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과 유사체, 같은 이름 다른 이야기

전편에서 우리는 GLP-1이 단순한 호르몬이 아니라는 사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호르몬은 소장과 대장에 분포한 L세포에서 분비되어,
뇌와 췌장에 신호를 보내 식욕을 억제하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지요.

그런데 요즘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GLP-1이라는 이름을 자주 듣게 됩니다.
Ozempic(오젬픽), Wegovy(위고비), Mounjaro(마운자로) 같은 약물들이
GLP-1 계열로 소개되며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지요.

이 약물들은 모두 우리 몸의 GLP-1을 흉내 낸 인공 펩타이드입니다.
하지만 정말 자연 호르몬과 같을까요?
94% 유사하다는 말은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요?
이제 그 차이를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려 합니다.


GLP-1 유사체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자연 GLP-1은 펩타이드 호르몬입니다.
짧은 아미노산 사슬로 구성되어 있어 기능은 탁월하지만,
체내에서 너무 빨리 분해되어 약물로 쓰기에는 한계가 있었지요.

이러한 생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LP-1과 유사한 작용을 하면서도 더 오래 지속되는 약물들이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GLP-1 유사체(analogs)**라는 이름의 새로운 계열 약물이지요.

대표적으로는 Exenatide(엑세나타이드), Liraglutide(리라글루타이드),
Dulaglutide(둘라글루타이드), Semaglutide(세마글루타이드)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은 유지하면서도
분해 저항성과 약효 지속 시간을 늘리기 위해 구조를 조금씩 변형해 설계되었습니다.


“94% 유사하다”는 말의 과학적 함정

이런 유사체들이 소개될 때 흔히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이 약물은 인간 GLP-1과 94% 이상 유사합니다.”

그러나 생물학에서는 이 6%의 차이가
결코 작거나 안전하다고만 볼 수 없다는 점,
우리 모두 한 번쯤은 생각해보아야 하지요.

단 하나의 아미노산 차이만으로도 단백질의 구조나 기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고,
면역계는 그 미세한 차이를 감지해 반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실제로 겸형 적혈구 질환처럼,
단일 아미노산 돌연변이 하나로 전신적인 질환이 유발되는 예도 있지요.

그래서 94% 유사하다는 설명은
“가능한 한 가깝게 만들었다”는 말일 뿐,
우리 몸이 그것을 완전히 ‘자기(self)’로 인식하리라는 보장은 아닙니다.


면역계는 작은 차이도 놓치지 않습니다

우리 몸의 면역계는 매우 정교합니다.
단백질의 서열이나 접힘 구조, 당화 패턴 등 아주 미세한 차이도 인식하곤 하지요.

예를 들어, Exenatide(엑세나타이드)는
도마뱀의 침샘에서 유래한 Exendin-4를 기반으로 개발된 약물입니다.
자연 GLP-1과 구조적으로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일부 환자에서는 항체가 생성되거나 주사 부위에 이상 반응이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반면 Liraglutide(리라글루타이드)나 Semaglutide(세마글루타이드)처럼
자연 GLP-1과 구조적으로 유사하게 설계된 약물은
면역 반응 가능성이 훨씬 줄었지만, 그래도 완전히 없지는 않지요.

결국 면역계는 그 6%의 차이조차도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점,
그 사실을 염두에 두고 약물의 유사성을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생물학에서 ‘거의 같다’는 곧 ‘다르다’는 뜻입니다

인간과 침팬지의 유전자 염기서열은 98.8%가량 유사합니다.
하지만 그 1~2%의 차이가 뇌의 구조, 언어 능력, 문화적 사고 방식까지 달라지게 만들지요.

이처럼 생물학에서는 ‘조금 다른 것’이 곧
‘아예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항상 고려해야 합니다.

GLP-1 유사체가 아무리 정교하게 설계되었더라도
그 안에 감춰진 작은 차이 하나가
예기치 않은 반응이나 효과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환자나 의료인 모두가 함께 기억해야 할 부분이지요.


유사성과 면역 회피, 그 긴장 속에서 설계된 약물들

제약회사들은 GLP-1 유사체를 개발할 때
두 가지 상반된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했습니다.

하나는 자연 GLP-1처럼 수용체에 잘 결합하도록 만드는 것,
다른 하나는 면역계가 공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지요.

이를 위해 약물 설계자들은 다양한 기술을 활용했습니다.
지방산을 붙여 반감기를 연장하거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접합해 면역 노출 면적을 줄이기도 했습니다.

아미노산 일부를 교체하거나 사슬 구조를 조정해
효소에 덜 분해되도록 설계하기도 하지요.

