 입안자들이 움직일 것입니다.
대체 농업 및 친환경 확산 공동체 만들기: 글리포세이트 의존형 농업이 아닌, 생태 순환 농업, 유기농, 정밀 농업 등 대안 모델 시범 단지 운영을 주도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을 지역사회에 확산시켜 나갑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건강한 먹거리를 확보하는 중요한 길입니다.
“바람에도 사라지지 않는 우리의 생명력”
조지아 주민들도, 스칼렛 오하라처럼 결코 **“사라지지 않을 자”**입니다. 자신과 자녀, 그리고 이웃의 건강을 지키려는 의지에 특별한 DNA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저는 지금까지 조지아의 이러한 상황에 대해 많은분과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건강 관련 전문가들 비전문가들,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이었는데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제가 이 화두를 꺼내기 전 한결같이 이러한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저는 마가렛 미첼의 글 중 스칼렛이 마지막에 했던 “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그래, 내일은 또 다른 날이니까.)”를 무척 좋아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내일 다시 떠오를 태양을 만날 생각 만으로도 살짝 설레입니다.
네, 내일 태양은 자신의 일을 하려 떠오를테지요. 하지만 전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내일로 미루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비록 태양이 저물어가는 석양일지라도, 달빛 아래 에서라도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려합니다.
하찮은 글 한 줄이라도, 마음만 앞서 산만해진 문장이라도 내용만은 진실 되게, 제가 그간 공부한 최신의 정보를 나누어, 내년 1월에 닥칠 한파를 피할 수 있기를 바라며, 초여름에 서늘한 소식을 전하려, 손끝에 제 열정과 외침을 담습니다.
조지아의 땅, 물, 공기 그리고 가족을 우리 함께 지켜냅시다!
참고 1: 조지아주 상황 정리
조지아주는 글리포세이트 사용 보호 법률을 제정하고 있어, 주민·환자·의료계의 건강 권리와 정보 접근 권한이 후퇴할 위험이 있습니다.
- 글리포세이트 면책법 시행: 2026년 1월 1일 시행
- 농업계 로비 영향: 바이엘(Bayer) 등 거대 기업과 무려 1,000명에 달하는 로비스트들이 활발히 활동
- 주민·의료 대응 방안: 행정소송, 공익연대, 법안 대안 제시, 공청회 참여 필요
주민 대응 방안:
- 주 법률과 EPA 기준 비교 분석, 행정소송 준비
- 지방 의회 및 언론과 협력하여 공청회 및 정보 감시 강화
- 대안 정책 (토양 회복, 농약 감시제, 재생 농법 인센티브) 채택 요구
로비 자금 공개 – SB144 후원 내역 (연방선거위원회 기준, 2024년도)
SB144 통과에 영향을 미친 주요 인물들과 이들이 수령한 농약·제초제 제조 관련 PAC 후원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원명 | 소속 | PAC 후원금 | Sanford Bishop (D–GA) | 연방하원의원 | $17,500 | |Austin Scott (R–GA) | 연방하원의원 | $11,000 | | Buddy Carter (R–GA) | 연방하원의원 | $10,000 | | David Scott (D–GA) | 연방하원의원 | $18,500 | 이들은 연방 수준의 후원을 받았지만, 각 의원은 조지아 주의회에도 로비 및 의견 제공 경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주 상·하원의 실제 개인 후원 명세는 주 공식 웹사이트에서 “Lobbyist registration and disclosure”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조지아 환경·의료단체 및 대응 현황
주요 시민사회 단체:
- Georgia Environmental Alliance: SB144 반대 캠페인을 전개하고 지역 사회 리포트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 Food & Water Watch Georgia 지부: 서명운동(#StopSB144)을 조직하고 농업 대안 정책 제안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 Pesticide Action Network (PAN) 지역 지부: 과학 강연회를 개최하고 법적 대응 방안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의료·보건 전문가 조직:
- Georgia Public Health Association (GPHA): 농약 노출 위험에 대한 인식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 Georgia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지역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강 설문을 진행하고 의사 의견서를 작성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들 단체는 지역 언론, 의원 면담, 공청회 참여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SB144의 잠재적 건강 위험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공청회, 서명운동, 조직 안내
A. 공청회 일정 (2025년 하반기 예정):
- 지역 공청회: 애틀랜타 시 중심지역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일정은 “Georgia Board of Agriculture”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HA, GEAlliance, Food & Water Watch 등이 참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B. 서명 운동:
- #StopSB144 온라인 청원 플랫폼: 공식 청원 및 지역 의원에게 우편/직접 전달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 지역 병원·의원 서명 캠페인: Georgia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주도하에 3,000명 규모의 서명 운동이 진행 중입니다.
C. 비영리 협력 조직 구성:
- ‘Georgia Safe Food Network (GSFN)’: GEAlliance, GPHA, Food & Water Watch GA가 협업하는 비영리 연합체입니다. 주된 목적은 공청회 대응, 주민 교육, 법률 검토, 그리고 증거 서류화입니다.
참고 2: 대통령의 행정명령 원문
**”대통령의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만들자(MAHA)’ 위원회 설치 행정명령”**은 2025년 2월 13일에 발효되었습니다.
- 제2조 정책: 미국인들이 직면한 정신 건강 장애, 비만, 당뇨병, 만성질환의 급증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연방 정부의 정책입니다.
- (a) 연방 자금이 투입되는 보건 연구는 투명하고 오픈소스 데이터 기반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해충돌을 제거해야 합니다.
- (b) NIH 등은 미국인들의 질병 원인에 대한 **’골드 스탠다드 연구’**를 우선시해야 합니다.
- (c) 연방 기관들은 농민들과 협력하여 미국 식품이 가장 건강하고 풍부하며 저렴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d) 연방 기관은 건강보험 보장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예방과 건강한 삶을 지원해야 합니다.
- 제3조 위원회 설치: 보건복지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농무부, 환경청, FDA, CDC, NIH 등 주요 기관장들이 참여하는 위원회가 설치됩니다.
- 제4조 아동 만성질환 대응: 위원회는 아동 만성질환의 범위와 잠재적 원인(식단, 독성물질 노출, 의료처치, 생활양식, 환경 요소, 식품 생산 기술, 전자기파, 기업 영향 등)을 연구하고, 대통령에게 조언 및 지원을 제공하며, 정부 차원의 전략을 권고해야 합니다.
- 제5조 초기 평가 및 전략 수립:
- 100일 이내: 어린이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진단하고 약물, 식품 성분, 화학물질 등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 180일 이내: 초기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연방 정부 대응 구조를 재편하고 아동 만성질환을 악화시키는 연방 관행을 종식시킬 전략을 수립합니다.
참고 3: EBM (Evidence-Based Medicine) vs. 절차법 (Proceduralism) 비교 차트
기준 | EBM (Evidence-Based Medicine) | 절차법 (Proceduralism) |
목표 | 임상 증거에 기반해 치료 권고 | 합법성과 절차적 정당성 확보 |
접근 방식 | 무작위 대조 시험(RCT), 메타분석, 계량적 데이터 중심 | 위원회 구성, 공청회, 공개 절차, 투명성 강조 |
MAHA와의 관계 | “골드 스탠다드 연구”, 화학물질 및 첨가물 안전성 등 과학적 근거 중심 연구 요구 | 투명한 데이터 공개, 공청회, 공개 보고서 등 절차법 요소 반영. 위원회 설치 및 100/180일 규정은 절차 중심 |
한계 및 시사점 | EBM은 인과관계 분석에 강하나, 공공 정책 전환에는 시간이 걸림. 증거가 불충분하거나 단기 연구는 EBM의 한계 | 절차법은 권위와 투명성 확보에 유리하나, 정치적 외압이나 로비에 취약. 실제 규제 실행(예: 색소 금지, 설탕 규제)까지 법 제정 필요 |
결론 요약: MAHA는 절차법 기반 위원회 설치와 EBM 연구 추진의 이중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둘 간의 균형과 실제 법제화로의 연결이 향후 핵심 쟁점이 될 것입니다.
참고 4: MAHA의 ‘Chief Medical Adviser’ Dr. Aseem Malhotra: 정확한 경력과 현재 신분
이름 및 직책: 아심 말호트라 박사 — 영국 국적의 심장내과 의사이자 건강 캠페이너.
주요 경력:
- 2014년: 영국의 설탕 저감 운동 단체인 Action on Sugar의 초대 과학 담당 이사를 역임했습니다.
- 저서: “The Pioppi Diet”, “The 21-Day Immunity Plan”, “A Statin-Free Life” 등 다수의 건강 관련 베스트셀러를 집필했습니다.
- 백신 입장: 초기에는 백신 지지 발언을 했으나, 이후 mRNA COVID-19 백신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으로 선회했습니다.
- 논란: COVID-19 백신과 심혈관 질환 사이의 관련성을 주장하며 영국 의사협회에서 제명당했으나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여러 연구들이 현재 진행중입니다.
Dr. Aseem Malhotra와 MAHA(“Make America Healthy Again”)의 연계
아심 말호트라 박사는 RFK Jr.가 이끄는 MAHA 캠페인의 Chief Medical Adviser, 즉 수석 의료 고문으로 활동 중입니다. 이는 단순한 자문을 넘어, 백신·영양·심혈관 건강과 관련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조언자 역할을 의미합니다. 그의 역할의 구체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략 고문: 단순히 자문하는 수준을 넘어서, MAHA 내 주요 건강 정책 및 메시지 설계에 깊이 관여합니다. 그는 캠페인의 전반적인 방향 설정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백신·심장병 연결 고리 강조: 학술적 근거에 기반하여 백신, 특히 COVID‑19 mRNA 백신이 심혈관계에 미칠 수 있는 위험 신호를 강조합니다. 차후에 2024년 미국 상하원 공청회에서 진행되었던 최신 백신 관련 이야기도 많은 분들이 접하지 못하셨을 것 같아 청문회 내용과 경과에 대한 이야기도 전달해 드릴 예정입니다.
- 공적 영향력 발휘: RFK Jr.와 트럼프 행정부 등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대중 매체 및 정책 방향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그는 여러 인터뷰, 강연, 미디어 출연을 통해 자신의 관련 주장을 활발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비교: 단순 자문 vs. 공식 직책 (Dr. Aseem Malhotra)
측면 | 단순 자문 | 실제 역할 (Chief Medical Adviser) |
명칭 | Advisor (자문역) | Chief Medical Adviser (최고 의료 고문) |
의사결정 권력 | 의견 제공 | MAHA 정책 설계 참여, 고위급 브리핑 |
대표성 | 제한적 | 백신·심혈관 건강 영역에서 공식 대변자 역할 |
Outdated Spring News: Can the ‘MAHA Movement’ Really Bring Spring to American Dinner Tables?
