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화폐의 미래를 말하다
최근 정치권 토론에서 스테이블 코인이 화제로 떠올랐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들이 USDT와 USDC의 차이점을 언급하며 투명성을 강조했지만, 이들의 논지에는 요류가 있었습니다. 어쩌면 논의 전 충분한 시간을 들인 공부할 기회가 없었거나 그들의 공부를 돕는 경제 전문가들의 안내가 부족했기 때문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을 논할 때, 스테이블 코인 자체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인에게 코인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투자 자산으로 인식되지만, 스테이블 코인은 이름만 코인일 뿐 실제로는 ‘화폐’에 가깝습니다.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개념이 탄생한 배경을 아는 것입니다. 스테이블 코인 역시 기존 화폐 시스템의 한계에서 출발했습니다. 우리는 매일 돈을 사용하지만, 정작 ‘돈’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드뭅니다. ‘진짜 돈’을 정부가 발행한 화폐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은 비트코인 같은 ‘가짜 돈’을 진짜 돈으로 사는 행위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화폐는 단순히 정부가 찍어낸 종이가 아닙니다.
돈이란 무엇인가? 화폐의 세 가지 기능
화폐는 세 가지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
교환 수단 (결제 통화): 상품과 서비스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매개체입니다.
가치 척도 (가치 측정 통화): 물건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기준입니다.
자산 축적 수단 (보유 통화): 가치를 보존하고 저장하는 자산입니다.
이 중 가치 척도와 교환 기능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런데 비트코인처럼 가치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자산은 가치 척도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금을 결제에 사용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자산은 ‘가치 보관 자산’으로 간주되어 화폐의 역할을 하기 힘듭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아 화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세 가지 유형
스테이블 코인은 담보 자산의 종류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법정 화폐 기반 스테이블 코인: 달러나 유로 같은 법정 화폐를 담보로 합니다. 현재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USDT와 USDC가 대표적입니다.
암호화폐 기반 스테이블 코인: 암호화폐를 담보로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합니다. 탈중앙화된 스마트 계약으로 운영되며, 대표적인 예는 메이커다오의 ‘다이(DAI)’입니다.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가치를 유지하며, 과거 테라-루나가 이 방식의 실패 사례입니다. 화폐의 ‘불가능의 삼각형’ 원리에 맞지 않아 결국 붕괴했습니다.
USDT vs. USDC: 투명성과 신뢰의 차이
한 정치인이 지적했듯이, USDT와 USDC는 투명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발행사 및 규제: USDT는 테더사가 발행하며, 비교적 규제 준수에 소극적입니다. 반면, USDC는 서클과 코인베이스가 합작 발행하며, 출범 때부터 자금 세탁 방지(AML)와 고객 신원 확인(KYC) 등 금융 규제를 준수해 왔습니다.
계좌 동결: 두 코인 모두 중앙화된 시스템이므로 계좌 동결이 가능합니다. 모 정치인은 USDC만 동결된다고 주장했으나, 실제로는 USDT도 불법 거래에 연루된 계좌를 동결한 사례가 더 많습니다.
준비금 투명성: USDC는 미국 국채와 현금으로 100% 담보되며, 정기적인 감사 보고서를 공개해 투명성이 높습니다. 반면, USDT는 과거 상업 어음 등 위험 자산도 담보로 사용해 신뢰도 문제가 불거진 적이 있습니다.
거래량 및 네트워크: USDT는 전체 시장의 70%를 차지하며 광범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지원합니다. USDC는 거래량이 적지만, 높은 투명성 덕분에 전통 금융 기관에서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이 둘은 중앙화된 시스템이라는 공통점을 가집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본질: 민간도 중앙은행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더 중요한 화폐의 본질적 개념이 드러납니다. 스테이블 코인 발행은 민간이 ‘준(準) 중앙은행’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듭니다.
