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체력장?

비트코인 이해는 한국어 능력에 달렸다?

지난번 글에서 저는 비트코인은 피자를 사 먹을 수 있는 돈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서는 커피도 사 마실 수 있는 돈이라고도 했습니다. 

 많은  암호화폐나 코인 전문가라고 불리는 사람들, 경제전문가, 방송인들 거의 모두 마치 약속이나 한 듯 비트코인을 전자화폐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직접 읽은, 사토시 나카모토의 백서 원문에서, 그는 분명히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이라고 정의합니다. 

Cash는 전자화폐가 아닙니다. 이것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현금입니다. 

전자화폐, e-money의 구체적인 설명은 차후 자세하게 설명할 것입니다. 단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사실 만은 지금 집고가겠습니다. 이 화폐의 핵심은 “발행자에 대한 청구권과 “자금 수취 대가 발행”이라는 점입니다.

비트코인은 전자화폐가 아닙니다. 발행자와 상환청구권이 없는 암호자산입니다. 한국 법률상 가상자산이며 EU와 일본에서는 암호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사토시가 말한 비트코인은 전자 현금입니다. 

초기 번역의 미흡함. 익숙한 장면이 연출되는 시점입니다. 의학에서, 영양학에서 그리고 이번에는 경제학에서도 오번역의 망령이 출현하였고 그것이 바로 잡히지 않은 채 매체와 플랫폼의 반복 노출이 뒤섞이면서 “비트코인은 전자화폐”와 같은 잘못된 등식을 굳혀 놓았습니다. 

그리고 그 여파는 심지어  AI인 ChatGPT와  재미나이에게까지 미쳐 그들 역시 오류를 재생산하고 있었습니다. 여러분 한번 여러분의 AI에게 물어보세요.“비트코인이 뭐야?”라고. 여지없이 듣게될 것입니다. 합창하듯**“비트코인은 전자화폐입니다”**라는 답을.  장장 2시간의 한국어 교육? 한국어 단어 정의 과정을 통해 AI 스스로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도록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그 뒤에는 허망함과 우려가 몰려왔습니다. 전 알고있습니다. AI는 묻는 이들의 수준에 딱 맞게 꼭 그만큼의 정보만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이는 마치 “ 나 감기에 걸린 것 같아” 라고 물었을 때 하는 조언이나, “ 나 단백질이 부족한 것 같아. 무엇을 먹으면 좋을까?” 라고 물었을 때 하는 그들의 조언과 비슷한 것이라는 사실. 그래서 이번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비트코인이 좋다 나쁘다. 혹은 투자할 가치가 있다 없다를 논하지 않습니다.  다만 기초 영어 학습을 통해 비트코인을 소개한 사람이 그것을 어떻게 소개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우리는 소설이 아닌 백서를 읽을 것입니다. 따라서 상상력이 아니라 정확한 한국어 단어 정의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Bitcoin White Paper: 비트코인 백서

Title (원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한국어 즉역
비트코인: 개인 간(peer-to-peer) 전자적 현금(electronic cash) 시스템


Abstract 

(1)

원문
“A purely peer-to-peer version of electronic cash would allow online payments to be sent directly from one party to another without going through a financial institution.”

단어 설명

  • purely: 순전히, 오직
  • peer-to-peer: 개인 대 개인(중개자 없이 직접 연결)
  • electronic cash: 전자적 현금(디지털 환경에서 즉시·최종 변제가 가능한 돈 단위)
  • financial institution: 금융기관
  • without going through: ~을 거치지 않고

문법 설명

  • would allow → 가정법적 어조, “~할 수 있게 해준다”
  • to be sent → 수동태 부정사
  • without ~ing → “~하지 않고”라는 부사적 용법

한국어 직역
“순수한 개인 간(peer-to-peer) 전자적 현금은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한 당사자에서 다른 당사자로 직접 결제를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2)

원문
“Digital signatures provide part of the solution, but the main benefits are lost if a trusted third party is still required to prevent double-spending.”