Also, a Spring Story from Georgia, Perhaps Vanishing with the Wind.
In February 2025, the Trump-Kennedy administration officially launched an ambitious health initiative under the slogan ‘Make America Healthy Again (MAHA)’. This MAHA movement stems from a deep awareness of complex health issues, including the surging rates of chronic diseases, abnormal eating habits, and increasing environmental toxins. It’s particularly notable as a crucial effort to protect the health of American children. Will this ‘spring news’ truly usher in a warm wind of change for dinner tables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cross the globe? Let’s now closely examine the background of this movement, its key figures, and its main goals, alongside the realistic challenges it faces. We’ll take some time to anticipate what impact this change might have on our society and health.
The Beginning of the MAHA Movement and Its Key Figures
The MAHA movement officially commenced on February 13, 2025,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AHA Committee through an executive order issued by President Trump. This committee is directly led by Robert F. Kennedy Jr., Secretary of HHS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its key advisor is Dr. Aseem Malhotra, a renowned British cardiologist and health campaigner, serving as Chief Medical Adviser. Secretary Robert F. Kennedy Jr. has clearly laid out the main policy directions for the MAHA movement, including ensuring vaccine autonomy, strengthening regulations on ultra-processed foods, and improving over-medicalization. Notably, Dr. Aseem Malhotra, who initially supported vaccines, later shifted to a critical stance on mRNA COVID-19 vaccines, emphasizing their potential cardiovascular risks, and remains at the center of this debate. He actively continues to publish research and make public statements related to these claims.
Main Goals and Realistic Challenges of the MAHA Movement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e MAHA movement is to reduce chronic diseases among the American people. To achieve this, it is actively pursuing several key policy directions.
Detailed Goals of the MAHA Movement
- Minimizing Glyphosate and Other Chemical Exposures: This movement specifically focuses on reducing exposure to harmful chemicals throughout the ‘Farm to Kitchen’ process, meaning from the farm to the dinner table. This is an essential step for protecting public health in the long term.
- Reducing Ultra-Processed Foods: The initiative aims to strengthen regulations on all types of processed foods, including instant foods, and unnecessary additives such as sugar, high-fructose corn syrup, and artificial colors.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healthier eating habits.
- Vaccine Autonomy: The movement emphasizes individual autonomy regarding vaccination, including relaxing COVID-19 vaccine recommendations and dismantling the CDC ACIP committee. This aspect has sparked important discussions between public health interests and individual choice.
- Preventing Over-Medicalization: It cautions against the excessive prescription of psychiatric medications for children, antidepressants, and weight-loss drugs, aiming to reduce unnecessary medical interventions. This can help mitigate side effects related to drug misuse.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goals aimed at improving public health, the MAHA movement faces realistic challenges. This is due to the complex intertwining of vast industrial interests and scientific controversies.
Anticipated Strong Backlash from the Food and Agriculture Industries vs. Latest Scientific Evidence Supporting Public Health Literacy
The food and agriculture industries are strongly criticizing the glyphosate-related report issued by the MAHA movement, labeling it “unscientific.” However, just a few days ago, a fresh, literally hot-off-the-press paper was published that clearly shows to whom the term “unscientific” truly applies. I’d like to introduce this paper to you now, so you can judge for yourselves who is making “unscientific” claims.
This significant research was published in the prestigious journal ‘Environment International (Elsevier publishing)’. It’s Volume 200, published in June 2025, with article number 109544. The main authors and their affiliations include Marta Lombó (Università Politecnica delle Marche) and Christian Giommi (Universidad de León), alongside various other scholars from Italy, Spain, and Canada.
Core Theme and Significance of the Glyphosate Paper
The title of this latest paper is “The impact of glyphosate at regulatory ‘safe’ levels on reproductive health: cellular and molecular disruptions on male germ line.” This highly significant study experimentally demonstrates that even exposure to glyphosate at levels globally considered ‘safe’ by regulatory bodies can induce cellular and molecular damage (disruption) to male germ cells (germ line). Specifically, it deeply analyzed the negative impacts on sperm formation and function, hormonal signaling, and gene expression.
This paper goes beyond merely warning about the harmfulness of glyphosate. It scientifically points out that even levels defined as ‘regulatory safe’ may, in fact, not be harmless. Furthermore, it raises serious concerns about reduced male fertility, sperm abnormalities, and cellular damage, emphasizing the potential long-term risks for vulnerable groups such as children, fetuses, and men of reproductive age. Since it strongly suggest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re-evaluation of existing safety standards from organizations lik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and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its significance is very high.
Latest Glyphosate Research and Predicted Response in South Korea
This paper can serve as very important scientific evidence across various fields, including food, agriculture, environmental health, toxicology, reproductive medicine, and molecular biology. Furthermore, it’s expected to significantly influence future discussions on strengthening glyphosate usage regulations. The core message of this paper is that “even Italy’s strictest glyphosate residue standard (e.g., 0.8 μg/kg bw/day) is not safe.” If male germ cell damage, hormonal imbalance, and disruption of DNA and intracellular signaling were clearly observed in experiments applying Italy’s strictest permissible glyphosate exposure, how should countries with much laxer standards respond? With scientific counter-evidence showing that “safe standards” set by advanced European nations may not actually protect life and reproductive health, it remains to be seen what response South Korea will exhibit.
Silence: South Korea’s Approach to the Glyphosate Issue
South Korea ranks among OECD countries with relatively lax glyphosate-related standards. Some might ask, “I thought South Korea’s legal standard was 0.01 ppm?” Perhaps you’re familiar with ‘purpose segregation’ during the import and customs clearance stages? This refers to the process where, in exporting countries, GMO corn or soybean is cultivated and produc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food and feed use. However, once it enters South Korea, it’s legally and administratively separated into food and feed categories. If it’s for food use, it’s subject to pesticide residue inspection with a legal standard of 0.01 ppm. But if it’s for feed use, it’s either exempt from inspection or subject to much looser standards, making import far easier.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n reality, ingredients perfectly suitable for human consumption can be cleared as “feed” and then reprocessed. This loose classification system creates an illusion for the public that “we are eating safe crops that meet strict standards.” I’ll explain this in more detail in a separate section. Currently, South Korea’s maximum residue limits are often set relatively high or ambiguously for various foods, and there’s a severe lack of precise monitoring and regulatory measures for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ed foods, and grains supplied to school meals. Furthermore, distribution is repeatedly permitted with the reason, “detected but within limits,” which is truly jeopardizing public health rights.
Why Does South Korean Society’s Silence Persist?
The ‘silence’ of South Korean society on these issues is complex.
- Corporate and Profit Protection: Multinational agrochemical corporations and large domestic food and distribution companies heavily use imported crops containing glyphosate. Regulating this would lead to a huge impact on their supply chains. Therefore, they exert strong lobbying efforts to maintain the status quo.
- Avoidance of Political Burden: Stricter regulations would likely provoke corporate backlash, exacerbate import-export conflicts, and increase food prices, creating significant political burdens. Governments and politicians tend to shy away from such burdens.
- Lack of Public Awareness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The South Korean public has an ardent desire for health, perhaps more than any other nation. However, because accurate and sufficient information isn’t properly shared, this desire often fails to generate the power to create real change. If the public were to know the accurate information, they would certainly respond much more proactively.
What We Must Do Now: No More Wasting Time Debating Scientific and Ethical Responsibility
If we are a nation that upholds scientific and ethical responsibility, what plan should we implement right now? We can no longer afford to waste time.
- Strengthen Glyphosate Exposure Monitoring: We must significantly expand precise residue inspections across all sectors, including imported grains, school meal ingredients, and processed foods. The current insufficient inspection system cannot protect public health.
- Guarantee the Public’s Right to Know: The bill for a comprehensive GMO labeling system, dormant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nine years, must be passed immediately, and a bill clearly indicating GMO status and glyphosate detection history should be enacted with a unified voice. Consumers’ right to know exactly what they are eating is a fundamental right.
-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Standards: We must face the latest scientific evidence, as presented in the aforementioned paper, which suggests that even previously “safe” standards can actually be harmful. Current maximum residue limits must be comprehensively reviewed. Like the European Union (EU), we must consider a ban or phased-out approach to glyphosate use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 Concrete Policies for Promoting Eco-friendly and Non-chemical Agriculture: We must discuss concrete measures to promote regenerative agriculture that doesn’t rely on herbicides and self-sufficient organic grain systems, and gather nationwide consensus. Sustainable agriculture is the only way to pass on a healthy environment to our descendants.
Those who oversee national affairs and health experts should realize: “Now is not the time to protect gold (money?) with useless silence. Before it’s too late, we must loudly convey this fearful information and have the government and experts speak with one voice to protect life.”
Glyphosate Controversy and Deceptive Marketing: The Cases of McDonald’s and Steak ‘n Shake
As the MAHA movement emphasizes minimizing exposure to chemicals like glyphosate and simultaneously seeks to curb the spread of vegetable oils processed with hexane from such crops, some fast-food chains like McDonald’s and Steak ‘n Shake have declared, “We will switch from hexane-processed soybean and corn vegetable oils to beef tallow or beef fat.” Does this declaration appear health-conscious to you?
However, experts point out that problems still exist with beef fat and tallow from cattle raised in factory farming conditions, fed GM soybean and corn feed in combination with glyphosate-laden feed, rather than being grass-fed and free-range. Cattle raised on GM crops and exposed to pesticide residues become obese and diseased. This “marbled” meat is called “Hanwoo Grade 1” in Korea and “premium steak” in the US, and it literally melts in people’s mouths.”How the fat from sick, factory-farmed livestock gets packaged as a gourmet delicacy. We will discuss the hallucinatory taste of industrial animal agriculture – an illusory gastronomic pleasure – and the process of manipulating this experience in a separate chapter. For now, let me just say that obesity in both humans and livestock is a signal of illness.
When fat from these obese, diseased factory-farmed cattle, burdened by GM crops and pesticide residues, is used to fry food, there’s a possibility that residual pesticides and chemicals can be concentrated. In other words, experts universally analyze that simply changing the type of oil doesn’t solve the fundamental safety issues of ultra-processed foods. Such examples are just a glimpse into how superficially large food corporations, with branches not only in the US but worldwide, attempt to deceive consumers. These unsubstantiated declarations are hard to avoid criticism. Nevertheless, let’s observe how the next phase unfolds.
The Nature of Junk Food: McDonald’s Fries, Instant Ramen, and Instant Rice with Lentils are All Ultra-Processed Foods (UPFs) According to NOVA Classification, UN, WHO, and FAO Standards.