미국 달러는 부채 화폐입니다. 바로 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달러가 발행되려면 그에 상응하는 미국 국채가 담보로 잡힙니다. 연준(FRB)이 달러를 찍어낼 때 국채를 매입하는 것처럼,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들도 코인을 발행할 때 미국 국채를 담보로 보유합니다. 1USDT나 1USDC를 발행하면 그 뒤에 1달러 상당의 미국 국채가 담보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트럼프 행정부가 스테이블 코인에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기존에는 각국 중앙은행들이 주로 미국 국채를 매입했지만, 스테이블 코인 시장이 커지면 전 세계 수많은 개인들이 스테이블 코인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미국 국채를 간접적으로 구매하게 됩니다. 이는 미국이 천문학적으로 불어나는 부채를 해결하고, 국채 수요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새로운 방법이 됩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미래 디지털 경제에서 달러의 역할을 대체하는 동시에, 미국 정부가 직면한 ‘트리핀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될 수 있습니다. 종이 화폐 시대가 끝나가고, 새로운 디지털 화폐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이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개인의 투자와 사업뿐 아니라 국가의 미래 전략에도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형 의료 스테이블코인, 희망일까 공상일까?
요즘 한국 사회에서는 ‘K-스테이블코인’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들려옵니다. 특히 K-뷰티와 K-의료를 중심으로 한 전용 스테이블코인 논의는 더 흥미롭습니다. 누군가는 “아니, 건강 이야기하다가 왜 갑자기 코인 얘기야?” 하고 고개를 갸웃할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조금만 들여다보면, 그 이유가 의외로 분명해집니다.
미국은 이미 의료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을 마련하고, 의료 분야에서도 활용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환자에게 건강 행동을 장려하는 인센티브를 주거나, 보험 정산을 빠르게 처리하는 데 쓰려는 것이죠.
하지만 여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쓰는 것은 국가 경제 전체를 움직이는 힘이라기보다, 그저 결제를 조금 더 빠르고 편리하게 만드는 도구에 가깝습니다. 아직까지 환자 보호 제도는 미흡하고, 발행사 신뢰나 환매 지연 같은 문제도 남아 있습니다.
한국이 꿈꾸는 의료 스테이블코인은 성격이 다릅니다
만약 한국이 준비금을 한국 국채로 묶어두는 구조를 만든다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의료비 결제나 보험 정산에 이 코인을 사용한다면, 발행이 늘어날 때마다 안정적인 국채 수요가 따라붙게 됩니다.
그렇다면 단순히 편리한 결제 수단을 넘어, 한국 경제의 기초 체력을 강화하는 장치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의료와 금융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는 셈이지요.
물론 그만큼 세심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유동성 관리, 환매 안전장치, 준비금 투명성 같은 요소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득보다 실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해외 환자가 선택하는 통화의 문제
만약 한국 환자가 한국 대신 미국 병원을 선택한다면 어떨까요? 그 순간 결제는 대부분 달러로 이뤄집니다. 결국 K-스테이블코인을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바꿔 써야 하고, 이는 한국 입장에서는 외환 유출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정책적으로는 의료 목적에 한해 합리적인 전환 루트를 마련하고, 환자의 선택권은 존중하면서도 무질서한 외환 유출은 막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미 한국 땅에 뿌리내린 테더
서울 동대문 시장에서는 외국 바이어들이 테더(USDT) 를 이미 당연한 듯 사용하고 있습니다. 환전이 편리하고, 어디서든 통용되며,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이 현실을 보면, 한국형 스테이블코인이 단순히 “우리도 만들었으니 써주세요”라는 식으로는 무용지물이 될 위험이 큽니다. 외국인이 굳이 불편을 감수할 이유가 없으니까요.
무용지물이 되지 않으려면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은 “차별화”입니다.
의료와 보험 정산에 제도적으로 결합해야 합니다.
외국 환자가 쓸 때 세금 환급, 숙박·교통 할인 같은 혜택을 붙여야 합니다.
준비금과 환매 과정을 국제적으로 투명하게 공개해, **“안전한 한국 자산”**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야 합니다.
무엇보다 K-뷰티, K-의료 같은 산업 전용 혜택을 줘야 USDT와 단순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은행과 카드사도 적이 아닌 동반자가 되어야
카드 수수료가 이미 낮은 한국에서 단순 비용 절감만으로는 매력을 만들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은행과 카드사는 자신들의 시장 지분이 줄어들 것을 우려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예 이들을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은행을 준비금 수탁기관으로, 카드사를 결제 인터페이스로 활용하고, 뒷단의 정산만 스테이블코인으로 바꿔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의료·보험 정산 같은 B2B 영역에서 시험해 보는 것도 안전한 접근이 될 수 있습니다.
맺으며
미국에서 의료 스테이블코인은 아직 결제 효율성에 그치지만, 한국이 의료와 금융을 잇는 고리를 제대로 설계한다면, 국채 시장 안정과 국가 경제 강화라는 거시적 의미까지 가질 수 있습니다.
