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가 ‘슬픔’을 선택하는 역설: 자아 중독의 첫 단서

“나는 오늘부터 슬프기로 했다.” 슬프기로 선택한다는 게 이상하게 들리지만, 우리는 실제로 슬픔이나 불쾌감을 ‘선택’할 때가 있습니다.

인간은 본성적으로 고통을 피하고 쾌감을 쫓는 존재임에도,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은 유독 슬픈 사진이나 음악을 끊임없이 찾아 스스로를 슬픔에 몰아넣기로 선택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왜 그럴까요?

연구팀은 우울증 환자들이 슬픔을 통해 자신의 감정적 자아를 확인하려는 듯하다고 표현했습니다. 즉, **”나는 이렇게 슬퍼하고 우울한 사람이야”**라는 자아의 정체성을 세우고, 거기서 익숙한 안정감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슬픔이 고통스럽지만, 동시에 **’익숙한 자아를 유지하면서 얻는 심리적 보상’**이 무언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아 중독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2. 저드슨 브루어 박사의 핵심 주장: 자아 중독이란 무엇인가?

브라운대학교의 중독 심리학자 저드슨 브루어(Judson Brewer) 박사는 그의 저서 **『중독은 뇌를 어떻게 바꾸는가』**에서 알코올, 마약뿐 아니라, 현대인들의 자아 중독 문제가 심각하다고 주장합니다.

인간은 자아의 존재 자체를 즐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 좋은 일을 누구한테 말하는 것만으로도 위로받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처럼, 누군가의 칭찬 유무와 관계없이 나 자신을 표현하는 것 자체가 강력한 보상으로 작용합니다. 심지어 한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이 돈을 포기하고서라도 자신에 대해 말하기를 선택할 정도였습니다.

자아는 집착의 대상입니다. 심지어 그 행동이 우리에게 해가 될 때조차도, 우리는 기존의 자아에 매달리고 싶어 합니다. 이는 중독의 가장 중요한 특징입니다. 특정 행동이 해롭다는 것을 알면서도 끊을 수가 없는 것, 이것이 바로 브루어 박사가 정의하는 자아 중독입니다.

3. 보상 기반 학습: 자아 중독이 우리의 성격과 삶을 지배하는 방식

브루어는 중독이 보상 기반 학습이라는 단순한 메커니즘을 통해 생긴다고 주장합니다.

단계예시 (스트레스와 술 그리고 폭식)예시 (자아 중독과 우울증)
촉발 (Trigger)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실연을 당하거나, 무용지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행동 (Behavior)술을 마신다/폭식을 한다슬픔과 자책에 깊이 몰두한다 (익숙한 ‘슬픈 나’를 선택)
보상 (Reward)순간적인 안정감과 이완을 얻는다익숙하고 예측 가능한 **’자아 정체성’**을 유지하며 심리적 안정을 얻는다

이 패턴이 반복되면, 스트레스가 자동적으로 술 생각으로 연결되듯, 부정적인 감정적 자극은 **’나는 우울한 사람이야’**라는 자아 중독의 습관으로 연결되어 저항할 수 없게 됩니다. 성격 역시 ‘수줍음을 탔을 때 안정감을 느낀 경험’처럼, 반복되는 보상 기반 학습을 통해 형성된 자아 중독의 결과물로 볼 수 있습니다.

4. 뇌 과학과 진화론적 배경: 자아 중독의 뿌리 (DMN과 생존 본능)

자아에 대한 집착이 고통과 어리석음의 근원이라는 것은 **불교의 무아설(無我說)**과 맞닿아 있습니다. 브루어 박사는 이 불교 철학의 관점이 현대 정신 과학과 유사점이 많음을 강조합니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자아를 만들고 집착할까요?