Junk food like McDonald’s fries isn’t just about the frying oil. Fries aren’t simply cut vegetables; they undergo complex processing, including initial processing (starch removal, blanching, seasoning), re-forming, and then frying in seed oil or tallow. During this process, flavor-stimulating additives (sodium, MSG-like substances, etc.) don’t just stimulate dopamine but also opioid receptors, artificially activating the brain’s reward system. This creates a “addiction-like” designed “addictive junk food” structure that induces strong satisfaction and a desire for repeated consumption.
Instant ramen is no different. Flour imported from the US, Brazil, Australia, and Argentina is 100% treated with glyphosate. Before being formed into noodles, it undergoes a premix process (starch + other additives), then ripening, re-compression, and frying or steaming. This entire process is a miniature version of junk food processing. For reference, our brains have a powerful mechanism where opioid and dopamine systems cooperate to motivate, reinforce learning, and induce repetitive behavior. I’ll delve into this mechanism in more detail in a separate section.
Delicious Instant Ramen, What’s the Problem?
Delicious instant ramen, what exactly is its problem? The secret lies deep within its complex processing and the harmfulness of glyphosate.
Cause 1: The ‘Premix’ Design of the Noodles Themselves
Instant ramen noodles aren’t just simple flour. Before manufacturing, a premix — a blend of flour, starch, refined salt, antioxidants, processed fats, emulsifiers, and flavors — is used. This premix is already highly processed to consider mouthfeel, aroma, chewiness, and frying sensation, designed to make your brain anticipate the taste even before the ramen enters your mouth.
Some varieties include ‘re-extraction’ (再熱抽, meaning flavor retention even after reboiling) components, designed to maintain chewiness, oily aroma, and umami flavor even when actually boiled or stir-fried. It’s precisely because of this complex process that you can never create the unique texture of ramen noodles by simply buying organic flour at home and kneading it with water. And this highly researched and developed combination of texture and oil directly stimulates the brain’s opioid system.
Cause 2: The Additive Structure of the Soup
The seasoning packet often contains the following ingredients: monosodium glutamate (MSG) or naturally derived yeast extract, nucleotide flavor enhancers; sugars, high-fructose corn syrup, glucose, maltodextrin (hidden sugars); vegetable oils (potentially GMO-derived); artificial flavors, and natural flavors (which are legally protected ‘absolute secrets’ of the nation: a ‘magical’ composite compound of 5%).
Food companies are not obligated to disclose 100% of their ingredients. And the reality for us consumers is that we cannot know how, how much, or in what way these 5% of secret substances, protected by law, stimulate our individual dopamine and opioid systems, or how strong a synergistic stimulation they can cause to the brain’s reward circuit. For this reason, even if food industry personnel can sell their instant ramen as delicious, I believe health professionals should naturally be cautious about recommending such instant ramen or instant rice, or lending their name and face to endorse them.
The Impact of Instant Ramen on the Brain
Ultimately,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noodles and soup simultaneously triggers the human ‘pleasure circuit.’ Dopamine induces strong anticipation and motivation for action, while opioids generate actual satisfaction, leading to a loss of control, repeated consumption, and a vicious cycle of guilt and pleasure. This is not merely an issue of individual lack of willpower; it’s the result of a scientifically engineered, addiction-like food system.
Food Companies’ Ingredients, Trade Secrets: Is Ignorance Bliss?
For food companies, some ingredients are legally permitted to remain undisclosed under trade secret protection clauses. According to relevant regulations in South Korea (similar in the US and Japan), under the 「Food Sanitation Act」 and 「Labeling Standards」, complex seasonings or natural flavors used in less than 5% are not required to disclose individual ingredients and can be labeled collectively as ‘seasoning (natural flavor).’ Furthermore, some undisclosed trade secret substances are permitted. For instance, when labeled as “seasoning base,” “natural flavor,” or “complex seasoning,” consumers cannot know the exact ingredients even if dozens of chemically combined substances are present.
Food manufacturers can legally protect their 5% secrets indefinitely under government protection, while consumers, despite being citizens of the same nation, are effectively deprived of full government protection. Is ignorance bliss? Or will attempting to know lead to harm?
Eating Ramen Healthily, Eating Ramen Without Worrying About Blood Sugar: The Cognitive Dissonance Beneath the Surface
To explain why phrases like ‘eating ramen healthily,’ ‘eating ramen without worrying about blood sugar,’ and ‘even I, a health professional, eat ramen’ are so prevalent, I can tell you that the complex combination of simple carbohydrates, refined fats, umami, flavors, and oils in ramen has the potential to induce addictive responses similar to those caused by sugar, nicotine, and even narcotics.
Interestingly, foods with such a high potential to induce addictive responses often lead to cognitive dissonance in consumers. No matter their profession, even health professionals might confess, “I know ramen is bad for me, but I can’t stop eating it.” What’s more, it’s common for people in the pre-diabetic stage or diagnosed with diabetes, or even those diagnosed with dyslipidemia and taking prescribed medications, to find themselves unable to quit ramen.
Perhaps that’s why? All sorts of methods — adding vegetables, mushrooms, lentils, eggs when cooking instant ramen, or discarding the initial cooking water and reboiling the noodles in fresh water, or adding vinegar — float around on YouTube under the title ‘eating ramen healthily.’ Because the immediate blood sugar levels don’t rise as much and adding vegetables, mushrooms, lentils, and eggs gives a feeling of having eaten a healthy meal, people fall into a delusion. And the brain rationalizes this, allowing repeated consumption.
Instant ramen goes beyond just food; it can function as a code for emotions, memories, and comfort, like “ramen my mom cooked when I was little” or “ramen I ate after an exam.” However, calling instant ramen “soul food,” as some health professionals do, is a misuse of the term.
“Soul food” refers to recipes developed by African Americans from the American Deep South (especially Georgia, Mississippi, Alabama), embodying culture, community, self-sufficiency, emotion, tears, and pride. These are dishes that help maintain health by balancing nutrition with natural ingredients and employing slow-cooking methods. Factory-produced goods or products in plastic containers are not called “soul food.”
What about instant ramen? Using English words in a Korean sentence is a personal choice. However, using foreign words that contradict their precise definitions can, I believe, blemish one’s professionalism, especially if that person is an expert in a certain field. If you insist on using an English term, I might recommend “comfort food” as a more appropriate term. I encourage you to look up “Soul food vs Comfort food” yourself if you’re interested.
As a health professional, sharing one’s thoughts and opinions with many people is wonderful. However, when the topic relates to health, and especially when money is involved, it requires extreme caution, thorough review, and the utmost diligence in study and research. Even if one believes their claims are correct and releases a product or lends their face or name to it, if they later discover shortcomings in their claims, even if legally exempt from responsibility, wouldn’t a scar remain on their professional ethics and morality?
Everything I’ve discussed so far has been about instant ramen. In Japan, there are ramen shops that cultivate their own organic wheat, ferment it specially, hand-knead the dough daily, and sell only limited quantities using ingredients sourced that day, closing when sold out. Some of these establishments have been making handmade ramen or soba noodles on-site for decades, even centuries (you heard that right).
Georgia Responds with Chill to Whispers of Spring: Is the ‘MAHA Movement’ a Story for Another Land? The Fate of Georgia’s Dinner Tables, Vanishing with the Wind?
Spring weather sometimes tests our patience, doesn’t it? It feels like it’s warming up, then suddenly gets chilly again, showing unpredictable changes. Perhaps like this weather, while warm health new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Make America Healthy Again (MAHA)’ movement, whispers, a chilling piece of news arrived here in Georgia, where I reside, as if turning spring back into winter.
In stark contrast to the Secretar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efforts to protect the public by minimizing glyphosate and reducing processed foods, a bill favoring pesticide manufacturers was passed in Georgia. This sadly illustrates the clear gap between the ideals of the MAHA movement and the local reality.
Georgia’s ‘Glyphosate Umbrella Bill (SB 144)’: Re-entry, Bayer! Contributing to the Passage of a Law Protecting Pesticide Manufacturers through Powerful Lobbying
The Georgia State Legislature recently drafted and passed SB 144, “Limitation on Liability for Pesticide Labels.” This bill was passed with overwhelming approval, 42-12 in the Senate and 101-58 in the House, and was signed into law by Governor Kemp on May 12, 2025, officially taking effect on January 1, 2026.
The core intent of this law is very clear. If a pesticide label approv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meets federal standards, state courts or civil lawsuits cannot impose additional warning obligations on that product. This significantly reduces the possibility of product liability lawsuits in cases of pesticide-related harm. Therefore, Georgia has become the second state, after North Dakota, to adopt a law directly protecting pesticide manufacturers. Once this law is implemented, new glyphosate-related lawsuits arising in Georgia will only be judged at the federal label level. This move, unfortunately, presents a local reality that contradicts the central government’s efforts to promote health.
Bayer Behind the Lobbyist’s Shadow: The Background of Georgia Bill’s Passage
The overwhelming passage of this Glyphosate Umbrella Bill (SB 144) is deeply rooted in the powerful lobbying efforts of the agricultural and seed industries. Specifically, giant agrochemical industries like Bayer, which acquired Monsanto, led the enactment of this law. Organizations such as “Modern Ag Alliance,” “Georgia Agribusiness Council,” and “Georgia Farm Bureau” released statements warmly welcoming the bill’s passage.
Looking at the lobbyist situation in Georgia, as of 2022, a total of 1,144 lobbyists were registered, representing 4,524 organizations, and the annual number of lobbyists remains around 1,000. These figures clearly indicate that massive lobbying activities are taking place in Georgia. Indeed, many point out that lobbying funds and event sponsorships from numerous agricultural and chemical companies decisively influenced the ‘fast-track’ legislative process of SB 144. In contrast, health and environmental groups and smaller lobbyists are at a disadvantage, facing a reality where it’s difficult to counter the power of such massive lobbying.
Do You Know Scarlett O’Hara from “Gone with the Wind”?
Atlanta’s beloved author, Margaret Mitchell (1900–1949), was an Atlanta native who grew up listening to stories of the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era from her grandmother. She won the 1937 Pulitzer Prize for Fiction for her only full-length novel, “Gone with the Wind.” This work is a historical novel, an epic coming-of-age drama se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American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era. The setting is Tara Plantation in Georgia and Atlanta, primarily covering the period from 1861 to 1873.
The protagonist, Scarlett O’Hara, is a young daughter of a Southern aristocratic family who struggles to protect her family from ruin after the war. Her complex emotions surrounding her loves (Rhett Butler, Ashley Wilkes), her strong will to preserve what she has, and her instinct for survival intertwine to form a dramatic coming-of-age story. This book, which topped the U.S. bestseller list for two consecutive years from 1936 to 1937 and won the Pulitzer Prize, was also adapted into a film. The city of Atlanta and the Marietta area offer ‘Gone with the Wind’ related tours and museums (e.g., Margaret Mitchell House, Marietta WGTW Museum).