그러나 이렇게 설계된 약물이라고 하더라도
모든 사람의 몸이 그것을 ‘자기’로 받아들인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극소수지만, 항체 생성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보고된 사례도 있으니까요.


생명을 흉내낼 수는 있어도, 완전히 같을 수는 없습니다

GLP-1 유사체는
현대 의학이 만들어낸 놀라운 성과 중 하나입니다.
비만과 당뇨 치료의 영역에서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지요.

하지만 아무리 구조를 가깝게 모방하더라도,
그것이 진짜 생체 내 호르몬과 완전히 동일하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 미세한 차이는
때로는 면역계라는 정직한 감시자에 의해 인식되고,
예상하지 못한 반응으로 되돌아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언제나
‘얼마나 유사한가?’만이 아니라,
‘어떤 점에서 다를 수 있는가?’도 함께 살펴보아야 하겠지요.


다음 편 예고

다음 글에서는 GLP-1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인공 펩타이드 약물로 사용된 인슐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돼지와 소에서 추출한 인슐린, 그 한계와 재조합 인간 인슐린의 등장,
그리고 여전히 남아 있는 면역 반응의 문제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5편

  1. “GLP‑1 receptor agonist as a modulator of innate immunity”
  2.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 저자/출처: StatPearls, Logan Collins 등 en.wikipedia.org+5ncbi.nlm.nih.gov+5nature.com+5
    • 요약: GLP‑1 유사체(Exenatide, Liraglutide, Dulaglutide, Semaglutide)의 작용 기전, 임상적 유용성, 안전성 및 부작용 프로파일(면역 관련 포함)을 체계적으로 정리함.
  3.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mechanisms and advances in drug development”
  4. “Harmonised Methods for Detection of Insulin Immunogenicity”
    • 저자/출처: JPIONLINE, 약물 면역성 분석방법 nature.comjpionline.org
    • 요약: 인슐린 유사체가 항체를 유발하는 위험을 구조적 특성(크기, 전하, 소수성 등) 및 투여 조건과 관련지어 분석한 가이드라인 논문입니다.
  5. “Efficacy and Safety of GLP‑1 analog ecnoglutide in adults…”

English Version

Adipocyte Growth Mechanisms 4: Questioning the Differences Between Natural GLP‑1 and Its Analog Drugs


Natural GLP‑1 vs. Analog Drugs: Same Name, Different Stories

In the previous post, we explored that GLP‑1 is more than just a hormone.
It’s secreted by L‑cells i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and signals the brain and pancreas to reduce appetite and promote insulin release.
Lately, however, the name GLP‑1 is often heard in reference to drugs like Ozempic, Wegovy, and Mounjaro—GLP‑1 analogs.

These medications are synthetic peptides mimicking GLP‑1.
But are they truly the same?
How much can we trust the claim “94 % similar”?


How Did GLP‑1 Analogs Arise?

Natural GLP‑1 is a peptide hormone with a short amino‑acid chain—powerful in function, yet rapidly degraded in the body.
Its brief half‑life made it impractical for therapeutic use.

To overcome this, pharmaceutical companies developed GLP‑1 analogs—peptides engineered to act like GLP‑1 but persist longer in the bloodstream.
Examples include Exenatide, Liraglutide, Dulaglutide, and Semaglutide.
They maintain receptor binding capability while incorporating structural modifications to resist degradation and extend duration of action.


The Scientific Pitfall of “94 % Similarity”

Companies often state, “This drug is over 94 % similar to human GLP‑1.”
However, that figure does not guarantee biological equivalence.

A single amino‑acid change can significantly alter protein structure—receptor affinity, degradation rate, and immune detection can all shift.
Consider sickle‑cell disease: one amino‑acid substitution causes serious illness.

Hence, 94 % similarity means “we tried to get close,” not “the body recognizes it as self.”


The Immune System Notices the Small Differences

The immune system is exquisitely discerning—detecting subtle variations in protein sequences, folding patterns, and glycosylation.

For instance, Exenatide is based on Exendin‑4 from lizard saliva, differing markedly from human GLP‑1.
Consequently, some patients develop antibodies or injection‑site reactions.

Though Liraglutide and Semaglutide are more similar to GLP‑1, they still occasionally trigger immune responses.
That 6 % difference is indeed visible to our immune surveillance.


“Almost the Same” in Biology Often Means “Different”

Humans and chimpanzees share about 98.8 % of their DNA.
Yet that 1–2 % divergence results in stark differences: brain development, language, upright posture, culture, and immune systems.