진화론적 설명: 과거 인간은 복잡한 무리 생활 속에서 자신의 서열과 위치를 인지하고 소외되지 않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습니다. 남과 비교해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확인하는 습성이 무리 안에서의 생존에 필수적이었고, 이것이 자아에 대한 집착의 뿌리가 됐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뇌 과학적 설명 (DMN): 우리 뇌에는 나에 대한 생각을 할 때 특징적으로 활성화되는 **기본 상태 회로(Default Mode Network, DMN)**라는 영역이 있습니다. 이 영역은 사람들이 아무것도 안 하고 휴식을 취할 때도 활발히 활용되며, 이는 우리의 잡념 자체가 자아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결국, 자아의 존재는 계획을 세우고 생존에 필요한 필수적인 기능을 하지만, 이 자아에 강하게 집착하여 고통을 받을 때도 내려놓지 못하면 우리의 삶은 매우 힘들어집니다.

5. 자아 중독에서 벗어나는 법: 명상(마음챙김)의 ‘파도타기’ 원리

중독은 자극 → 주관적 편향 → 행동 → 보상의 과정으로 강화됩니다. 직장 스트레스가 주관적 편향을 통해 담배(행동)로 연결되는 것처럼, 실연의 고통이라는 자극이 **’나는 실패자다’**라는 주관적 편향을 통해 우울한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브루어 박사는 명상이 이 주관적 편향을 비워내는 핵심 작업이라고 제안합니다.

명상의 역할: 명상은 자극을 있는 그대로 느끼되, 행동은 하지 않는 활동입니다. 어떤 행동을 하고 싶은 욕망이 들끓어 오를 때, 그것을 억누르거나 부정하지 않고, 마치 파도타기를 하듯 그 욕망에 온전히 집중하여 높고 낮아지는 과정을 관찰합니다.

자유라는 새로운 보상: 욕망을 가만히 느껴보면, 그 욕망에 따라 반드시 즉각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자각하게 됩니다. 이 자각을 통해 뇌는 **’자유로움’**이라는 기존의 보상보다 더 큰 새로운 보상을 얻게 됩니다.

효과: 꾸준한 명상 노력을 통해 자극과 행동을 분리시키는 힘을 얻게 되고, 자아에 관한 잡념을 담당하는 DMN의 활동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브루어의 명상 기반 금연 프로그램이 높은 성공률을 기록한 것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6. 비판적 관점: ‘자아 중독’ 이론의 한계와 대안적 가설

브루어 박사의 이론은 중독을 단순한 습관으로 풀어내 명상이라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장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비판도 존재합니다.

용어의 확장성 문제: ‘자아 중독’처럼 개념을 광범위하게 확장하는 것이 중독의 임상적 심각성(DSM-5 기준)을 약화시키고 모든 문제를 단순화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자아 정체성의 순기능 무시: 자아는 목표 설정, 회복 탄력성 등 건강한 기능에 필수적이므로, 자아를 단순히 ‘집착의 대상’으로만 보는 것은 위험하다는 반론입니다.

대안적 중독 모델: 중독이 단순히 쾌감(보상) 때문이 아니라, 테리 로빈슨과 켄트 베리지의 유인 민감화 이론처럼 보상을 추구하는 **’갈망(Wanting)’**이 비정상적으로 강화되면서 발생한다는 대안적 가설도 존재합니다. 이들은 중독을 단순한 습관을 넘어선 통제력 상실 상태로 간주합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브루어의 이론은 **’나는 원래 이런 사람이야’**라는 자아 중독의 고리를 끊어내는 강력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마무리: 우리는 명상을 통해 현재의 상황 자체에 주목해 볼 수 있습니다. 내가 이전까지 어떻게 행동했든, 지금까지 내 성격이 어땠든 그것이 지금 내 행동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나에게는 현재의 내가 있을 뿐이며, 이전의 자아에 대한 주관적 편향을 약화시키고 조금 더 편하고 자유로운 삶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꼭 직접적인 명상이 아니더라도, 운동이나 음악 감상처럼 잡념으로부터 벗어나 현재에 집중하는 몰입 활동 역시 중독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이 순간 당신에게 드러나는 자유로운 가능성들을 온전히 볼 수 있게 해줄 것입니다.

