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에도 소비심리는 여전히 위축되어 있어 정부는 소비쿠폰을 통해 내수 회복에 나섰습니다.

왜 지금 대한민국에 소비쿠폰이 필요할까요?

고금리와 고물가 속에서 가계 지출은 줄어들었고, 자영업과 소상공인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국민의 소비 여력을 높이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시행합니다.

소비쿠폰은 어떤 방식으로 지급되나요?

정부는 7월 5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1차 지급계획’을 발표하며 세부 내용을 안내했습니다.

▸ 1차 지급: 7월 21일 ~ 9월 12일

  • 전 국민 대상 기본 15만 원
  • 차상위계층·한부모가정: 30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40만 원
  • 비수도권 주민: 3만 원 추가
  • 인구감소지역 주민: 5만 원 추가
  • 최대 1인당 45만 원까지 지급

▸ 2차 지급: 9월 22일 ~ 10월 31일

  • 국민의 90% 대상, 10만 원 추가 지급
  •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선별
  • 고액자산가는 제외 가능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신청 기간

7월 21일(월) 오전 9시부터 9월 12일(금) 오후 6시까지이며, 마감 이후엔 신청이 불가합니다.

신청 방법

온라인은 카드사 앱, 간편결제 앱, 국민비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오프라인은 은행 영업점과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
첫 주는 출생년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지급 방식

신청 다음 날 카드 또는 상품권 등으로 지급되며,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은 ‘찾아가는 신청제도’를 통해 직접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소비쿠폰은 주소지 관할 지역의 연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요.
식당, 전통시장, 미용실, 안경점 등 대부분의 생활밀착 업종이 포함됩니다.

다만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유흥업소, 귀금속점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술과 담배, 그리고 초가공식품 구매는 가능할까요?

주류와 담배는 명시적으로 결제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초가공식품(가공 스낵, 인스턴트 등)은 사용처 내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SNS에선 담배 구매 사례가… 이건 불법인가요?

네, 소비쿠폰으로 담배나 술을 구매한 것은 법적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책임을 질 수 있으며, 불법 사용으로 간주될 경우 보조금 환수 및 형사처벌도 가능합니다.

  • 구매자는 보조금관리법에 따라 환수 또는 향후 지원 제외 대상이 될 수 있고
  • 판매자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으로 최대 3년 징역 또는 2천만 원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온라인 거래도 조심해야 해요

최근 중고거래 앱에서 쿠폰을 현금화하거나 담배·주류로 바꾸는 사례가 발생했으며
정부는 키워드 차단, 모니터링, 게시물 삭제 등으로 단속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스미싱 사기에도 주의하세요!

정부와 카드사, 지역화폐사는 문자에 URL이나 링크를 절대 포함하지 않아요.
의심스러운 메시지를 받았다면 바로 삭제하고 118로 신고하세요.

국민이 꼭 알아야 할 사용 팁

  • 신청은 반드시 기한 내에 해야 합니다.
  • 거동이 불편한 경우 ‘찾아가는 서비스’를 신청하세요.
  • 사용 기한은 **11월 30일(일)**까지입니다.
  • 사용 가능한 매장엔 스티커가 붙어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함께 기억해요

민생 회복 소비쿠폰은 단순한 현금 지원이 아니라, 소비를 살리고 지역 상권을 지키기 위한 마중물입니다.
불법 사용 없이 정해진 곳에서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모두를 위한 길입니다.

마무리: 저는 주로 건강과 영양에 대한 글을 써왔습니다.
그런 제가 민생 회복 소비쿠폰에 대해 글을 쓰는 이유는, 단순한 정책 홍보가 아니에요.

정부가 보조 쿠폰을 배포하기 시작한 지 며칠 되지 않아, 식품업체들은 마치 기다렸다는 듯
즉석식·가공식·편의식(HMR) 제품을 보다 적극적으로 광고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광고에는 늘 이런 문장이 따라붙습니다.
“바쁘시죠? 요리할 시간 없잖아요? 그냥 데우기만 하세요.”

하지만 그 편리함 속엔 수많은 중독의 씨앗이 숨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인구 수당 가장 많은 편의점을 보유한 나라입니다.
950명당 하나, 편의점이 가까울수록 노화는 가속화되고, 탄소발자국은 쌓이며,
건강과 환경의 오염은 눈에 띄지 않게 퍼져갑니다.