물론 그 길은 쉽지 않습니다. 이미 테더와 USDC 같은 글로벌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널리 쓰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국형 의료 스테이블코인이 무용지물이 될지, 아니면 새로운 희망이 될지는 결국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국형 의료 스테이블코인, 과연 우리의 경제를 든든히 지탱할 버팀목이 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또 하나의 실험으로 머무를까요?
Stablecoins: The Future of Currency and the Possibility of a Korean Medical Stablecoin
Recently, stablecoins have become a hot topic in political debates. Interestingly, while politicians mentioned the differences between USDT and USDC, emphasizing transparency, their arguments contained flaws. Perhaps they lacked the opportunity for in-depth study or received insufficient guidance from economic experts. When discussing stablecoins, it is crucial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what they are. To the public, coins are often seen as investment assets like Bitcoin and Ethereum, but stablecoins, despite their name, are closer to currency.
The best way to understand a new concept is to know why it came into being. Stablecoins emerged from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onetary system. We use money every day, but few of us truly understand what “money” is. People who think “real money” is only what the government issues cannot comprehend why anyone would use real money to buy “fake money” like Bitcoin. But currency is not just paper printed by the government.
What is Money? The Three Functions of Currency
Money performs three core functions:
- Medium of Exchange (Payment Currency): A medium used to trade goods and services.
- Unit of Account (Value Measurement Currency): A standard to objectively measure the value of goods.
- Store of Value (Holding Currency): An asset for preserving and storing value.
Of these, the unit of account and medium of exchange functions are the most crucial. An asset like Bitcoin, with its volatile value, is difficult to use as a unit of account. This is why we don’t use gold for daily payments. Assets that consistently increase in value are considered “stores of value” and struggle to function as currency. Stablecoins were created to solve this very problem. Their primary goal is to maintain a stable value, allowing them to fulfill the functions of a currency.
Three Types of Stablecoins
Stablecoin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underlying collateral:
- Fiat-backed Stablecoins: Collateralized by fiat currencies like the U.S. dollar or Euro. USDT and USDC, which account for over 70% of the market, are prime examples.
- Crypto-backed Stablecoins: Collateralized by cryptocurrencies. They operate through decentralized smart contracts, with MakerDAO’s “DAI” being a key example.
- Algorithmic Stablecoins: Maintain their value through an internal algorithm. The collapse of Terra-Luna is a prime example of this model’s failure, as it didn’t align with the “Impossible Trinity” principle of economics.
USDT vs. USDC: The Difference in Transparency and Trust
As one politician pointed out, USDT and USDC differ in transparency.
- Issuers and Regulation: USDT is issued by Tether, which has been relatively passive in regulatory compliance. In contrast, USDC is issued by a partnership between Circle and Coinbase and was built from the start to comply with financial regulations like Anti-Money Laundering (AML) and Know Your Customer (KYC).
- Account Freezing: Both are centralized systems, meaning accounts can be frozen. The politician claimed only USDC is frozen, but in reality, USDT has frozen more accounts linked to illicit activities.
- Reserve Transparency: USDC is 100% backed by U.S. Treasury bonds and cash, with regular audit reports, ensuring high transparency. USDT, on the other hand, has previously used risky assets like commercial paper as collateral, which has raised trust issues.
- Trading Volume and Network: USDT holds over 70% of the market share and supports a wide range of blockchain networks. USDC has a smaller trading volume but is favored by tradi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due to its transparency.
Ultimately, however, both share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they are centralized systems.
The Nature of Stablecoins: Can a Private Entity Become a Central Bank?
This brings us to a more crucial concept about the nature of currency. The issuance of stablecoins allows a private entity to act as a “quasi-central bank.”
The U.S. dollar is a debt-based currency. For every dollar issued, a corresponding amount of U.S. Treasury debt is held as collateral. Just as the Federal Reserve (FRB) buys U.S. Treasury bonds to print dollars, stablecoin issuers hold U.S. Treasury bonds as collateral to issue their coins. When 1 USDT or 1 USDC is issued, it is backed by the equivalent of 1 U.S. dollar in U.S. Treasury bonds.
This is why the Trump administration is paying close attention to stablecoins. While central banks of other countries traditionally buy U.S. Treasury bonds, the growth of the stablecoin market means that countless individuals worldwide are now indirectly buying U.S. Treasury bonds simply by holding stablecoins. This provides a new way for the U.S. to address its astronomical debt and ensure stable demand for its bonds.