참고문헌

불안이라는 중독Unwinding Anxiety (2021)불안 습관 고리 끊기: 불안을 물질 중독과 동일한 습관 고리로 해석합니다. 불안감(촉발 요인) → 걱정, 회피, 통제 시도(행동) → 일시적 안도감(보상). 이 고리를 ① 인식 (불안이 주는 실제 보상이 달콤하지 않음을 파악), ② 호기심 (불안감 자체를 관찰), ③ 새로운 보상 (호기심과 자애 수행이 주는 자유를 새로운 보상으로 대체)의 3단계로 끊어내어 불안 중독에서 해방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크레이빙 마인드 (중독은 뇌를 어떻게 바꾸는가)The Craving Mind (2017)중독의 기본 메커니즘 분석: 담배, 술, 스마트폰, SNS, 자아(Self) 등 모든 중독을 보상 기반 학습으로 설명합니다. 자아 중독은 ‘나는 ~해야 하는 사람이야’라는 자아상이 주는 심리적 안정감(보상)에 매달리는 행위로 정의합니다. 마음챙김 명상(특히 파도타기 비유)을 통해 갈망(Craving)을 억제하지 않고 그저 관찰함으로써, 자극(스트레스)과 행동(중독) 사이의 연결을 약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식탐 해방The Hunger Habit (2024)스트레스성 과식 및 식탐의 습관화: 식탐 역시 스트레스(촉발 요인) → 음식 섭취(행동) → 일시적 만족(보상)의 악순환임을 밝힙니다. 특히 음식이 주는 보상이 뇌의 도파민 회로를 어떻게 빠르게 활성화시키는지 설명하고, 배가 고프지 않은데 먹는 **’배고픈 습관’**을 마음챙김을 통해 극복하는 실용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


Title: The Paradox of Choosing Sadness: Dr. Judson Brewer’s ‘Self-Addiction’ Theory and the Path to Freedom

Message from Your Instructor/Therapist (for Patient Use):

I know you are struggling with emotional pain and the double burden of medication side effect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help you understand that your pain isn’t a lack of will, but a scientific fact of a ‘learned habit’ in the brain. Only when we face our suffering with comprehension—an accumulation of philosophy and experience—can we find the free possibilities awaiting us.


1. The Paradox of Choosing Sadness: The First Clue to Self-Addiction

“I decided to be sad starting today.” While it sounds strange to choose sadness, we actually do choose to feel sad or unpleasant at times.

Despite the human instinct to avoid pain and seek pleasure, people with depression have a notably high tendency to seek out sad pictures or music, deliberately plunging themselves into sorrow. Why?

The research team suggests that depressed individuals seem to confirm their emotional self through sadness. That is, they establish their identity as “I am a person who is sad and depressed,” and find a familiar stability there. Though sadness is painful, there is a ‘psychological reward gained by maintaining the familiar self.’

This phenomenon is a classic sign of Self-Addiction.

2. Dr. Judson Brewer’s Core Claim: What is Self-Addiction?

Dr. Judson Brewer, an addiction psychiatrist at Brown University, argues in his book 『The Craving Mind』 that the problem of self-addiction is severe in modern people, extending beyond substances like alcohol and drugs.

Humans tend to enjoy the mere existence of the self. Just talking about a bad experience with someone can feel comforting, not just because of their empathy, but because expressing ourselves acts as a powerful reward. One experiment even showed that participants often chose to talk about themselves rather than receiving more money.

The self is an object of obsession. Even when the behavior is harmful, we cling to our existing self. This i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addiction: the inability to stop a behavior even when knowing it is harmful. This is what Dr. Brewer defines as Self-Addiction.

3. Reward-Based Learning: How Self-Addiction Governs Our Personality and Life

Brewer claims that addiction arises through the simple mechanism of Reward-Based Learning.

StageExample (Stress & Eating/Drinking)Example (Self-Addiction & Depression)
TriggerExperiencing stress at workExperiencing a breakup or feeling useless
BehaviorDrinking alcohol/BingingDeep immersion in sadness and self-blame (Choosing the familiar ‘Sad Self’)
RewardGaining momentary stability and reliefMaintaining a familiar and predictable ‘Self-Identity’ and ga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When this pattern repeats, just as stress automatically leads to thoughts of alcohol, negative emotional stimuli become linked to the Self-Addiction habit of ‘I am a depressed person,’ making it resistant to change. Even personality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reward-based learning—a form of self-addiction—formed, for instance, by the repeated reward of feeling stable when acting shy.