즉석식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습관을 중독으로 바꾸는 구조적 설계물입니다.
그 결과, 사람뿐 아니라 물과 공기, 땅, 가축과 식물까지도 오염의 고리를 따라 병들어 가죠.

그러나 누구도 이 이야기를 꺼내려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일부 전문가들은 식품업계와 협력해
‘단백질이 보충된다’, ‘저속 노화다’, ‘건강하게 먹는 라면’ 이라는 말로
사실상 환자를 늘리고 땅과 물을 파괴하는 선전에 목소리를 더하고 있습니다.

이번 소비쿠폰 이야기는 단순히 경제나 돈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단 만 원이라도,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소비하느냐가 곧
나의 건강,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의 운명을 결정짓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구멍가게의 대기업 편의점화, 외국산 식재료 의존, 초가공식품과 탄소 발자국 문제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즉석식과 편의식 소비는
우리 몸과 환경만 병들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소비쿠폰이 진짜 경제 회복의 불씨가 되려면
어떻게 써야 하는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당신의 소비가,
우리의 삶과 대한민국의 경제 그리고 내일의 지구를 지킬 수 있습니다.


“얼어붙은 소비에 온기를, 지역 경제에 희망을” 행정안전부 김민재 차관의 말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우리 경제의 마중물이 되어, 소비 활성화와 소득 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꼼꼼하게 준비하겠습니다.”

누가 이런 목소리를 내줄까요 “얼어붙은 건강에 온기를, 지역 사회경제와 대한민국 환경에 희망을”

“나와 가족의 건강 회복에 그리고 대한민국 경제에 소비쿠폰이 마중물이 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안전한 로컬 식재료 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우리 스스로 꼼꼼하게 점검해야 합니다.”

English

Livelihood Recovery Consumption Coupon, a warm breeze for the frozen economy

Even after the pandemic, consumer sentiment remains weak. In response,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consumption coupons to help revitalize the domestic economy.

Amid high interest rates and inflation, household spending has shrunk. This has made things even more difficult for the self-employed and small business owners.

To address this,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the Livelihood Recovery Consumption Coupon. It aims to boost people’s spending power and revive local economies.

How will the consumption coupons be distributed?

On July 5, the government held a joint briefing with related ministries to announce the ‘1st distribution plan’ and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The 1st distribution is from July 21 to September 12. A basic amount of 150,000 KRW will be given to all citizens.

Low-income and single-parent families will receive 300,000 KRW, whil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get 400,000 KRW.

An extra 30,000 KRW is provided to residents of non-metropolitan areas. An additional 50,000 KRW is for residents of depopulation areas. This means up to 450,000 KRW can be received per person.

The 2nd distribution will be from September 22 to October 31. It will provide an additional 100,000 KRW to 90% of the population. This is based on income screening using health insurance premiums, with high-asset individuals being excluded.

How do I apply?

The application period is from 9 AM on Monday, July 21 to 6 PM on Friday, September 12. You cannot apply after the deadline.

You can apply online via card company apps, simple payment apps, and the National Secretary website. Offline applications are available at bank branches and local community centers.

For the first week, a day-of-the-week system is in place to manage traffic. This is based on the last digit of your birth year.

The coupon is distributed the day after application as a card or gift certificate. You can choose between a credit/debit card, a prepaid card, or a regional gift certificate. A ‘Visiting Application’ service is available for elderly people with mobility issues.

Where can I use it?

Consumption coupons can only be used at small businesses with an annual turnover of 3 billion KRW or less. This applies to the jurisdiction of your registered address.

This includes most daily-life sectors like restaurants, traditional markets, hair salons, and opticians. However, it cannot be used at large supermarkets, department stores, online shopping malls, entertainment venues, or jewelry stores.

What about purchasing alcohol, cigarettes, and ultra-processed foods?

Payments for alcohol and cigarettes are explicitly disallowed. However, ultra-processed foods (processed snacks, instant meals, etc.) can be freely purchased at eligible convenience stores or supermarkets.

Is buying cigarettes with the coupon illegal?

Yes. Purchasing cigarettes or alcohol with a consumption coupon can be subject to legal penalties. Both the buyer and the seller can be held responsible.