단어 설명

  • digital signatures: 전자서명
  • trusted third party: 신뢰할 수 있는 제삼자(은행·결제기관 등)
  • double-spending: 같은 돈을 두 번 쓰는 문제(이중지불)

문법 설명

  • provide part of the solution → “해결책의 일부를 제공하다”
  • are lost if … → 조건절 구조

한국어 직역
“전자서명은 해결책의 일부를 제공하지만, 이중지불을 막기 위해 여전히 신뢰할 수 있는 제삼자가 필요하다면, 주요한 이점은 사라진다.”


(3)

원문
“We propose a solution to the double-spending problem using a peer-to-peer network.”

단어 설명

  • propose: 제안하다
  • solution to ~: ~에 대한 해결책
  • using ~: ~을 사용하여

문법 설명

  • We propose … → 논문에서 저자의 주장 제시
  • using … → 수단을 나타내는 현재분사 구문

한국어 직역
“우리는 개인 간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중지불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4)

원문
“The network timestamps transactions by hashing them into an ongoing chain of hash-based proof-of-work, forming a record that cannot be changed without redoing the proof-of-work.”

단어 설명

  • timestamp: 시간 도장을 찍다
  • hashing: 해시 함수로 변환하다
  • ongoing chain: 계속 이어지는 사슬
  • proof-of-work: 작업증명

문법 설명

  • by ~ing → 수단의 부사구
  • forming … → 결과를 설명하는 분사구문
  • cannot be changed without … → 조건절 구조

한국어 직역
“네트워크는 거래들을 해시하여 연속된 작업증명 체인에 연결함으로써 시간 도장을 찍고, 그 기록은 작업증명을 다시 수행하지 않고는 변경될 수 없다.”


(5)

원문
“The network timestamps … also as proof that it came from the largest pool of CPU power.”

단어 설명

  • longest chain: 가장 긴 체인
  • serves as proof: 증거로 기능하다
  • pool of CPU power: 연산력 집합

문법 설명

  • not only … but also … → 병렬 강조 구조

한국어 직역
“가장 긴 체인은 단지 사건들의 순서를 입증하는 증거일 뿐 아니라, 그것이 가장 큰 CPU 연산력 집합에서 나왔음을 증명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6)

원문
“As long as a majority of CPU power is controlled by nodes that are not cooperating to attack the network, they’ll generate the longest chain and outpace attackers.”

단어 설명

  • as long as: ~하는 한
  • majority of CPU power: 연산능력의 과반
  • outpace: 앞지르다

문법 설명

  • 조건절(as long as) + 주절 구조
  • that are not … → 관계절

한국어 직역
“네트워크를 공격하려는 데 협력하지 않는 노드들이 연산능력의 과반을 통제하는 한, 그들은 가장 긴 체인을 계속 생성하여 공격자를 앞지를 것이다.”


(7)

원문
“The network itself requires minimal structure.”

단어 설명

  • itself: 그 자체를 강조
  • minimal structure: 최소한의 구조

문법 설명
단순한 서술문.

한국어 직역
“네트워크 그 자체는 최소한의 구조만 필요로 한다.”


(8)

원문
“Messages are broadcast on a best effort basis, and nodes can leave and rejoin the network at will, accepting the longest proof-of-work chain as proof of what happened while they were gone.”

단어 설명

  • Messages: 메시지(여기서는 거래 데이터)
  • be broadcast: 전달되다, 퍼지다
  • on a best effort basis: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해 전달하는 방식(완전 보장 아님)
  • at will: 자유롭게, 원하는 대로
  • accepting … as proof: ~을 증거로 받아들이다

문법 설명

  • are broadcast … and … → 수동태 + 병렬
  • accepting … → 현재분사, 동시 행동을 나타냄

한국어 직역
“메시지들은 가능한 한 최선의 방식으로 네트워크 전체에 전달되며, 노드들은 원할 때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떠났다 다시 합류할 수 있고, 그들이 없는 동안 일어난 일을 가장 긴 작업증명 체인을 증거로 받아들인다.”


용어 정리: coin / currency / money / cash / legal tender

  • money (돈): 교환 수단·가치 저장·가치 척도로 쓰이는 일반 개념.
  • currency (화폐): 국가·제도가 공적으로 인정한 유통 단위(원, 달러 등).
  • coin (주화): 원래는 금속 화폐. 확장적으로는 하나의 단위 토큰.
  • cash (현금): 최종 변제성이 보장된 돈, 수령 즉시 거래가 종결됨. 디지털 맥락에선 전자적 현금(electronic cash).
  • legal tender (법정지급수단): 국가 법률로 강제 통용력을 부여한 돈. 화폐의 법적 지위를 강조하는 개념.