4. Neuroscience and Evolutionary Context: The Roots of Self-Addiction (DMN and Survival)

The idea that clinging to the self is the root of suffering and foolish judgment aligns with the Buddhist concept of Anatta (Non-Self). Dr. Brewer emphasizes the parallels between this Buddhist philosophy and modern mental science.

So why do humans create and cling to the self?

  • Evolutionary Explanation: In complex group living, recognizing one’s rank and position and avoiding isolation was crucial for survival. The habit of confirming and understanding one’s identity relative to others became essential for survival within the group, likely serving as the root of self-obsession.
  • Neuroscientific Explanation (DMN): Our brain has a region called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that characteristically activates when we think about ourselves. This area remains active even when people are at rest, suggesting that our mind-wandering is deeply connected to the self.

Ultimately, the self is essential for planning and survival, but when we cling too tightly to this self, even when it causes immense pain, life becomes very difficult.

5. How to Break Free from Self-Addiction: The ‘Wave Riding’ Principle of Mindfulness

Addiction is reinforced through the cycle of Stimulus → Subjective Bias → Behavior → Reward. Just as work stress links to smoking (behavior) through subjective bias, the stimulus of heartbreak links to depressive behavior through the bias of ‘I am a failure.’

Dr. Brewer proposes that Mindfulness is the key process for emptying out this subjective bias.

  • The Role of Mindfulness: Mindfulness is the act of feeling the stimulus as it is, without engaging in the habitual behavior. When the urge (craving) swells up, you don’t suppress it; instead, you ‘ride the wave,’ focusing purely on the sensation of the urge rising and falling.
  • The New Reward: Freedom: By calmly observing the craving, you realize that you don’t necessarily have to act on the urge immediately. This realization grants a new, greater reward than the old habit: ‘Freedom.’
  • Effect: Consistent practice of mindfulness weakens the link between stimulus and behavior, and research shows a tendency for the DMN activity—which handles self-related mind-wandering—to significantly decrease in experienced meditators.

6. Critical Perspectives: Limitations and Alternative Hypotheses

While Brewer’s theory simplifies addiction into a habit loop, offering a clear solution (mindfulness), it faces some criticisms:

  • Over-extension of the Term: Critics argue that extending ‘addiction’ to concepts like ‘self-addiction’ dilutes the clinical severity of substance use disorders (DSM-5 criteria) and oversimplifies the causes of distress.
  • Ignoring the Self’s Positive Functions: The self is vital for goal-setting, empathy, and resilience. Framing the self merely as an ‘object of obsession’ overlooks these necessary, healthy functions.
  • Alternative Addiction Models: The Incentive-Sensitization Theory (by Terry E. Robinson and Kent C. Berridge) posits that addiction is driven not by pleasure (Liking) but by the abnormal strengthening of the Craving (Wanting) through incentive sensitization. This model emphasizes addiction as a loss of control beyond mere habit.

Despite these criticisms, Brewer’s theory provides a powerful insight into breaking the cycle of ‘I am this kind of person’ self-addiction.

Conclusion:

Through mindfulness or even just flow activities like exercise or music, we can focus on the present situation itself. What your personality was or how you acted before does not determine your current action. You only have the present you. Focusing on this reality can weaken the subjective bias of the old self and lead to a freer, more comfortable life.


References

Book Title (English & Korean)Core MechanismSummary
Unwinding Anxiety (불안이라는 중독)Breaking the Anxiety Habit LoopInterprets anxiety as a habit loop: Anxiety (Trigger) → Worry, Avoidance, Control attempts (Behavior) → Temporary Relief (Reward). Proposes a 3-step solution: ① Recognize (the bitter reward of anxiety), ② Curiosity (Observe anxiety itself), ③ New Reward (Replace the old reward with the freedom gained from curiosity and self-compassion).
The Craving Mind (중독은 뇌를 어떻게 바꾸는가)Basic Mechanism of AddictionExplains all addictions (smoking, alcohol, self, SNS) via reward-based learning. Defines Self-Addiction as clinging to a self-image (“I must be a certain way”) for psychological stability (Reward). Proposes mindfulness (the wave-riding analogy) to observe craving without suppressing it, weakening the link between the stimulus and the addictive behavior.
The Hunger Habit (식탐 해방)Habituation of Stress EatingReveals overeating as a stress-based habit loop: Stress (Trigger) → Eating (Behavior) → Temporary Satisfaction (Reward). Focuses on how food rewards rapidly activate the brain’s dopamine circuit and offers practical mindfulness methods to overcome the ‘hunger habit’ of eating when not physically hungry.