Illegal use may result in the clawback of subsidies and criminal charges. Buyers can have their subsidies reclaimed, and sellers may face up to 3 years in prison or a fine of 20 million KRW.

Be careful with online transactions too!

Recently, there have been cases of people cashing out coupons or exchanging them for cigarettes and alcohol on used goods apps. The government is strengthening its crackdowns through keyword blocking, monitoring, and post deletion.

Watch out for smishing scams!

The government, card companies, and regional currency providers will never include URLs or links in text messages. If you receive a suspicious message, delete it immediately and report it to 118.

Key Usage Tips for Citizens

You must apply by the deadline. If you have mobility issues, apply for the ‘Visiting Application Service’. The usage period is until Sunday, November 30th. Look for a sticker on eligible stores.

Let’s remember together

The coupon is not just a cash handout. It’s a catalyst to boost consumption and protect local commerce. Using it correctly is the path for everyone.

Closing thoughts: I am a health and nutrition educator. I’m writing about this coupon not just for policy promotion, but because of a deeper concern.

Shortly after the coupons were distributed, some food companies aggressively advertised instant and processed foods with the message: “Don’t have time to cook? Just heat it up.”

This convenience hides seeds of addiction. South Korea has the most convenience stores per capita in the world. The closer you live to one, the faster aging accelerates, and the larger your carbon footprint becomes.

Instant food is not just convenience. It’s a structural design that turns habits into addictions. This pollutes our bodies, water, air, and land.

Yet, no one dares to talk about this. Some experts even collaborate with the food industry, using phrases like “slow aging” to promote these products, which effectively makes people sick and destroys our environment.

“Even with just ten thousand KRW, where, what, and how you spend it determines the fate of my health, the future of the Korean economy, and the environment we live in.”

In the next article, we will examine the issues of local corner stores becoming large corporate convenience stores, the reliance on imported ingredients, and the problems of ultra-processed foods and their carbon footprint.

The consumption of instant and convenience foods doesn’t just harm our bodies and the environment. It also affects our economy.

We will also take time to consider how we should use the consumption coupon for it to become a true spark for economic recovery.

Your consumption, mindful of health and the environment, can protect our lives, the Korean economy, and the Earth of tomorrow.

“Warmth for frozen consumption, hope for local economies,” said Administrative Vice Minister Kim Min-jae. “The Livelihood Recovery Consumption Coupon will be a pump primer for our economy, and we will prepare thoroughly to make sure it can achieve both goals of consumption revitalization and income support.”

Who will raise their voice for “Warmth for frozen health, hope for local socioeconomic communities and the Korean environment”?

“The consumption coupon can be a pump primer for the recovery of my health and my family’s health, as well as the Korean economy. We ourselves must carefully evaluate how to use it to achieve both goals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supporting safe, local ingredients.”


日本語

生活回復消費クーポン、凍った経済に温かい風を

パンデミック後も消費心理は依然として冷え込んでいます。政府は消費クーポンを通じて内需回復に乗り出しました。

高金利と物価高の中で家計の支出は減少し、自営業者と小規模事業者はより困難な状況に直面しています。

そこで政府は、国民の消費余力を高め、地域経済を活性化させるために生活回復消費クーポンを実施します。

消費クーポンはどのように支給されますか?

7月5日、政府は関係省庁合同で「第1次支給計画」を発表し、詳細を案内しました。

第1次支給は、7月21日から9月12日までです。全国民に基本15万ウォンが支給されます。

次上位階層・ひとり親家庭には30万ウォン、基礎生活受給者には40万ウォンが支給されます。

非首都圏住民には3万ウォンが、人口減少地域の住民には5万ウォンが追加で支給されます。これにより、最大1人当たり45万ウォンまで受け取ることができます。

第2次支給は、9月22日から10月31日までです。国民の90%を対象に、10万ウォンが追加で支給されます。これは健康保険料を基準とした所得選別により行われ、高額資産家は除外される可能性があります。

申請方法はどうなりますか?

申請期間は7月21日(月)午前9時から9月12日(金)午後6時までです。締め切り後は申請できません。

オンラインではカード会社アプリや簡単な決済アプリ、国民秘書ウェブサイトで申請できます。オフラインでは銀行の窓口と邑・面・洞の行政福祉センターで申請できます。

最初の1週間は、生年月日の末尾に応じた曜日制が適用されます。高齢者など移動が不便な方には「訪問申請制度」も利用できます。

支給方法は、申請の翌日にカードや商品券などで支給されます。信用・チェックカード、プリペイドカード、地域愛商品券の中から選択できます。

どこで使えますか?