Stablecoins can serve as a substitute for the dollar in the future digital economy and potentially solve the “Triffin Dilemma” for the U.S. government. The era of paper money is ending, and a new digital currency era is emerging. Understanding this shift is crucial not only for personal investment and business but also for a nation’s future strategy.
A Korean Medical Stablecoin: Hope or Fantasy?
In South Korea, discussions about a “K-stablecoin,” particularly one for K-beauty and K-medical, are becoming more common. Some might wonder, “Why are we talking about coins in a health discussion?” But the reason is surprisingly clear.
The U.S. is already experimenting with stablecoins in healthcare.
The U.S. has established regulations and is exploring stablecoin use in healthcare to incentivize healthy patient behavior and speed up insurance settlements.
However, there are clear limitations. In the U.S., stablecoins are mainly a tool for faster, more convenient payments, not a force to move the entire national economy. Patient protection remains inadequate, and issues like trust in issuers and delayed redemptions persist.
The nature of Korea’s envisioned medical stablecoin is different.
The story changes if Korea structures its stablecoin to be backed by Korean national debt. If this coin is used for medical payments or insurance settlements, its issuance will generate a stable demand for government bonds. This could transform it from a mere payment tool into a mechanism that strengthens the fundamental economic health of the nation, bridging healthcare and finance.
Of course, this requires meticulous design. Without proper liquidity management, redemption safeguards, and reserve transparency, the risks could outweigh the benefits.
The Problem of Foreign Patients’ Currency Choice
What if a Korean patient chooses a U.S. hospital instead of a Korean one? The payment will be in dollars. A K-stablecoin would have to be converted to a dollar stablecoin, leading to foreign exchange outflow for Korea.
Therefore, policies are needed to establish a rational conversion route for medical purposes, respecting patient choice while preventing a disorderly outflow of foreign currency.
Tether Has Already Taken Root in Korea
In Seoul’s Dongdaemun Market, foreign buyers commonly use Tether (USDT). It’s convenient for exchange, universally accepted, and familiar. This reality suggests a Korean stablecoin would be useless if it’s merely a “we made it, so please use it” approach. Foreigners have no reason to endure inconvenience.
How to Avoid Becoming Useless
So, what should be done? The answer is “differentiation.”
- It must be institutionally integrated with healthcare and insurance settlements.
- It should offer benefits to foreign patients, such as tax refunds and discounts on lodging and transport.
- The reserve and redemption processes must be internationally transparent to project an image of a “safe Korean asset.”
- Most importantly, it must offer exclusive benefits for industries like K-beauty and K-medical, making it more appealing than a simple comparison to USDT.
Banks and Card Companies Must Be Partners, Not Enemies
In Korea, where credit card fees are already low, simple cost reduction won’t make a stablecoin attractive. Furthermore, banks and card companies will naturally fear losing market share.
So, it’s necessary to bring them in as partners. It’s possible to use banks as reserve custodians and card companies as payment interfaces, with only the back-end settlement handled by the stablecoin. A safe approach is to start with B2B sectors like medical and insurance settlements.
In Conclusion
While medical stablecoins in the U.S. are still limited to payment efficiency, if Korea can properly design the link between healthcare and finance, it could have a macroeconomic impact on stabilizing the bond market and strengthening the national economy. The path will not be easy, as global dollar stablecoins like Tether and USDC are already widely used. But whether a Korean medical stablecoin becomes a solid support for our economy or just another experiment depends on its design.
What do you think? Can a Korean medical stablecoin truly become a reliable support for our economy, or will it remain just another experiment?