The main theme of “Gone with the Wind” was survival. It primarily explores the human spirit and strong will to survive amidst chaotic times. I believe it’s now time for the residents of Georgia to protect their own survival with the spirit of Scarlett O’Hara.
Those Inheriting Scarlett O’Hara’s DNA: What Should These Residents Do to Secure Their Free Access to Healthy Land, Water, and Air in America?
The residents of Georgia must protect our health, and our precious land, water, and air, with the steadfast resolve of Scarlett O’Hara. These are some of the few “free” things left in America, and they are crucial for survival.
“I will hold onto what is mine” — Securing Information Rights:
Just as Scarlett protected Tara, residents must immediately begin studying to accurately understand information regarding glyphosate allowance and its risks for their own and their families’ health. The Georgia legislature recently passed SB 144, which grants pesticide manufacturers immunity from liability as long as they comply with EPA approval standards. This allows manufacturers to avoid any warning obligations beyond what’s stated on the EPA label. In a world of crumbling and distorted information, of fake news, minimized risks, and manipulated data, we must re-arm ourselves with thorough study to discern the truth and establish new standards. By re-learning, we must establish our “Tara” of information.
“Learn and Respond” — Citizen-Led Monitoring: Just as Scarlett endured war and chaos, Georgia residents must now confront the limitations of current laws. Fortunately, increasing resident petitions and oversight by health organizations offer hope for change. Various policy pressure strategies can be employed, such as strengthening pesticide warning labels, expanding on-site toxicity testing, transitioning to alternative agricultural models, and demanding health impact assessments.
“Never Give Up” — Strategies for Community Health: Like Scarlett’s persistent survival instinct, residents can gradually replace glyphosate-dependent structures through alliances with local non-profit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requesting public hearings from legislative and local governments, participating in representative lawsuits, and conducting educational activities centered in schools and churches.
Five Strategies for Survival for Scarlett’s Descendants
To help Georgia residents, like Scarlett O’Hara, strongly protect their health and future, I propose five ‘strategies for survival.’
- Establish your Information Tara: Investigate and widely share the legal implications of SB 144, which only requires EPA labeling, and how it allows manufacturers to escape liability.
- Create a Glyphosate Exposure Map: I recommend directly creating an exposure map based on areas around Atlanta where glyphosate is primarily sprayed, along with the locations of hospitals, schools, farms, parks, and golf courses. Visualizing the risk will be a great help in identifying dangerous areas and planning countermeasures.
- Organize a Health Monitoring Task Force: It’s crucial for local healthcare professionals, parents, and farmers to band together to track and systematically document cases of glyphosate-related illnesses and cancers. This data can serve as strong evidence for future policy changes.
- Form a Policy Pressure Network: Actively petition the legislature and local governments, push for public hearings and debates, and combine media exposure with SNS campaigns to strongly pressure for policy changes. Only by maintaining a consistent voice will policymakers move.
- Build Communities for Alternative and Eco-friendly Agriculture: Take the lead in operating pilot projects for alternative models like agroecological circular agriculture, organic farming, and precision agriculture, rather than glyphosate-dependent agriculture, to spread sustainable farming in the community. This is a crucial path to securing healthy food in the long term.
“Our Vitality That Will Not Vanish with the Wind”
The residents of Georgia, like Scarlett O’Hara, are absolutely “those who will not vanish.” To protect their own health, and the health of their children and neighbors, no special DNA of will is needed. I’ve spoken with many people about this situation in Georgia – health professionals, non-professionals, people from various fields – and they all had one thing in common: they were completely unaware of these facts before I brought them up.
I’ve always loved Scarlett’s final line in Margaret Mitchell’s book, “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 And I still feel a slight excitement when I anticipate the sun rising tomorrow. Yes, the sun will rise to do its work tomorrow. But I’ve decided not to put off what I can do until tomorrow. Even if the sun is setting, even under the moonlight, I intend to do what I can. Even if it’s just a humble line of text, even if the sentences are messy with eagerness, I want the content to be truthful, to share the latest information I’ve studied, in hopes of avoiding the cold snap that might hit next winter. I convey this chilly news in early summer, putting my fervent heart and cry into my fingertips.
Let’s protect Georgia’s land, water, air, and families together!
Reference 1: Summary of Georgia’s Situation
Georgia is enacting laws that protect glyphosate use, posing a risk that residents’,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health rights and access to information will regress.
- Glyphosate Immunity Law Enforcement: Effective January 1, 2026.
- Influence of Agricultural Lobbying: Giant corporations like Bayer and as many as 1,000 lobbyists are actively at work.
- Resident/Medical Response Measures: Administrative lawsuits, public interest solidarity, proposing alternative bills, and participation in public hearings are necessary.
Resident Response Measures:
- Analyze state laws versus EPA standards, prepare administrative lawsuits.
- Collaborate with local legislatures and media to strengthen public hearings and information oversight.
- Demand adoption of alternative policies (soil regeneration, pesticide monitoring systems, regenerative agriculture incentives).
Lobbying Funds Disclosure – SB144 Sponsorship Details (Based on Federal Election Commission, 2024)
The following table lists key individuals who influenced the passage of SB144 and the PAC contributions they received related to pesticide and herbicide manufacturing:
Member Name | Affiliation | PAC Contribution |
Sanford Bishop (D–GA) | U.S. House | $17,500 |
Austin Scott (R–GA) | U.S. House | $11,000 |
Buddy Carter (R–GA) | U.S. House | $10,000 |
David Scott (D–GA) | U.S. House | $18,500 |
These individuals received federal-level contributions but are also connected to lobbying and opinion-providing channels within the Georgia State Legislature. (※ Actual individual contribution details for state senators and representatives can be checked through “Lobbyist registration and disclosure” on the state’s official website.)
Georgia Environmental and Medical Organizations and Current Response Status
Key Civil Society Organizations:
- Georgia Environmental Alliance: Conducting an anti-SB144 campaign and publishing community reports.
- Food & Water Watch Georgia Chapter: Organizing a petition drive (#StopSB144) and publishing alternative agricultural policy proposals.
- Pesticide Action Network (PAN) Local Chapter: Holding scientific lectures and sharing legal response strategies.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al Organizations:
- Georgia Public Health Association (GPHA): Holding awareness seminars on the risks of pesticide exposure.
- Georgia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Conducting health surveys among local patients and drafting physician statements.
These organizations are continuously promoting the potential health risks of SB144 through local media, meetings with legislators, and participation in public hearings.
Public Hearing, Petition, and Organization Information
A. Public Hearing Schedule (Expected in late 2025):
- Local Public Hearings: Expected to be held in central Atlanta. Dates will be confirmed via official announcements from the “Georgia Board of Agriculture.” GPHA, GEAlliance, and Food & Water Watch are preparing to participate.
B. Petition Drive:
- #StopSB144 Online Petition Platform: An online platform for official petitions and direct delivery to local legislators.
- Local Hospital/Clinic Petition Campaign: A petition drive involving 3,000 people is underway, led by the Georgia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C. Non-profit Collaborative Organization:
- ‘Georgia Safe Food Network (GSFN)’: A non-profit coalition collaborating with GEAlliance, GPHA, and Food & Water Watch GA. Its main purposes are responding to public hearings, educating residents, reviewing laws, and documenting evidence.
Reference 2: Presidential Executive Order
The “Executive Order Establishing the President’s Make America Healthy Again (MAHA) Commission” was enacted on February 13, 2025.
Section 2. Policy: It shall be the policy of the Federal Government to aggressively combat the critical health challenges facing our citizens, including the rising rates of mental health disorders, obesity, diabetes, and other chronic diseases.
- (a) All federally funded health research should empower Americans through transparency and open-source data, and should avoid or eliminate conflicts of interest.
- (b) The NIH and other agencies should prioritize ‘gold standard research’ on the root causes of why Americans are getting sick.
- (c) Federal agencies shall work with farmers to ensure that United States food is the healthiest, most abundant, and most affordable in the world.
- (d) Federal agencies shall ensure the availability of expanded treatment options and the flexibility for health insurance coverage to provide benefits that support beneficial lifestyle changes and disease prevention.
Section 3. Establishment of Commission: A commission chaired by the Secretar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ith secretaries/heads from Agriculture, EPA, FDA, CDC, NIH, and other key agencies, shall be established.
Section 4. Fighting Childhood Chronic Disease: The Commission shall:
- (a) Study the scope and potential causes of childhood chronic diseases (diet, toxic exposure, medical treatments, lifestyle, environmental factors, food production techniques,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orate influence, etc.).
- (b) Advise and assist the President on public information strategy.
- (c) Provide government-wide recommendations.
Section 5. Initial Assessment and Strategy Development:
- Within 100 days: Submit a report diagnosing the prevalence of childhood chronic diseases and evaluating threats from medications, food ingredients, chemicals, and exposures.
- Within 180 days: Develop a strategy based on the initial assessment results to restructure the federal government’s response and end federal practices that exacerbate childhood chronic diseases.
Reference 3: EBM (Evidence-Based Medicine) vs. Proceduralism Comparison Chart
Criterion | EBM (Evidence-Based Medicine) | Proceduralism |
Objective | Recommend treatment based on clinical evidence | Ensure legality and procedural fairness |
Approach |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eta-analysis, quantitative data-centric | Committee formation, public hearings, open procedures, emphasis on transparency |
Relationship to MAHA | Demands scientific evidence-based research for “gold standard research,” chemical and additive safety | Incorporates procedural elements like transparent data disclosure, public hearings, public reports. Commission establishment and 100/180-day regulations are procedural. |
Limitations & Implications | EBM is strong in causal analysis but public policy shifts take time. Insufficient evidence or short-term studies are EBM limitations. | Proceduralism is good for authority and transparency but vulnerable to political pressure or lobbying. Actual regulatory implementation (e.g., banning dyes, sugar regulation) requires legislation. |
Summary Conclusion: MAHA is using a dual framework of a procedurally-based commission establishment and EBM research promotion. However, the balance between these two and their connection to actual legislation will be key issues going forward.
Reference 4: MAHA’s ‘Chief Medical Adviser’ Dr. Aseem Malhotra: Accurat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Name & Title: Dr. Aseem Malhotra — A British cardiologist and health campaigner.
Key Career Highlights:
- 2014: Served as the inaugural Scientific Director for Action on Sugar, a UK-based campaign group for sugar reduction.
- Books: Authored several health-related bestsellers, including “The Pioppi Diet,” “The 21-Day Immunity Plan,” and “A Statin-Free Life.”
- Vaccine Stance: Initially supportive of vaccines, but later adopted a critical stance on mRNA COVID-19 vaccines.