   Bitcoin에서의 coin

  • Bitcoin의 coin은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교환 가능한 화폐 단위를 뜻합니다.
  • 블록체인 원장 속에서 “하나의 화폐 단위가 존재하고 이동한다”는 개념.
  • coin이라는 단어가 한국어권에서 “오락실 동전, 세탁 코인, 칩” 같은 연상 때문에 본래 의미와 어긋나 있는 게 문제예요. 그래서 블로그에 올리실 때는 coin 자체를 정확하게 정의해주고, 거기서 비트코인(Bitcoin)의 coin을 해석하는 틀을 세워주는 게 필요합니다.

1. 영어 coin의 본래 의미

  • 기본: 금속으로 주조된 화폐 단위, 즉 화폐의 개별 단위(piece of money).
  • 상징적 확장: 디지털 환경에서는 “화폐의 단위, 계산 가능한 최소 단위”를 가리키는 비유로도 쓰임.
  • 즉, coin = divisible unit of currency, 한 개의 화폐 단위라는 뜻.

2. 한국어에서의 coin 오해

  • 세탁소 코인(laundry coin), 오락실 코인(arcade coin), 카지노 칩(chip) 등 “쓸모 있는 토큰” 같은 이미지로 좁혀져 있음.
  • 그래서 Bitcoin의 coin을 “게임 토큰”처럼 오해하거나, “가짜 돈” 같은 느낌으로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사토시(Satoshi)와 나카모토(Nakamoto)의 이름

  • 사토시(さとし, Satoshi):
    • 일본에서 흔히 쓰이는 남성 이름, 다만 드물게 여성에게도 쓰인 사례 존재.
    • 한자 표기에 따라 뜻이 다양함: 聡/聰(총명), 智(지혜), 悟(깨달음), 仲(사이·친구) 등.
    • 즉, 지혜·통찰·깨달음 같은 의미 층위가 중심.
  • 나카모토(中本 / 仲本, Nakamoto):
    • 일본 전역에 분포하는 성씨이지만, 오키나와(류큐)에서 특히 흔함. 일본 성씨 사전은 “중본(本토계)”과 “중본/나카모토(오키나와계)”를 구분해 설명합니다.
    • 中(나카, 중심) + 本(모토, 근원) → ‘중심의 뿌리, 본가’를 뜻하는 지리적·계보적 의미.
    • 오키나와에서는 仲~(나카~) 계열 성씨가 많으며, 이는 류큐 고유의 씨족·촌락 기반 성씨 체계와 관련 있습니다.
    • 따라서 나카모토는 일본 본토 무사 집단의 성씨라기보다, 류큐 지역의 고유한 뿌리와도 연결된 성씨로 보는 연구가 있습니다.

건강 독립과 경제 독립

오키나와의 전통은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줍니다. **많은 노동, 풍부한 채소와 해초, 여주와 자색고구마 중심의 식사, 하라하치부(배를 80%만 채우는 습관)**가 장수와 건강을 지켜온 배경이 되었지요 . 비록 오늘날에는 서구화로 인해 젊은 세대의 당뇨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오키나와 노인들의 삶은 건강 독립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한편, 비트코인의 사토시 단위는 우리의 경제 독립을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은 1억이 넘으니 내 삶과는 상관없는 부자들의 이야기”라고 느낍니다. 그러나 사실은 다릅니다.

  • 1 satoshi = 0.00000001 BTC이고,
  • 한국에서는 5천 원 정도만 있어도 충분히 satoshi 단위로 비트코인을 살 수 있습니다.
  • 현재 satoshi 하나의 가치는 1원도 되지 않으며, 따라서 적은 금액으로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결국 우리는 **몸을 스스로 돌보는 힘(건강 독립)**과 **돈을 스스로 지키는 힘(경제 독립)**을 함께 가져가야 합니다. 비트코인의 “사토시”가 보여주듯, 작은 단위에서 시작하는 실천이 모여 진짜 자립의 길을 만들어 줍니다.