ステーブルコイン:通貨の未来と韓国型医療ステーブルコインの可能性
最近、政治の討論でステーブルコインが話題に上がりました。しかし、興味深いことに、彼らはUSDTとUSDCの違いを挙げ、透明性を強調しながらも、その論旨には誤りがありました。おそらく、議論の前に十分な時間をかけて勉強する機会がなかったか、彼らを助ける経済専門家の案内が不足していたのかもしれません。ステーブルコインについて議論する際には、ステーブルコイン自体に対する深い理解が不可欠です。一般の人々にとって、コインはビットコインやイーサリアムのような投資資産と認識されていますが、ステーブルコインは名前こそ「コイン」ですが、実際には「通貨」に近いものです。
新しい概念を理解する最も良い方法は、その概念が誕生した背景を知ることです。ステーブルコインも、既存の通貨システムの限界から生まれました。私たちは毎日お金を使いますが、実は「お金」が何であるかを正確に知っている人は少ないのです。「本物のお金」は政府が発行したお金だけだと考える人々は、ビットコインのような「偽のお金」を本物のお金で買う行為を理解できません。しかし、通貨は単に政府が印刷した紙ではないのです。
お金とは何か?通貨の三つの機能
通貨は三つの主要な機能を果たします。
- 交換手段(決済通貨): 商品やサービスを交換する際に使用する媒介物です。
- 価値尺度(価値測定通貨): 物事の価値を客観的に測る基準です。
- 資産貯蔵手段(保有通貨): 価値を保存・貯蔵する資産です。
この中で、価値尺度と交換機能が最も重要です。しかし、ビットコインのように価値が急激に変動する資産は、価値尺度として使用するのは困難です。金を決済に使わないのと同じ理由です。価値が持続的に上昇する資産は「価値保管資産」と見なされ、通貨としての役割を果たすのが難しくなります。ステーブルコインは、まさにこの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誕生しました。一定の価値を維持することを最優先目標とし、通貨の機能を果たせるように設計されているのです。
ステーブルコインの三つのタイプ
ステーブルコインは、担保資産の種類によって三つに分類できます。
- 法定通貨担保型ステーブルコイン: ドルやユーロのような法定通貨を担保にします。現在、市場の70%以上を占めるUSDTとUSDCが代表的です。
- 暗号通貨担保型ステーブルコイン: 暗号通貨を担保にステーブルコインを発行します。分散型の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で運営され、代表例はMakerDAOの「DAI」です。
- アルゴリズム型ステーブルコイン: 独自のアルゴリズムで価値を維持しますが、過去のテラ・ルナはこの方式の失敗事例です。通貨の「不可能な三角形」の原理に合致せず、結局崩壊しました。
USDT vs. USDC:透明性と信頼性の違い
ある政治家が指摘したように、USDTとUSDCには透明性において違いがあります。
- 発行元と規制: USDTはテザー社が発行し、比較的規制遵守に消極的です。一方、USDCはサークル社とコインベース社が共同で発行し、設立当初から資金洗浄防止(AML)や顧客確認(KYC)などの金融規制を遵守してきました。
- 口座凍結: 両者とも中央集権型のシステムであるため、口座凍結が可能です。ある政治家はUSDCだけが凍結されると主張しましたが、実際にはUSDTも不法取引に関連する口座を凍結した事例がより多くあります。
- 準備金の透明性: USDCは米国の国債と現金で100%担保され、定期的な監査報告書を公開しているため、透明性が高いです。一方、USDTは過去にコマーシャルペーパーなどのリスク資産を担保として使用したことがあり、信頼性の問題が浮上したことがあります。
- 取引量とネットワーク: USDTは市場全体の70%以上を占め、広範な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サポートしています。USDCは取引量が少ないですが、透明性の高さから伝統的な金融機関に好まれる傾向があります。
しかし、結局この両者には中央集権型のシステムであるという共通点があります。
ステーブルコインの本質:民間も中央銀行になれる?
ここで、通貨の本質に関するより重要な概念が明らかになります。ステーブルコインの発行は、民間が**「準中央銀行」**の役割を果たすことを可能にします。
米ドルは負債通貨です。1ドルが発行されるためには、それに相当する米国債が担保として確保されます。連邦準備制度(FRB)がドルを印刷する際に国債を買い入れるように、ステーブルコインの発行元もコインを発行する際に米国債を担保として保有します。1 USDTや1 USDCが発行されると、その裏には1米ドル相当の米国債が担保として入っているのです。
これが、トランプ政権がステーブルコインに注目している理由です。従来、各国のA中央銀行が主に米国債を買い入れていましたが、ステーブルコイン市場が拡大すれば、**世界中の無数の個人がステーブルコインを保有するだけで、間接的に米国債を購入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れは、米国が天文学的に膨れ上がる負債を解決し、国債需要を安定的に確保するための新しい方法となります。
ステーブルコインは、将来のデジタル経済においてドルの役割を代替すると同時に、米国政府が直面する「トリフィンのジレンマ」を解決する突破口となる可能性があります。紙幣の時代が終わりを告げ、新しいデジタル通貨の時代が到来しています。この変化の流れを理解することは、個人の投資や事業だけでなく、国家の将来戦略にとっても非常に重要です。
韓国型医療ステーブルコイン:希望か、それとも空想か?