- Controversies: Was expelled from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after claiming a link between COVID-19 vaccin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some of his assertions have been criticized by facts and the scientific community as ‘unsubstantiated.’
Dr. Aseem Malhotra’s Affiliation with MAHA (“Make America Healthy Again”)
Dr. Aseem Malhotra serves as the Chief Medical Adviser for the MAHA campaign led by RFK Jr. This signifies a crucial advisory role, going beyond mere consultation, in shaping the strategic direction concerning vaccines, nutrition, and cardiovascular health. His specific role includes:
- Strategic Advisor: Beyond simply providing advice, he is deeply involved in designing key health policies and messages within MAHA. He plays a pivotal role in setting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campaign.
- Emphasis on Vaccine-Heart Disease Link: Based on academic evidence, he highlights potential risk signals of COVID-19 mRNA vaccines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Later, I will share information about the latest vaccine discussions from the U.S. Congressional hearings in 2024, as many may not have been exposed to the details of those hearings.
- Exercising Public Influence: Through close ties with RFK Jr.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he exerts significant influence on public media and policy direction. He actively presents his related arguments through various interviews, lectures, and media appearances.
Comparison: Simple Advisor vs. Official Position (Dr. Aseem Malhotra)
Aspect | Simple Advisor | Actual Role (Chief Medical Adviser) |
Title | Advisor | Chief Medical Adviser |
Decision-making Power | Provides opinions | Participates in MAHA policy design, high-level briefings |
Representation | Limited | Official spokesperson in vaccine and cardiovascular health areas |
Summary: Dr. Aseem Malhotra is appointed as ‘Chief Medical Adviser’ within MAHA, holding an official and substantial advisory role. This position goes beyond simple consultation, influencing policy design and messaging across the board. His research and public statements regarding vaccine-cardiovascular disease links are subjects of ongoing debate both within and outside the UK.
過ぎ去った春の知らせ:「MAHA運動」でアメリカの食卓に本当に春は来るのか?
さらに、風と共に消え去るかもしれない危機に瀕するジョージアの春の物語
2025年2月、トランプ・ケネディ政権は、**「アメリカを再び健康にしよう(Make America Healthy Again, MAHA)」**というスローガンのもと、野心的な保健イニシアティブを公式に立ち上げました。このMAHA運動は、慢性疾患の急増、異常な食生活習慣、そして環境毒素の増加といった複雑な健康問題に対する深い認識から出発しており、特にアメリカの子供たちの健康を守るための重要な動きとして注目されています。果たして、この「春の知らせ」は、アメリカだけでなく世界中の人々の食卓に温かい変化の風を吹き込む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か?これから、この運動の背景と主要人物、そして主要な目標と現実的な課題を綿密に検証しながら、この変化が私たちの社会と健康にどのような影響を与えるか、一緒に予測する時間を持ちたいと思います。
MAHA運動の始まりと主要人物
MAHA運動は、2025年2月13日、トランプ大統領が発動した行政命令によりMAHA委員会が設立されたことで公式に始まりました。この委員会は、ロバート・F・ケネディ・ジュニアHHS(保健福祉省)長官が直接主導しており、彼の主要な顧問として、イギリス国籍の著名な心臓内科医であり健康運動家であるアセム・マルホトラ博士が首席医療顧問(Chief Medical Adviser)として参加しています。ロバート・F・ケネディ・ジュニア長官は、ワクチン自主権の保障、超加工食品の規制強化、そして過剰医療の改善などをMAHA運動の主要な政策方向として明確に提示しました。特に、アセム・マルホトラ博士は、当初はワクチンを支持していましたが、その後、mRNA COVID-19ワクチンが心血管系に与える可能性のある潜在的な危険信号を強調し、現在も論争の中心に立っています。彼はこれに関連する研究と公的な発言を活発に続けています。
MAHA運動の主要目標と現実的な課題
MAHA運動の最も重要な目標は、まさにアメリカ国民の慢性疾患を減らすことです。これを達成するために、いくつかの主要な政策方向を積極的に推進しています。
MAHA運動の具体的な目標
- グリホサートおよびその他の化学物質曝露の最小化: この運動は、特に「ファーム・トゥ・キッチン(Farm to Kitchen)」、つまり農場から食卓に至る全過程で有害な化学物質の曝露を減らすことに重点を置いています。これは長期的な観点から国民の健康を保護するために不可欠なステップです。
- 超加工食品の削減: インスタント食品を含むあらゆる種類の加工食品、砂糖、果糖、人工着色料など、不必要な添加物に対する規制を強化しようとしています。このような努力は、健康的な食習慣を促進するのに貢献するでしょう。
- ワクチン自主化: COVID-19ワクチンの推奨を緩和し、CDC ACIP委員会を解体するなど、ワクチン接種に関する個人の自主権を強調しています。この部分は、公衆衛生と個人の選択権の間で重要な議論を引き起こしています。
- 過剰医療の防止: 子供の精神科薬、抗うつ剤、そして体重減少薬などの過剰な処方を警戒し、不必要な医療介入を減らそうとしています。これは薬物乱用に関連する副作用を減らすのに役立つ可能性があります。
しかし、国民の健康増進に向けたこのような肯定的な目標にもかかわらず、MAHA運動は現実的な課題に直面しています。これは、巨大な産業の利害関係と科学的論争が複雑に絡み合っているためです。
食品・農畜産業界の予想される強力な反発 vs. 国民の健康リテラシーを支援する最新の科学的証拠
食品・農畜産業界は、MAHA運動が提出したグリホサート関連報告書に対し、「非科学的である」と強く非難しています。しかし、彼らが主張する「非科学的」という言葉が、果たして誰に適用されるのかを明確に示す、文字通り発表されたばかりの最新論文が数日前に公開されました。この論文をご紹介することで、皆さんが誰が「非科学的」な主張をしているのかを直接判断できるようにお手伝いしたいと思います。
この重要な研究は、権威ある学術誌**「Environment International (Elsevier出版)」**に掲載されました。ボリューム/号数はVolume 200で、掲載日は2025年6月、論文番号は109544です。主要な著者および所属機関には、Marta Lombó(Università Politecnica delle Marche)とChristian Giommi(Universidad de León)など、イタリア、スペイン、カナダの複数の学者が参加しています。
グリホサート論文の核心テーマと意義
この最新論文のタイトルは**「規制上『安全な』レベルのグリホサートが生殖健康に与える影響:男性生殖細胞系における細胞および分子レベルの撹乱 (The impact of glyphosate at regulatory ‘safe’ levels on reproductive health: cellular and molecular disruptions on male germ line)」です。この非常に重要な研究は、世界中の規制機関が「安全」**とみなすレベルのグリホサート曝露でさえ、**男性生殖細胞(germ line)に細胞レベルおよび分子レベルの損傷(disruption)**を引き起こす可能性があることを実験的に明確に示しています。特に、精子の形成と機能、ホルモンシグナル伝達、そして遺伝子発現に与える負の影響を深く分析しました。
この論文は単にグリホサートの有害性を警告するだけでなく、**「規制上安全と定義されたレベル」**でさえ実際には無害ではない可能性があることを科学的に指摘しています。また、男性の生殖能力低下、精子異常、細胞損傷といった深刻な懸念を提起し、特に子供、胎児、生殖年齢の男性など、脆弱な集団に対する長期的なリスクの可能性を強調しています。これは、世界保健機関(WHO)、欧州食品安全機関(EFSA)、米国環境保護庁(EPA)といった既存の安全基準について、全面的な再検討の必要性を強く提起しているため、その意義は非常に重要であると言えます。
最新のグリホサート研究結果と大韓民国の対応予測
この論文は、食品、農業、環境保健、毒性学、生殖医学、分子生物学など、さまざまな分野で非常に重要な科学的根拠として活用できます。さらに、今後のグリホサート使用規制強化の議論に決定的な影響を与えるものと予想されます。この論文が伝える核心的なメッセージは、**「イタリアのように最も厳格なグリホサート残留基準(例:0.8 μg/kg bw/day)でさえ安全ではない」**ということです。イタリアの最も厳格なグリホサート曝露許容量を適用した実験で、男性生殖細胞の損傷、ホルモン不均衡、DNAおよび細胞内シグナル伝達の撹乱が明確に観察されたとすれば、これよりもはるかに緩い基準を持つ国は、どのように対応すべきでしょうか?欧州先進国が設定した「安全基準」が、実際には生命と生殖健康を全く保護しない可能性があるという科学的反証を前に、大韓民国が果たしてどのような対応を示すのか、その動向が注目されます。
沈黙:グリホサート問題に対する韓国の対処法
大韓民国は、OECD諸国の中でもグリホサート関連の基準が比較的緩い国に属します。中には、「韓国は0.01 ppmが法的基準だと聞いているのですが?」と疑問に感じる方もいらっしゃるかもしれません。もしかしたら、輸入・通関段階で行われる**「用途分離」**についてご存知でしょうか?これは、輸出国では食用と飼料用の区別なく同じGMOトウモロコシや大豆として栽培・生産されますが、一度韓国に入ると、法的・行政的に食用と飼料用に分離される段階を指します。この際、食用であれば残留農薬検査の対象となり、0.01 ppmの法的基準が適用されます。しかし、飼料用であれば検査から除外されるか、はるかに緩和された基準が適用されるため、輸入が格段に容易になります。
しかし問題は、実際には食用としても十分に使える原料が「飼料用」として通関され、その後再加工されるという構造が発生している点です。実態はこのよう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国民には「厳しい基準を守って流通している安全な作物を食べている」という錯覚を誘発する、杜撰な分類体系であると言えます。これについては、別の項目でさらに詳しく説明する予定です。現在、大韓民国の残留許容基準は、様々な食品において比較的高い、または不明確に設定されているケースが多く、輸入農産物、加工食品、そして給食に納入される穀物に対する精密なモニタリングと規制措置が著しく不足しています。さらに、実際には「検出されたが基準以内」という理由で流通が繰り返し許可されており、国民の健康権が脅かされているのが現状です。
韓国社会の沈黙はなぜ続くのか?