タイトル:悲しみを「選ぶ」という逆説:ジャドソン・ブルーワー博士の「自己中毒」論と自由への道筋

指導者・セラピストからのメッセージ(患者様向けに活用):

心の苦痛に加えて、薬の副作用による二重の負担に苦しんでいらっしゃることを深く理解しています。この文章は、その苦痛があなたの意思の弱さではなく、脳の**「学習された習慣」**という科学的な事実を理解していただく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私たちは、注入された知識ではなく、哲学と経験の総和である「文解力」をもって自らの苦痛を直視するとき、初めて自由な可能性を見出すことができるのです。


1. 悲しみを「選ぶ」という逆説:自己中毒の第一の手がかり

「私は今日から悲しくなることにした。」 悲しみを「選ぶ」というのは奇妙に聞こえますが、私たちは実際に悲しみや不快感を「選択」することがあります。

人間は本能的に苦痛を避け、快感を追求する存在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うつ病の人は特に、悲しい写真や音楽を絶えず探し、自ら悲しみに沈むことを「選択」する傾向が高いのです。なぜでしょうか?

研究チームは、うつ病患者が悲しみを通じて自身の感情的な自己を確認しようとしているようだと述べています。すなわち、「私はこのように悲しみ、憂鬱な人間だ」という自己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確立し、そこに慣れ親しんだ安定感を得るというのです。悲しみは苦痛である一方で、**「慣れ親しんだ自己を維持することで得られる心理的な報酬」**がそこにあるのです。

この現象は、**自己中毒(Self-Addiction)**の典型的な側面です。

2. ジャドソン・ブルーワー博士の核心的主張:自己中毒とは何か?

ブラウン大学の依存症心理学者、ジャドソン・ブルーワー(Judson Brewer)博士は、著書『The Craving Mind(邦題:中独は脳をどう変えるか)』の中で、アルコールや薬物だけでなく、現代人の自己中毒の問題が深刻であると主張しています。

人間は自己の存在そのものを楽しむ傾向があります。悪い出来事を誰かに話すだけで慰められたように感じるのは、単に相手の共感だけでなく、自分自身を表現すること自体が強力な報酬として機能するためです。ある実験では、参加者がより多くのお金を放棄してでも、あえて自分自身について話すことを選ぶケースが多かったことが示されています。

自己は執着の対象です。たとえその行動が自分に有害であると分かっていても、私たちは既存の自己にしがみつきたいのです。これは依存症の最も重要な特徴、すなわち有害であると分かっていながら、特定の行動を断ち切ることができないことであり、ブルーワー博士が定義する自己中毒です。

3. 報酬に基づく学習:自己中毒が私たちの性格と人生を支配する仕組み

ブルーワー博士は、依存症は報酬に基づく学習という非常に単純なメカニズムを通じて生じると主張します。

段階例(ストレスと過食・飲酒)例(自己中毒とうつ病)
引き金(Trigger)職場でストレスを感じる失恋をする、または自分が役に立たないと感じる
行動(Behavior)アルコールを飲む/過食する悲しみと自責の念に深く没頭する(慣れ親しんだ「悲しい自分」を選択)
報酬(Reward)瞬間的な安定感と解放感を得る慣れ親しんだ予測可能な**「自己アイデンティティ」**を維持し、心理的安定を得る

Export to Sheets

このパターンが繰り返されると、ストレスが自動的に飲酒の思考に繋がるのと同様に、否定的な感情的刺激は**「私は憂鬱な人間だ」という自己中毒の習慣に繋がり、抵抗することができなくなります。性格もまた、「人前で恥ずかしがると安定感を得た経験」のように、繰り返される報酬に基づく学習を通じて形成された自己中毒**の結果と見なすことができます。

4. 脳科学と進化論的背景:自己中毒の根源(DMNと生存本能)

自己への執着が苦痛と愚かさの根源であるという考えは、仏教の無我説と一致しています。ブルーワー博士は、この仏教哲学の観点が現代の精神科学と多くの類似点を持っていることを強調します。

では、なぜ人間は自己を作り、それに執着するのでしょうか?