最近、韓国社会では「K-ステーブルコイン」の話が頻繁に聞かれます。特にK-ビューティーやK-医療を中心とした専用ステーブルコインの議論は、より興味深いものです。誰かは「健康の話なのに、なぜ急にコインの話になるんだ?」と首をかしげるかもしれません。しかし、少し深く掘り下げてみると、その理由は意外と明確です。
米国はすでに医療分野でステーブルコインを実験しています。
米国はステーブルコインの規制法案を整備し、医療分野での活用を模索しています。患者の健康行動を促すインセンティブを提供したり、保険の精算を迅速に行ったりするために使用しようとしているのです。
しかし、ここには明確な限界があります。米国でのステーブルコインの使用は、国家経済全体を動かす力というより、単に決済をより速く、便利にするためのツールに過ぎません。患者保護制度はまだ不十分で、発行元の信頼性や換金遅延などの問題も残っています。
韓国が夢見る医療ステーブルコインの性質は異なります。
もし韓国が準備金を韓国の国債に紐付ける構造を作れば、話は変わります。医療費の決済や保険の精算にこのコインを使用すれば、発行が増えるたびに安定した国債需要が生まれます。
これにより、単なる便利な決済手段を超え、韓国経済の基礎体力を強化する装置に発展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医療と金融を結ぶ架け橋となるわけです。
もちろん、それには綿密な設計が必要です。流動性管理、換金時の安全装置、準備金の透明性といった要素がきちんと整えられなければ、得るものよりも失うものの方が大きくなる可能性もあります。
外国人患者が選択する通貨の問題
もし韓国の患者が、韓国の病院ではなく米国の病院を選ぶとしたらどうなるでしょうか?その瞬間、決済はほとんどがドルで行われます。結局、K-ステーブルコインをドルステーブルコインに換えて使うことになり、これは韓国にとって外貨流出につながります。
したがって、政策的には医療目的に限り合理的な換金ルートを設け、患者の選択権を尊重しつつも、無秩序な外貨流出を防ぐ仕組みが必要です。
すでに韓国に根付いたテザー
ソウルの東大門市場を見ると、外国人バイヤーがテザー(USDT)を当然のように使っています。換金が便利で、どこでも通用し、慣れているからです。
この現実を見ると、韓国型ステーブルコインが単に「作ったから使ってください」というだけでは無用の長物になる危険性が高いです。外国人がわざわざ不便を甘受する理由はありませんから。
無用の長物にならないためには
では、どうすればよいでしょうか?答えは「差別化」です。
- 医療と保険の精算に制度的に組み込むべきです。
- 外国人患者が使用する際には、税金還付や宿泊・交通費割引などの特典を付けるべきです。
- 準備金と換金プロセスを国際的に透明に公開し、**「安全な韓国資産」**というイメージを植え付けるべきです。
- 何よりも、K-ビューティーやK-医療といった産業専用の特典を設けることで、USDTとの単純比較を不可能にする必要があります。
銀行やクレジットカード会社も敵ではなく仲間になるべき
クレジットカードの手数料がすでに低い韓国では、単純なコスト削減だけでは魅力を生み出すのが難しいです。さらに、銀行やカード会社は、自分たちの市場シェアが減ることを懸念するのは当然です。
そのため、最初から彼らをパートナーとして引き込む方法が必要です。銀行を準備金の預託機関として、カード会社を決済インターフェースとして活用し、バックエンドの精算だけをステーブルコインに置き換えるだけでも十分に可能性があります。最初は医療・保険精算のようなB2B分野で試してみるのも安全なアプローチです。
結論
米国の医療ステーブルコインはまだ決済効率性に留まっていますが、韓国が医療と金融を結ぶ環を適切に設計できれば、国債市場の安定と国家経済の強化というマクロな意味まで持ち得るでしょう。その道は容易ではありません。テザーやUSDCのようなグローバルなドルステーブルコインがすでに広く使われているからです。しかし、韓国型医療ステーブルコインが無用の長物となるか、それとも新たな希望となるかは、最終的にどのように設計するか、にかかっています。
読者の皆さんはどうお考えでしょうか?韓国型医療ステーブルコインは、果たして私たちの経済をしっかりと支える支柱となり得るでしょうか、それとも単なる実験に終わるでしょうか?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