韓国社会がこのような現実に「沈黙」を貫く理由は複雑です。
- 企業と利益の保護: 多国籍農薬化学企業と国内の大手食品・流通企業は、グリホサートを含む輸入作物を大量に使用しているため、これを規制すればサプライチェーンに甚大な影響が予想されます。したがって、彼らは強力なロビー活動を通じて現状維持を図ります。
- 政治的負担の回避: 規制を強化すれば、企業の反発はもちろん、輸出入の対立激化、そして食品価格の上昇など、様々な波紋が予想されるため、政治的に大きな負担となる可能性があります。政府や政治家はこのような負担を避けようとする傾向があります。
- 情報不足による国民の認識不足: 大韓民国国民は、健康に対する欲求が他のどの国の国民よりも熱いのです。ただ、正しく十分な情報が適切に共有されていないため、この欲求が実質的な変化を生み出す力を発揮できていないだけです。国民が正確な情報を知れば、はるかに積極的に対応できるはずです。
私たちが今すべきこと:科学的・倫理的責任を議論して時間を浪費するのをやめよう
科学的・倫理的責任を果たす国の国民であれば、今すぐどのような計画を立てるべきでしょうか?私たちはこれ以上、時間を浪費する余裕はありません。
- グリホサート曝露の実態調査強化: 輸入穀物、給食材料、加工食品など、全領域で精密な残留検査を大幅に拡大する必要があります。現在の不十分な検査体制では、国民の健康を守ることはできません。
- 国民の知る権利の保障: 国会で9年間眠っているGMO完全表示法案を即刻可決し、GMOの有無およびグリホサート検出履歴を明確に表示する法案も、一丸となって制定すべきです。消費者が何を食べているのか正確に知る権利は、基本的な権利です。
- 現行基準の全面的な再検討: 上記の論文の結果のように、「安全だ」とされてきた基準でさえ、実際には有害である可能性があるという最新の科学的証拠を直視し、現行の残留許容基準を全面的に再検討すべきです。欧州連合(EU)のように、予防原則に基づきグリホサートの使用禁止または段階的廃止を導入すべきです。
- 環境に優しい・非化学農法の奨励政策の具体化: 除草剤に依存しない再生農業と無農薬自給穀物システムが拡大するよう、具体的な方策を議論し、全国民的な決意を結集すべきです。持続可能な農業だけが、私たちの子孫に健康な環境を残すことができます。
国政を司る方々、そして健康の専門家たちは、こう認識すべきです。「今、無駄な沈黙で金(お金?)を守る時ではありません。手遅れになる前に、恐ろしい情報ではありますが、それを大声で国民に伝え、政府と専門家が一つの声を上げて生命を守るべき時です。」
グリホサート論争と欺瞞的なマーケティング:マクドナルドとステイク・アンド・シェイクの事例
MAHA運動が、グリホサートのような化学物質への曝露を最小限に抑えることを強調し、同時にこれらの作物がヘキサンを使って加工精製される植物油の拡散を食い止めようとする動きを見せると、マクドナルドやステイク・アンド・シェイク(Steak ‘n Shake)などの一部外食産業は、**「ヘキサンを使って加工精製される大豆・トウモロコシの植物油の代わりに、牛肉のタロー(tallow)や牛脂に切り替える」**と宣言しました。この宣言は、皆さんから見て、いかにも健康を考慮したかのように見えますか?
しかし、専門家たちは、放牧で育てられたのではなく、工場式飼育でGM大豆・トウモロコシ飼料とグリホサートが混入した飼料を与えられて育った牛の牛脂やタローには、依然として問題が存在すると指摘しています。GM作物と除草剤の残留農薬の被害をそのまま持つ、肥満で病んだ牛が「霜降り肉」として、韓国では「韓牛1等級」、アメリカでは「最高級ステーキ」と呼ばれ、人々の口の中でとろけるような肉について、**「病むまで飼育された家畜の脂肪が高級食品として包装された畜産業の幻覚」**については、別の項目で詳しく取り上げたいと思います。今は、人間も家畜も肥満は病気の状態であることを示す体のサインだという言葉だけ残しておきます。
そして、その工場式で飼育され、GM作物と除草剤の残留農薬の被害をそのまま持つ、肥満で病んだ牛の脂肪を使って食品を揚げる場合、残留農薬や化学物質が一次的に濃縮される可能性があるというのです。つまり、単に油の種類を変えるだけでは、超加工食品の根本的な安全問題は解決しないというのが専門家たちの共通の見解です。このような事例は、アメリカだけでなく世界中に支店を持つ大手食品企業が、いかに浅はかな考えで消費者を欺こうとしているかを断片的に示しており、このような根拠のない宣言は批判を免れません。それでも、次の段階がどのように進むか、見守っていきましょう。
ジャンクフードの本質。マクドナルドのフライドポテト、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そしてレンズ豆入り即席ご飯はすべて、NOVA分類、国連、WHO、FAO基準において、超加工食品(Ultra-processed foods, UPFs)です。
マクドナルドのフライドポテトのようなジャンクフードは、単に揚げ油だけの問題ではありません。フライドポテトは、単に切られた野菜ではなく、一次加工(でんぷん除去・ブランチング・調味料添加)を経て再成形され、その後、種子油またはタローで揚げられるという複雑な工程を経ています。この過程で、味覚を刺激する添加物(ナトリウム、MSG類似物質など)は、ドーパミンだけでなくオピオイド受容体までも同時に刺激し、脳の報酬システムを人為的に活性化させ、強い満足感と繰り返し摂取したい欲求を誘発する**「中毒類似」設計の「中毒ジャンクフード」**構造を形成します。
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も同様です。アメリカ、ブラジル、オーストラリア、アルゼンチンから輸入される小麦粉は100%グリホサートが使用されており、麺の形に加工する前にプレミックス(でんぷん+その他の添加物)を経て熟成、再圧縮、揚げまたは蒸し工程を経ますが、この工程自体がジャンクフード工程のミニチュア版です。
ちなみに、私たちの脳には、オピオイドシステムとドーパミンシステムが協力して、動機付けを行い、学習を強化し、反復行動を誘発する強力なメカニズムがあります。このメカニズムについては、別の項目でさらに詳しく説明する予定です。
美味しい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何が問題なのか?
美味しい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一体何が問題なのでしょうか?その秘密は、複雑な加工工程とグリホサートの有害性に深く隠されています。
原因1:麺自体の「プレミックス」設計
ラーメンの麺は単なる小麦粉ではありません。製造前にプレミックス、つまり小麦粉にでんぷん、精製塩、酸化防止剤、加工油脂、乳化剤、そして香料が結合された混合粉が使用されます。このプレミックスは、すでに口当たり、香り、歯ごたえ、揚げ加減などを考慮して高度に加工されているため、ラーメンが口に入る前から脳が期待するように仕向けられています。
一部には、再熱抽(再び煮ても味が保たれるという意味)成分が含まれており、実際に煮たり炒めたりしても、コシ、油の香り、うま味が変わらず維持されるように設計されています。まさにこのような複雑な工程があるからこそ、自宅で国産の有機小麦粉を購入して水と練っても、決してラーメンの麺独特の食感を作り出すことができないのです。そして、この高度に研究開発された食感と油の組み合わせ自体が、脳のオピオイドシステムを強く刺激する結果につながるのです。
原因2:スープの添加物構造
調味スープには、以下の成分が頻繁に使用されます:グルタミン酸ナトリウム(MSG)、または天然由来と表示される酵母エキス、核酸系調味料、糖類、高果糖コーンシロップ、ブドウ糖、マルトデキストリン(隠れた糖質)、植物油(GMO由来の可能性あり)、合成香料、着香料、そして**「天然香料」という名の「国が法で保護する絶対秘密:魔法の複合化合物5%」**が追加されます。
食品会社は、すべての成分を100%開示する義務がありません。そして、法で保護されているこの5%の秘密物質が、どのように、どれくらいの量、どのような方法で私たち個々のドーパミンだけでなくオピオイドシステムまで刺激するのか、脳の報酬回路にどれほど強力な相乗効果による刺激を引き起こす可能性があるのか、私たち消費者には知る由もないのが現実です。このような理由から、たとえ食品業界の関係者が自社の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を美味しいと販売できたとしても、健康関連の専門家は、このような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や即席ご飯を推奨したり、自分の顔や名前を貸して宣伝したりする行為は、当然警戒すべきことだと私は考えます。
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が脳に与える影響
結局、麺とスープの相乗効果が人間の**「快感回路」**を同時に刺激します。ドーパミンは強い期待感と行動の動機を誘発し、オピオイドは実際の満足感を生成し、これは結果的に食欲の制御喪失、繰り返し摂取、そして罪悪感と快感の悪循環を誘発します。これは単に個人の意志不足として片付けられる問題ではありません。これは、科学的に精巧に設計された中毒類似食品システムの産物であると言えるでしょう。
食品会社の成分、営業秘密:知らないが勝ち?
食品会社の一部の成分は、営業秘密保護条項に基づき、合法的に非開示が許されています。大韓民国の基準(アメリカ、日本も類似しています)の関連制度、すなわち「食品衛生法」と「表示基準」によれば、5%未満使用された複合調味料や天然香料は個別の成分開示義務がなく、**「調味料(天然香料)」**としてまとめて表示することが可能です。また、機密保持が必要な営業秘密物質は一部非開示が認められています。例えば、「調味ベース」「天然香料」「複合調味料」と表示されている場合、消費者は化学的に合成された数十種類の物質が含まれていても、正確な成分を知ることはできません。
食品事業者は、政府の法的保護の下で5%の秘密を永久に守ることができる一方で、同じ国の国民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消費者は政府の完全な保護から取り残されていると言えます。知らないが勝ちなのでしょうか?それとも知ろうとすると傷つくのでしょうか?