消費クーポンは、住民登録地を管轄する地域の年間売上30億ウォン以下の小規模事業者店舗でのみ使用できます。

レストラン、伝統市場、美容室、眼鏡店など、ほとんどの生活密着型業種が含まれます。ただし、大型スーパー、デパート、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モールなどでは使用できません。

お酒やタバコ、そして超加工食品の購入は可能ですか?

酒類とタバコは明示的に決済できません。しかし、超加工食品(加工スナック、インスタント食品など)は、利用可能なコンビニやスーパーマーケットで自由に購入できます。

SNSでタバコを購入した事例が…これは違法ですか?

はい、違法です。消費クーポンでタバコやお酒を購入した場合、法的制裁の対象となる可能性があります。

購入者と販売者の両方が責任を問われます。違法使用と見なされる場合、補助金の返還および刑事罰の対象にもなり得ます。

オンライン取引にも注意しましょう!

最近、中古取引アプリでクーポンを現金化したり、タバコ・酒類に交換したりする事例が発生しています。政府はキーワード遮断や監視を強化しています。

スミッシング詐欺にもご注意ください!

政府、カード会社、地域通貨事業者は、URLやリンクを含むSMSメッセージを一切送信しません。疑わしいメッセージを受け取ったら、すぐに削除して118に通報してください。

国民が必ず知っておくべき利用のヒント

申請は必ず期限内に行う必要があります。移動が不便な場合は「訪問申請サービス」を申し込みましょう。利用期限は**11月30日(日)**までです。利用可能な店舗にはステッカーが貼られているので、参考にしてください。

一緒に覚えましょう

生活回復消費クーポンは、単なる現金支援ではなく、消費を活性化させ、地域商店を守るための呼び水です。定められた場所で正しく使うことが、皆のためになります。

最後に: 私は普段、健康と栄養について教育している者です。私がこの消費クーポンについて書くのは、政策広報のためだけではありません。

政府がクーポンの配布を始めてすぐ、一部の食品メーカーがインスタント食品や簡便調理食品をこぞって宣伝し始めたからです。「忙しいでしょう?料理する時間がないでしょう?ただ温めるだけです。」という広告文句と共に。

この便利さの中には無数の依存症の種が隠されています。韓国は人口当たりのコンビニエンスストア数が世界で最も多い国です。コンビニが近いほど、老化は加速し、健康と環境の汚染は目に見えない形で広がります。

インスタント食品は単なる利便性ではなく、習慣を依存症に変える構造的な設計物です。その結果、人だけでなく、水、空気、土地までもが汚染されて病んでいきます。

しかし、誰もこの話をしようとしません。一部の専門家は「タンパク質が補給される」といった言葉で食品業界に協力し、患者を増やし、環境を破壊しています。

「たった1万ウォンでも、どこで、何を、どのように消費するかが、私の健康、韓国経済の未来、そして私たちが生きる環境の運命を決定づけます。」

次回の記事では、個人商店の大手コンビニ化、外国産食材への依存、超加工食品とカーボンフットプリントの問題について考察する予定です。

インスタント食品や簡便調理食品の消費は、私たちの体と環境を病ませるだけではありません。

そして、消費クーポンが真の経済回復の火種となるためには、どのように使うべきかについて一緒に考えてみる時間を持ちたいと思います。

健康と環境を考えるあなたの消費が、私たちの生活と韓国経済、そして明日の地球を守ることができます。

「凍った消費に温かさを、地域経済に希望を」と、行政安全部のキム・ミンジェ次官は言いました。「生活回復消費クーポンが、私たちの経済の呼び水となり、消費活性化と所得支援という二つの目標をすべて達成できるよう、入念に準備してまいります。」

誰がこのような声を上げるでしょうか。「凍った健康に温かさを、地域社会経済と韓国の環境に希望を」

「私と家族の健康回復、そして韓国経済に消費クーポンが呼び水となり、地域経済の活性化と安全な地元食材の支援という二つの目標をすべて達成できるよう、私たち自身が綿密に検討しなければなりません。」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