참고

  • Satoshi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2008.
    (사토시 나카모토가 2008년 10월 31일 발표한 원문 백서. 2009년 초, 실제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가 공개되며 실행되기 시작함.)
  • 백서의 초록에는 이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제목과, cash = 최종 변제성 있는 디지털 돈 단위라는 핵심 개념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ビットコイン白書で学ぶ基礎英語?

韓国語体力テスト?

ビットコインの理解は韓国語能力にかかっている?

前回の記事で、私はビットコインはピザを買って食べられるお金だと説明しました。また、地域によってはコーヒーも買って飲めるお金だとも言いました。 多くの暗号資産やコインの専門家と呼ばれる人々、経済専門家、放送関係者のほとんど全員が、まるで約束でもしたかのようにビットコインを電子マネーと呼んでいます。しかし、私が直接読んだ、サトシ・ナカモトの白書原文で、彼ははっきりと**「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と定義しています。

Cashは電子マネーではありません。これに該当する韓国語は現金です。 電子マネー、e-moneyの具体的な説明は今後詳しく説明する予定です。ただし、皆さんの理解を助けるために、この事実だけは今、押さえておきます。この貨幣の核心は「発行者に対する請求権」と「資金受け取りの対価としての発行」であるという点です。 ビットコインは電子マネーではありません。発行者と償還請求権がない暗号資産です。韓国の法律では仮想資産であり、EUと日本では暗号資産として分類されます。 サトシが言ったビットコインは電子現金です。

初期翻訳の不十分さ。見慣れた光景が演出されている時点です。医学で、栄養学で、そして今回は経済学でも誤訳の亡霊が出現し、それが正されないままメディアとプラットフォームの繰り返し露出が混ざり合い、「ビットコインは電子マネー」という誤った等式を固めてしまいました。 そしてその余波は、AIであるChatGPTジェミニにまで及び、彼らもまた誤りを再生産していました。皆さん、一度ご自身のAIに聞いてみてください。「ビットコインって何?」と。間違いなく聞くことになるでしょう。合唱するかのように**「ビットコインは電子マネーです」**という答えを。 なんと2時間にもわたる韓国語教育?韓国語の単語定義の過程を通じて、AI自ら自身の過ちを認めさせました。しかし、その後には虚しさと懸念が押し寄せました。私は知っています。AIは尋ねる人々のレベルにぴったり合わせて、ちょうどその分の情報だけを提供するという事実を。これは、まるで「風邪をひいたみたいだ」と尋ねたときにされる助言や、「タンパク質が不足しているみたいだ。何を食べるのがいいかな?」と尋ねたときにされる彼らの助言と似たようなものだという事実です。だから今回の記事を書くことにしました。

この記事では、ビットコインが良いか悪いか、あるいは投資する価値があるかないかを論じることはしません。ただ、基礎的な英語学習を通じて、ビットコインを紹介した人がそれをどのように紹介しているのかを調べてみる時間です。 私たちは小説ではなく白書を読みます。したがって、想像力ではなく、正確な韓国語の単語定義能力を発揮しなければならない時間になるでしょう。


Bitcoin White Paper:ビットコイン白書

タイトル(原文)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韓国語直訳

ビットコイン:個人間(peer-to-peer)電子現金(electronic cash)システム


Abstract(概要)

(1) 原文 “A purely peer-to-peer version of electronic cash would allow online payments to be sent directly from one party to another without going through a financial institution.”

単語説明

  • purely: 純粋に、ひたすら
  • peer-to-peer: 個人対個人(仲介者なしに直接接続)
  • electronic cash: 電子現金(デジタル環境で即時・最終的な弁済が可能な通貨単位)
  • financial institution: 金融機関
  • without going through: 〜を経由せずに

文法説明

  • would allow → 仮定法的ニュアンス、「〜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
  • to be sent → 受動態不定詞
  • without ~ing → 「〜せずに」という副詞的用法

韓国語直訳

「純粋な個人間(peer-to-peer)電子現金は、金融機関を経由せずに、ある当事者から別の当事者へ直接決済を送ることを可能にする。」


(2) 原文 “Digital signatures provide part of the solution, but the main benefits are lost if a trusted third party is still required to prevent double-spending.”