ヘルシーにラーメンを食べる、血糖値を気にせずラーメンを食べる方法:その裏に隠された認知的不協和
「ヘルシーにラーメンを食べる」、「血糖値を気にせずラーメンを食べる方法」、「健康関連の専門家である私も実はラーメンを食べます」といった言葉が広く存在する理由を科学的な観点から説明するならば、ラーメンの単純炭水化物、精製脂肪、うま味、香料、そして油の複合的な組み合わせが、砂糖、ニコチン、さらには麻薬類に似た中毒反応を誘発する可能性があるため、と申し上げて良いでしょう。
このように中毒反応誘発の可能性が高い食品は、興味深いことに、摂取者に認知的不協和現象を引き起こします。たとえ健康関連の専門家という職業であっても、「ラーメンは体に悪いと分かっているけれど、やめられない」と告白することもあれば、血糖代謝の問題が始まり糖尿病前段階、あるいは糖尿病と診断されたにもかかわらず、あるいは脂質異常症と診断され、それに対する処方薬を自分で服用し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ラーメンをやめられないケースが頻繁に発生します。
おそらくそのためでしょうか?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を調理する際に野菜、キノコ、レンズ豆、卵などを追加したり、一度茹でたお湯を捨てて新しいお湯で麺を再び煮たり、酢を入れたりするなど、あらゆる種類の多様な方法が「ヘルシーにラーメンを食べる」というタイトルを掲げてYouTubeに悠々と流れています。目先の血糖値の上昇が抑えられ、野菜、キノコ、レンズ豆、卵などの植物性・動物性タンパク質を加えることで、なぜか健康的な食事をしたような錯覚に陥ります。そして脳はこれを合理化し、繰り返し摂取することを許容してしまいます。
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は単なる食べ物を超えて、「子供の頃、お母さんが作ってくれたラーメン」、「試験が終わって食べたラーメン」のように、感情、記憶、そして慰めのコードとしても機能します。だからといって、一部の健康専門家が言うように「ソウルフード(soul food)」と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を呼ぶのは、厳密に言えば「ソウルフード」の誤用です。
**「ソウルフード」**は、アメリカ南部深部(特にジョージア、ミシシッピ、アラバマ)出身のアフリカ系アメリカ人によって開発されたレシピで、文化、共同体、自給自足、感情、涙、そして誇りが内在する自家製の食品です。これは天然素材で栄養バランスをとり、スロークックという調理法に従い、健康維持に役立つ料理です。工場で生産された商品やプラスチックに入った製品を「ソウルフード」とは呼びません。
一方、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はどうでしょうか?日本語を話す際に英単語を使用すること自体は個人の選択です。しかし、その人が何らかの分野の専門家である場合、正確な定義に反する外国語の使用は、その専門性に汚点を残す可能性があると私は考えています。あえて英単語を使いたいのであれば、「コンフォートフード(Comfort food)」程度が適切ではないでしょうか。もし興味があれば、ご自身で「Soul food vs Comfort food」を調べてみることをお勧めします。
健康関連の専門家として、多くの人々に自分の考えを共有し、意見を交換することは素晴らしいことです。しかし、そのテーマが健康に関わり、特に金銭が絡む場合は、慎重に、徹底的に、そして学習と調査に最善を尽くさなければなりません。たとえ自分の主張が正しいと判断して商品を発売したり、自分の顔や名前を貸したりしたとしても、後にその主張に不備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時点で、たとえ法的な責任を免れたとしても、個人の職業倫理や道徳心には傷跡が残る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ここまでお話ししてきたラーメンは、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についてでした。一方、日本では、自国産の小麦をオーガニックで栽培し、特殊発酵させた後、手打ちで毎日、その日に仕入れた食材を使って数量限定で販売し、売り切れたら店を閉めてしまうようなラーメン店も存在します。そして、その中には、手作りのラーメンや手打ちそばを、その場所で数十年、いや数百年(本当です)もの間続けている店もあります。
ジョージア州が暖かな春の知らせに冷たい風で応じる:「MAHA運動」はどこの国の話?アメリカ、ジョージアの食卓の運命、風と共に消え去るのか?
春の天気は時に人の忍耐力を試しますよね。暖かくなったかと思えば、また肌寒くなることを繰り返し、予測不可能な変化を見せます。もしかしたら、この天気のように、中央政府から**「アメリカを再び健康にしよう(Make America Healthy Again, MAHA)」**という暖かな保健の知らせが聞こえてくる一方で、私が住むジョージアでは、まるで春を冬に戻すかのような冷たいニュースが伝わってきました。
保健福祉省長官が自ら率先してグリホサートの最小化や加工精製食品の削減によって国民を保護しようとする努力とは対照的に、ジョージア州では農薬メーカーの味方をする法案が可決されたのです。これは、MAHA運動の理想と地域の現実との明確な隔たりを示す、残念な現実であると言えます。
ジョージアの「グリホサート傘法(SB 144)」:再び登場、バイエル!強力なロビー活動で農薬メーカー保護法案の可決に貢献
ジョージア州議会は最近、**SB 144、「除草剤ラベルに対する責任制限(Limitation on Liability for Pesticide Labels)」**という法案を発議し、可決しました。この法案は、上院で42対12、下院で101対58という圧倒的な賛成多数で可決され、2025年5月12日にケンプ知事の署名も終え、2026年1月1日から正式に施行される予定です。
この法律の核心は非常に明確です。米国環境保護庁(EPA)の承認を受けた除草剤のラベルが連邦基準を満たしている場合、州裁判所や民事訴訟で当該製品に追加の警告義務を課すことができないようにするというものです。これは、農薬による被害が発生した場合の製造物責任訴訟の可能性を著しく減少させる結果を招きます。したがって、ジョージア州はノースダコタ州に続き、農薬メーカーを直接保護する法律を採択した2番目の州となり、この法律が施行されれば、ジョージア州内で発生する新たなグリホサート関連訴訟は、連邦ラベルレベルでのみ判断され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ような動きは、中央政府の健康増進の努力とは相反する、地域の現実を示す残念な状況です。
ロビイストの影に潜むバイエル:ジョージア法案可決の背景
この**「グリホサート傘法(SB 144)」**が圧倒的な賛成多数で可決された背景には、農業界と種子企業の強力なロビー活動が深く関わっています。特に、モンサントを買収したバイエル(Bayer)のような巨大農薬化学産業がこの法律の制定を主導し、「モダン・アグ・アライアンス(Modern Ag Alliance)」、「ジョージア農業ビジネス評議会(Georgia Agribusiness Council)」、そして「ジョージア農場局(Georgia Farm Bureau)」といった団体が、この法案の可決を熱烈に歓迎する声明を発表しました。
ジョージア州のロビイストの現状を見ると、2022年時点で合計1,144人のロビイストが登録されており、4,524の団体を代表し、年間ロビイスト数は約1,000人レベルを維持しています。これらの数字は、ジョージア州内で莫大なロビー活動が行われていることを明確に示唆しています。実際、多数の農業・化学企業のロビー資金とイベント後援が、SB 144の「ファスト・トラック(Fast-track)」法案処理過程に決定的な影響を与えたという指摘が多くあります。一方、健康・環境団体や小規模ロビイストは相対的に劣勢に立たされており、このような巨大なロビーの力に対抗するのが難しい現実です。
「風と共に去りぬ」のスカーレット・オハラをご存知ですか?
アトランタが愛する作家マーガレット・ミッチェル(Margaret Mitchell, 1900–1949)はアトランタ出身で、幼少期に祖母から南北戦争と再建期の話を聞いて育ったそうです。彼女の唯一の長編小説である**「風と共に去りぬ」**で、1937年にピュリツァー文学賞を受賞しました。この作品は歴史小説で、アメリカ南北戦争と再建時代を背景にした歴史年代記的な成長ドラマです。舞台はジョージア州のタラ(Tara)農場およびアトランタで、主に1861年から1873年までの時期を扱っています。
主人公のスカーレット・オハラ(Scarlett O’Hara)は、アメリカ南部の貴族の家柄の末娘で、戦後、没落の危機に瀕した家族を守るために孤軍奮闘します。彼女の恋(レット・バトラー、アシュレー・ウィルクス)をめぐる複雑な感情と、持っているものを守ろうとする強い意志、そして生存本能が交錯しながら、劇的な成長ストーリーを織りなします。1936年から1937年まで連続でアメリカのベストセラー1位を飾り、ピュリツァー文学賞を受賞したこの本は、映画化もされました。アトランタ市およびマリエッタ地域には、『風と共に去りぬ(Gone with the Wind)』関連のツアーや博物館が運営されています(Margaret Mitchell House, Marietta WGTW Museumなど)。
**「風と共に去りぬ」**の主要なテーマは、まさに生存でした。混乱した時代の中にあっても生き残ろうとする人間の内面と強い意志を中心に展開されます。私は今、ジョージアの住民がスカーレット・オハラの精神で自らの生存を守るべき時だと考えます。
スカーレット・オハラのDNAを受け継ぐ者たち、彼らがすべきこととは?
ジョージアの住民は、スカーレット・オハラのように揺るぎない意志で、私たちの健康、そして貴重な土地、水、空気を守らなければなりません。これらはアメリカに残された数少ない「無料」のものであり、生存に不可欠なものです。
「自分のものを守る」という決意—情報権の確保: スカーレットがタラ(Tara)を守ったように、住民は自分自身と家族の健康のために、グリホサートの許容に関する正確な情報とその危険性を自ら学び始めるべきです。ジョージア州議会は最近、EPAの承認基準に従う限り製造業者に免責を与えるSB 144を可決しました。これにより、製造業者はEPAラベルに記載されている以上の警告義務を免れることになります。崩壊し歪曲された情報の世界、偽ニュースや縮小された危険、操作されたデータの中で、真実を見極める目と新たな基準を打ち立てるためには、徹底的な学習で武装し直さなければなりません。再び学ぶことによって、情報の故郷であるタラ(Tara)を築き上げるべきです。
「学び、対応する」—市民主導の監視: スカーレットが戦争と混乱に耐えたように、ジョージアの住民も今、現行法の限界に立ち向かわなければなりません。幸いにも、増え続ける住民請願と健康団体の監視が、変化の可能性をもたらしています。農薬の警告表示の強化、現場毒性検査の拡大、代替農業モデルへの転換、健康影響調査の要求など、さまざまな政策的圧力戦略を活用できます。
「決して諦めない」—地域社会の健康のための戦略: スカーレットのしぶとい生存本能のように、住民は地域の非営利団体や環境団体との連携、議会や地方政府への公開聴聞会の要請、代表訴訟への参加、そして学校や教会を中心とした教育活動などを通じて、グリホサート依存の構造を段階的に置き換えていくことができます。
スカーレットの後裔たちのための「生存のための五つの戦略」
ジョージアの住民が、スカーレット・オハラのように力強く自身の健康と未来を守れるよう、五つの**「生存のための戦略」**を提案します。
- 情報のタラを築く: EPAのラベル方式のみを義務付け、製造業者の責任回避を規定するSB 144の法的意味を調査し、広く共有しましょう。
- グリホサート曝露地図を作成する: アトランタ周辺でグリホサートが主に散布されている地域と、病院、学校、農場、公園、そしてゴルフ場などの位置に基づき、曝露地図を直接作成することをお勧めします。リスクを視覚化することは、危険な地域を特定し対策を立てる上で大きな助けとなるでしょう。
- 健康監視責任集団を組織する: 地域の医療従事者、保護者、農家が連携して、グリホサート関連疾患や発がん事例を追跡し、体系的に記録することが非常に重要です。このようなデータは、将来の政策変更のための強力な根拠となります。
- 政策圧力ネットワークを構築する: 議会や地方自治体に積極的に請願し、公開討論会や公聴会を推進し、メディア露出とSNSキャンペーンを並行して行い、政策変更を強力に圧迫しましょう。継続的な声を上げなければ、政策立案者は動きません。
- 代替農業および環境に優しい普及共同体を作る: グリホサート依存型農業ではなく、生態循環農業、有機農業、精密農業などの代替モデルの試験団地運営を主導し、持続可能な農業を地域社会に広げていきましょう。これは長期的に健康な食料を確保する重要な道です。
🍃 結び – 「風にも消え去らないジョージアの生命力」
ジョージアの住民も、スカーレット・オハラのように決して**「消え去らない者」**です。自分と子供、そして隣人の健康を守る意志に、特別なDNAが必要なわけではありません。私はこれまでジョージアのこのような状況について、多くの方々と話をしてきました。健康関連の専門家、非専門家、様々な分野で活動している方々でしたが、共通点がありました。私がこの話題を切り出すまで、彼らが皆、このような事実を全く知らなかったという点です。
私はマーガレット・ミッチェルの文章の中で、スカーレットが最後に言った「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結局のところ…明日はまた別の日なのだから。)」という言葉がとても好きでした。そして、今もなお、明日昇る太陽を想像すると、少しワクワクします。はい、明日の太陽は自分の仕事をしようと昇るでしょう。しかし、私は自分が明日できることを今日のうちにやらないと決めました。たとえ日が沈みゆく夕焼けであろうと、月明かりの下でも、私ができることをしようと、そしてし続けようと思います。たとえ取るに足らない文章の一行であっても、気持ちが先走って乱雑な文章であったとしても、内容だけは真実であるよう、私が学んだ最新の情報を共有し、来年の真冬に押し寄せる寒波を避けられるよう願い、初夏に肌寒いニュースを伝えるために、指先に私の熱い心と叫びを込めました。
ジョージアの土地、水、空気、そして家族を一緒に守りましょう!