  • 進化論的説明: 過去、人間は複雑な群れ生活の中で自身の順位と位置を認識し、孤立しないことが生存に不可欠でした。他者と比較して自分がどのような存在かを確認し理解する習性が群れの中での生存に必要であり、これが自己への執着の根源となったと推測されます。
  • 脳科学的説明(DMN): 私たちの脳には、自己に関する思考を行う際に特徴的に活性化するデフォルト・モード・ネットワーク(DMN)と呼ばれる領域があります。この領域は、人々が何もせずに休憩しているときも活発に活用されており、私たちの雑念自体が自己と深く関連していることを示唆しています。

結局、自己の存在は計画を立て、生存に必要な必須の機能を果たしますが、この自己に強く執着し、それが大きな苦痛を与えているときでも手放せない場合、私たちの生活は非常に困難になります。

5. 自己中毒から抜け出す方法:マインドフルネスの「波乗り」の原理

依存症は、刺激 → 主観的バイアス → 行動 → 報酬の過程で強化されます。職場のストレスが主観的バイアスを通じて喫煙(行動)に繋がるように、失恋の苦痛という刺激が**「私は失敗者だ」**という主観的バイアスを通じて憂鬱な行動へと繋がるのです。

ブルーワー博士は、マインドフルネスこそが、この主観的バイアスを空にするための重要な作業であると提案します。

  • マインドフルネスの役割: マインドフルネスは、刺激をありのままに感じながら、習慣的な行動はしない活動です。何かをしたいという渇望が湧き上がるとき、それを抑え込んだり否定したりせず、まるで波に乗るように、その渇望が昇ったり沈んだりする感覚そのものに集中して観察します。
  • 自由という新しい報酬: 渇望を静かに感じてみると、その渇望に必ずしも即座に行動で応じる必要はないということを自覚するようになります。この自覚を通じて、脳は従来の報酬よりも大きな、**「自由さ」**という新しい報酬を得るのです。
  • 効果: 継続的なマインドフルネスの努力は、刺激と行動を分離する力を高め、研究では、熟練した瞑想者は自己に関する雑念を司るDMNの活動が顕著に減少する傾向を示すことが分かっています。

6. 批判的観点:「自己中毒」論の限界と代替仮説

ブルーワー博士の理論は依存症を単純な習慣として捉え、マインドフルネスという明確な解決策を提示する利点がありますが、以下のような批判も存在します。

  • 用語の拡張性の問題: 「自己中毒」のように概念を広範に拡張することは、依存症の臨床的な深刻さ(DSM-5基準)を希薄化させ、すべての問題を単純化しすぎるとの批判があります。
  • 自己アイデンティティの順機能の無視: 自己は目標設定や回復力など、健康な機能に不可欠であるため、自己を単に「執着の対象」と見なすことは、その肯定的な側面を見落とすという反論があります。
  • 代替的な依存症モデル: 依存症が単純に快感(報酬)だけでなく、テリー・ロビンソンケント・ベリッジ誘因感作理論のように、報酬を追求する**「渇望(Wanting)」が異常に強化されることによって生じるとする代替仮説も存在します。彼らは、依存症を単なる習慣を超えたコントロールの喪失**状態と見なしています。

これらの批判にもかかわらず、ブルーワーの理論は**「私はこういう人間だ」という自己中毒**のサイクルを断ち切るための強力な洞察を提供します。

結論:

マインドフルネスや、運動や音楽鑑賞といったフロー活動を通じて、私たちは現在の状況そのものに注目することができます。あなたのこれまでの行動や性格が、今の行動を決定す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 あなたには今のあなただけが存在します。この現実に集中することで、古い自己への主観的バイアスが弱まり、より快適で自由な人生へと進む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