単語説明

  • digital signatures: デジタル署名
  • trusted third party: 信頼できる第三者(銀行・決済機関など)
  • double-spending: 同じお金を二回使う問題(二重払い)

文法説明

  • provide part of the solution → 「解決策の一部を提供する」
  • are lost if … → 条件節の構造

韓国語直訳

「デジタル署名は解決策の一部を提供するが、二重払いを防ぐために依然として信頼できる第三者が必要となるなら、主要な利点は失われる。」


(3) 原文 “We propose a solution to the double-spending problem using a peer-to-peer network.”

単語説明

  • propose: 提案する
  • solution to ~: 〜に対する解決策
  • using ~: 〜を使用して

文法説明

  • We propose … → 論文で著者の主張を提示
  • using … → 手段を示す現在分詞構文

韓国語直訳

「私たちは、個人間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て二重払い問題を解決する方法を提案する。」


(4) 原文 “The network timestamps transactions by hashing them into an ongoing chain of hash-based proof-of-work, forming a record that cannot be changed without redoing the proof-of-work.”

単語説明

  • timestamp: タイムスタンプを付ける
  • hashing: ハッシュ関数で変換する
  • ongoing chain: 継続して続く鎖
  • proof-of-work: 作業証明

文法説明

  • by ~ing → 手段の副詞句
  • forming … → 結果を説明する分詞構文
  • cannot be changed without … → 条件節の構造

韓国語直訳

「ネットワークは、取引をハッシュして、ハッシュに基づいた継続的な作業証明の鎖に組み込むことでタイムスタンプを付け、その記録は作業証明をやり直さなければ変更できない記録を形成する。」


(5) 原文 “The network timestamps … also as proof that it came from the largest pool of CPU power.”

単語説明

  • longest chain: 最も長い鎖
  • serves as proof: 証拠として機能する
  • pool of CPU power: 演算力集合体

文法説明

  • not only … but also … → 並列強調構造

韓国語直訳

「最も長い鎖は、単に出来事の順序を証明する証拠であるだけでなく、それが最も大きなCPU演算力集合体から来たことを証明する根拠でもある。」


(6) 原文 “As long as a majority of CPU power is controlled by nodes that are not cooperating to attack the network, they’ll generate the longest chain and outpace attackers.”

単語説明

  • as long as: 〜である限り
  • majority of CPU power: 演算能力の過半数
  • outpace: 追い越す

文法説明

  • 条件節(as long as) + 主節の構造
  • that are not … → 関係節

韓国語直訳

「ネットワークを攻撃するために協力しないノードが演算能力の過半数を制御する限り、彼らは最も長い鎖を生成し続け、攻撃者を追い越すだろう。」


(7) 原文 “The network itself requires minimal structure.”

単語説明

  • itself: それ自身を強調
  • minimal structure: 最小限の構造

文法説明

  • 単純な叙述文。

韓国語直訳

「ネットワークそれ自体は最小限の構造だけを必要とする。」


(8) 原文 “Messages are broadcast on a best effort basis, and nodes can leave and rejoin the network at will, accepting the longest proof-of-work chain as proof of what happened while they were gone.”

単語説明

  • Messages: メッセージ(ここでは取引データ)
  • be broadcast: 伝播される、広まる
  • on a best effort basis: 可能な限り最善を尽くす方式で(完全保証ではない)
  • at will: 自由に、好きなように
  • accepting … as proof: 〜を証拠として受け入れる

文法説明

  • are broadcast … and … → 受動態 + 並列
  • accepting … → 現在分詞、同時行動を表す

韓国語直訳

「メッセージは可能な限り最善の方式でネットワーク全体に伝達され、ノードは好きな時に自由にネットワークを離れたり再合流したりでき、彼らが不在中に起こったことを最も長い作業証明の鎖を証拠として受け入れる。」