参考1:ジョージア州の状況まとめ
ジョージア州はグリホサート使用保護法を制定しており、住民、患者、医療界の健康権と情報アクセス権が後退する危険性があります。
- グリホサート免責法施行: 2026年1月1日施行
- 農業界ロビーの影響: バイエル(Bayer)などの巨大企業と、実に1,000人ものロビイストが活発に活動
- 住民・医療界の対応策: 行政訴訟、公益連帯、法案代替案の提示、公聴会への参加が必要
住民の対応策:
- 州法とEPA基準の比較分析、行政訴訟の準備
- 地方議会およびメディアと協力し、公聴会および情報監視を強化
- 代替政策(土壌回復、農薬監視制度、再生農法インセンティブ)の採用要求
ロビー資金公開 – SB144後援内訳(連邦選挙委員会基準、2024年度)
SB144の可決に影響を与えた主要な人物と、彼らが農薬・除草剤製造関連PACから受領した献金は以下の通りです。
議員名 | 所属 | PAC献金額 |
Sanford Bishop (D–GA) | 連邦下院議員 | $17,500 |
Austin Scott (R–GA) | 連邦下院議員 | $11,000 |
Buddy Carter (R–GA) | 連邦下院議員 | $10,000 |
David Scott (D–GA) | 連邦下院議員 | $18,500 |
これらの人物は連邦レベルの献金を受け取っていますが、各議員はジョージア州議会にもロビー活動および意見提供のルートでつながっています。(※州上・下院議員の実際の個人献金の詳細は、州公式ウェブサイトの「Lobbyist registration and disclosure」で確認可能です。)
ジョージア州の環境・医療団体および現在の対応状況
主要な市民社会団体:
- Georgia Environmental Alliance: SB144反対キャンペーンを展開し、地域社会レポートを発表しています。
- Food & Water Watch Georgia支部: 署名運動(#StopSB144)を組織し、農業代替政策提案書を発行しています。
- Pesticide Action Network (PAN) 地域支部: 科学講演会を開催し、法的対応策を共有しています。
医療・保健専門家組織:
- Georgia Public Health Association (GPHA): 農薬曝露リスクに関する啓発セミナーを開催しています。
- Georgia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地域住民を対象に健康調査を実施し、医師の意見書を作成する活動を行っています。
これらの団体は、地域メディア、議員面談、公聴会参加などを通じて、SB144の潜在的な健康リスクを継続的に広報しています。
公聴会、署名運動、組織案内
A. 公聴会日程(2025年下半期予定):
- 地域公聴会: アトランタ市中心部で開催される予定で、日程は「Georgia Board of Agriculture」の公式発表で確認できます。GPHA、GEAlliance、Food & Water Watchなどが参加準備を進めています。
B. 署名運動:
- #StopSB144オンライン請願プラットフォーム: 公式請願および地域議員への郵送/直接提出が可能なオンラインプラットフォームです。
- 地域病院・医院署名キャンペーン: Georgia Academy of Family Physiciansが主導し、3,000人規模の署名運動が進行中です。
C. 非営利協力組織の構成:
- 「Georgia Safe Food Network (GSFN)」: GEAlliance、GPHA、Food & Water Watch GAが協力する非営利連合体です。主な目的は、公聴会対応、住民教育、法務検討、そして証拠文書化です。
参考2:大統領の行政命令
**「大統領の『アメリカを再び健康にしよう(MAHA)』委員会設置行政命令」**は、2025年2月13日に発効されました。
第2条 政策: アメリカ国民が直面している精神疾患、肥満、糖尿病、その他の慢性疾患の急増といった重要な健康課題に積極的に取り組むことが連邦政府の政策である。
- (a) 連邦政府資金によるすべての保健研究は、透明性とオープンソースデータを介してアメリカ人を力づけるべきであり、利益相反を避けるか排除すべきである。
- (b) NIH(国立衛生研究所)などは、アメリカ人が病気になる根本原因に関する**「ゴールドスタンダード研究」**を優先すべきである。
- (c) 連邦機関は農家と協力し、アメリカの食料が世界で最も健康で、最も豊富で、最も手頃な価格であることを保証すべきである。
- (d) 連邦機関は、予防と健康的な生活を支援する利益を提供するような、拡大された治療選択肢と健康保険適用範囲の柔軟性を確保すべきである。
第3条 委員会の設置: 保健福祉省長官を委員長とし、農務省、環境保護庁(EPA)、食品医薬品局(FDA)、疾病対策センター(CDC)、国立衛生研究所(NIH)など主要機関の長が参加する委員会が設置される。
第4条 子供の慢性疾患への対応: 委員会は、子供の慢性疾患の範囲と潜在的な原因(食事、毒性物質への曝露、医療処置、生活様式、環境要因、食品生産技術、電磁波、企業の影響など)を研究し、大統領に助言と支援を提供し、政府全体の方針を勧告すべきである。
第5条 初期評価と戦略策定:
- 100日以内: 子供の慢性疾患の有病率を診断し、薬剤、食品成分、化学物質、曝露などからの脅威を評価する報告書を提出する。
- 180日以内: 初期評価の結果に基づき、連邦政府の対応構造を再編し、子供の慢性疾患を悪化させる連邦の慣行を終わらせる戦略を策定する。
参考3:EBM(根拠に基づいた医療) vs. 手続き主義(Proceduralism)比較表
基準 | EBM(根拠に基づいた医療) | 手続き主義(Proceduralism) |
目標 | 臨床証拠に基づいて治療を推奨 | 合法性と手続きの正当性を確保 |
アプローチ | 無作為化比較試験(RCT)、メタ分析、定量的データ中心 | 委員会構成、公聴会、公開手順、透明性の強調 |
MAHAとの関係 | 「ゴールドスタンダード研究」、化学物質・添加物の安全性など、科学的根拠に基づく研究を要求 | 透明なデータ公開、公聴会、公開報告書など、手続き主義の要素を反映。委員会設置および100/180日規制は手続き中心 |
限界と示唆 | EBMは因果関係分析に強いが、公共政策転換には時間がかかる。証拠が不十分な場合や短期研究はEBMの限界 | 手続き主義は権威と透明性確保に有利だが、政治的圧力やロビー活動に脆弱。実際の規制実施(例:着色料禁止、砂糖規制)には法整備が必要 |
結論要約: MAHAは、手続き主義に基づく委員会設置とEBM研究推進の二重の枠組みを使用しています。しかし、これら二つの間のバランスと、実際の法制化への連携が今後の主要な争点となるでしょう。
参考4:MAHAの「首席医療顧問」アセム・マルホトラ博士:正確な経歴と現在の身分
氏名および肩書: アセム・マルホトラ博士 — 英国国籍の心臓内科医であり、健康活動家。
主な経歴:
- 2014年: 英国の砂糖削減運動団体である「Action on Sugar」の初代科学ディレクターを務めました。
- 著書: 『The Pioppi Diet』、『The 21-Day Immunity Plan』、『A Statin-Free Life』など、健康関連のベストセラーを多数執筆しています。
- ワクチンに対する姿勢: 当初はワクチンを支持する発言をしていましたが、その後、mRNA COVID-19ワクチンに対して批判的な立場に転じました。
- 論争: COVID-19ワクチンと心血管疾患との関連性を主張したことで、英国医師会から除名処分を受け、彼の一部の主張は事実と科学界の評価によって「根拠がない」と批判されています。
アセム・マルホトラ博士とMAHA(「アメリカを再び健康にしよう」)の連携
アセム・マルホトラ博士は、RFK Jr.が率いるMAHAキャンペーンの首席医療顧問(Chief Medical Adviser)として活動しています。これは単なる諮問を超え、ワクチン、栄養、心血管健康に関する戦略的方向性を提示する重要な助言者の役割を意味します。彼の役割の具体的な意味は以下の通りです。
- 戦略顧問: 単に助言を提供するレベルを超え、MAHAの主要な健康政策やメッセージの設計に深く関与しています。彼はキャンペーンの全体的な方向性を設定する上で極めて重要な役割を担っています。
- ワクチンと心臓病の関連性強調: 学術的根拠に基づいて、ワクチン、特にCOVID-19 mRNAワクチンが心血管系に与える可能性のある危険信号を強調しています。後日、2024年の米国上下院公聴会で行われた最新のワクチンに関する話についても、多くの人がその詳細を知らないようなので、公聴会の内容と経緯についてもお伝えする予定です。
- 公的影響力の行使: RFK Jr.やトランプ政権などとの緊密な連携を通じて、公共メディアや政策の方向性に大きな影響力を行使しています。彼は様々なインタビュー、講演、メディア出演を通じて、関連する自身の主張を活発に紹介しています。
比較:単純な顧問 vs. 公式役職(アセム・マルホトラ博士)
側面 | 単純な顧問 | 公式役職(首席医療顧問) |
役職名 | Advisor(助言者) | Chief Medical Adviser(最高医療顧問) |
意思決定権限 | 意見提供 | MAHA政策設計への参加、高レベルのブリーフィング |
代表性 | 限定的 | ワクチン・心血管健康分野における公式な代弁者 |
要約: アセム・マルホトラ博士はMAHA内で「首席医療顧問」に任命されており、公式かつ実質的な顧問の役割を担っています。この役職は単なる助言にとどまらず、政策設計やメッセージング全般に影響を与える立場です。彼のワクチンと心血管疾患に関する研究および公的な発言は、英国内外で継続的な議論の対象となっています。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