用語整理:coin / currency / money / cash / legal tender

  • money(お金): 交換手段・価値貯蔵・価値尺度として使われる一般的な概念。
  • currency(貨幣): 国家・制度が公的に認めた流通単位(ウォン、ドルなど)。
  • coin(硬貨/コイン): 元々は金属貨幣。拡張的には一つの単位トークン。
  • cash(現金): 最終的な弁済性が保障されたお金。受領と同時に取引が完了する。デジタルの文脈では電子現金(electronic cash)。
  • legal tender(法定支払手段): 国家の法律で強制的な通用力を付与されたお金。貨幣の法的地位を強調する概念。

ビットコインにおけるcoin

ビットコインのcoinは、デジタルネットワークで交換可能な貨幣単位を意味します。 ブロックチェーンの台帳内で「一つの貨幣単位が存在し、移動する」という概念です。 coinという単語が、韓国語圏で「ゲームセンターの硬貨、ランドリーコイン、チップ」のような連想から、本来の意味とずれてしまっているのが問題です。そのため、ブログに掲載する際にはcoin自体を正確に定義し、そこからビットコイン(Bitcoin)のcoinを解釈する枠組みを提示する必要があります。

  1. 英語 coin の本来の意味
    • 基本:金属で鋳造された貨幣単位、すなわち貨幣の個別単位(piece of money)。
    • 象徴的拡張:デジタル環境では「貨幣の単位、計算可能な最小単位」を指す比喩としても使われる。
    • つまり、coin = divisible unit of currency、一つの貨幣単位という意味です。
  2. 韓国語における coin の誤解
    • ランドリーコイン、ゲームセンターコイン、カジノチップなど「特定の目的で使われるトークン」のようなイメージに狭められています。
    • そのため、Bitcoinのcoinを「ゲームのトークン」のように誤解したり、「偽のお金」のような感覚で受け取られやすくなっています。

サトシ(Satoshi)とナカモト(Nakamoto)の名前

サトシ(さとし, Satoshi)

  • 日本でよく使われる男性の名前。ただし、稀に女性に使われた例も存在する。
  • 漢字表記によって意味が多様(聡/聰: 聡明、智: 知恵、悟: 悟り、仲: 仲間・友人など)。
  • つまり、知恵・洞察・悟りのような意味合いが中心。

ナカモト(中本 / 仲本, Nakamoto)

  • 日本全土に分布する姓だが、特に沖縄(琉球)でよく見られる。日本の姓氏辞典では「中本(本土系)」と「中本/仲本(沖縄系)」を区別して説明しています。
  • 中(なか、中心)+ 本(もと、根源)→「中心の根、本家」を意味する地理的・系譜的な意味。
  • 沖縄では仲~(なか〜)系統の姓氏が多く、これは琉球固有の氏族・集落に基づく姓氏体系と関連があります。
  • したがって、ナカモトは日本本土の武士集団の姓というより、琉球地域の固有のルーツともつながりのある姓と見なす研究があります。

健康的自立と経済的自立

沖縄の伝統は私たちに重要なメッセージを与えます。多くの労働、豊富な野菜や海藻、ゴーヤや紅芋を中心とした食事、腹八分目(お腹を80%だけ満たす習慣)が長寿と健康を守ってきた背景になりました。今日では西洋化によって若い世代の糖尿病有病率が増加していますが、依然として沖縄の高齢者の生き方は健康的自立の可能性を示しています。

一方、ビットコインのサトシ単位は、私たちの経済的自立について改めて考えさせます。多くの人々が「ビットコインは1億円を超えるから、自分の人生とは関係ない金持ちの話だ」と感じます。しかし、事実は違います。 1 satoshi = 0.00000001 BTCであり、 韓国では5,000ウォン程度あれば十分にsatoshi単位でビットコインを買うことができます。 現在satoshi一つの価値は1ウォンにもならず、そのため少額からでも参加が可能です。

結局、私たちは**体を自らケアする力(健康的自立)お金を自ら守る力(経済的自立)**を共に身につけなければなりません。ビットコインの「サトシ」が示すように、小さな単位から始める実践が集まって、真の自立の道を作り出します。


参考

Satoshi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2008. (サトシ・ナカモトが2008年10月31日に発表した原文白書。2009年初頭、実際のソフトウェアとネットワークが公開され、実行が始まった。)

白書の概要には既に「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というタイトルと、cash = 最終的な弁済性を持つデジタル通貨単位という核心的な概念が明記されています。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