In biology, small differences can have big impacts.
GLP‑1 analogs may be well‑engineered, but tiny structural variations can lead to unexpected immune or physiological effects.


The Balancing Act in Drug Design

Scientists creating GLP‑1 analogs face two objectives:

  1. Maintain strong GLP‑1 receptor binding
  2. Avoid immune system detection

They use techniques like attaching fatty acids, PEGylation, and strategic amino‑acid substitutions to extend half‑life and reduce immunogenicity.

Yet, no design is entirely foolproof.
Even these advanced peptides can trigger antibodies, lose potency, or cause local reactions in a small subset of patients.


Synthesizing Nature: Imitation, Not Identity

GLP‑1 analogs represent a marvel of peptide‑based therapeutics—they’ve revolutionized care for obesity, diabetes, and appetite regulation.

But no matter how precise the mimicry, they are not identical to the natural hormone.
That slight structural deviation can be enough for the immune system to intervene, reminding us that imitation does not equal identity.


Next in the Series

In the next installment, we’ll turn to insulin, the peptide therapy that predates GLP‑1 analogs.
From animal‑derived insulin to human recombinant formulations, we’ll trace the immunologic challenges and discover how insulin became “self‑like” in the human body.


📚 References

  1. GLP‑1 receptor agonist as a modulator of innate immunity
    Summary: Reviews how Exenatide and Liraglutide affect macrophages and immune responses.
  2.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StatPearls)
    Summary: Systematic overview of mechanism, clinical utility, safety, and immunogenic concerns of GLP‑1 analogs.
  3.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mechanisms and advances in drug development (Nature Materials)
    Summary: Describes Exenatide’s structural design, half‑life, and immunogenicity considerations.
  4. Harmonised Methods for Detection of Insulin Immunogenicity (JPIONLINE)
    Summary: Guidelines analyzing structural features and administration conditions that predispose insulin analogs to antibody generation.
  5. Efficacy and Safety of GLP‑1 analog ecnoglutide in adults… (Nature Community)
    Summary: Clinical trial data on ecnoglutide showing ADA (anti‑drug antibody) formation and effects on drug tolerance.

日本語版

脂肪細胞成長メカニズム 4:自然GLP‑1とアナログ薬の違いを問う


自然GLP‑1とアナログ薬は、同じ名前でも異なるもの

前回の記事では、GLP‑1がただのホルモンではないことをお伝えしました。
これは小腸・大腸のL細胞から分泌され、脳や膵臓に信号を送って食欲を抑制し、インスリン分泌を促進する重要な役割を果たします。

ところが最近、Ozempic(オゼンピック)、Wegovy(ウェゴビ)、Mounjaro(マウンジャロ)などのGLP‑1アナログ薬がしばしば話題になります。
これらは自然GLP‑1を真似た合成ペプチドですが、本当に自然ホルモンと同じなのでしょうか?
「94 %類似」という説明はどこまで信じていいのでしょう?


GLP‑1アナログ薬はどうやって生まれたのか?

自然GLP‑1はペプチドホルモンであり、アミノ酸の鎖は短く、強力である一方、体内で急速に分解されます。
そのため、治療薬としての利用には不向きでした。

この問題を克服するために製薬会社は、GLP‑1と同様の作用を持ちながら血中でより長く維持される薬を開発。
これがGLP‑1アナログと呼ばれる新しい薬剤群です。
代表的なものに Exenatide(エクセナタイド)や Liraglutide(リラグルチド)、
Dulaglutide(デュラグルチド)、Semaglutide(セマグルチド)などがあります。

これらの薬はGLP‑1受容体への結合力を保ちつつ、構造を調整することで分解抵抗性を持たせ、作用持続時間を延ばしています。


「94 %類似」という言葉の科学的落とし穴

多くの製薬会社は「本薬はヒトGLP‑1と94%以上類似しています」と述べますが、
この数字は生体内での同一性を保証するものではありません。

たった一つのアミノ酸の違いでも、蛋白質の構造・機能・受容体親和性・分解速度・免疫反応などに大きな影響を与えます。
たとえば鎌状赤血球症のように、単一アミノ酸の変異が全身病につながるケースもあります。

したがって「94 %類似」とは「可能な限り近づけた」という意味であり、
体がそれを完全な“自己”と認識するとは限りません。


免疫系は小さな違いさえ見逃しません

免疫系は非常に敏感です。
蛋白質の配列、立体構造、糖鎖化などの微妙な違いをも正確に識別します。

例えば、**Exenatide(エクセナタイド)**はトカゲの唾液から得られたExendin‑4を基にしており、
ヒトGLP‑1とは構造的に大きく異なります。
そのため、一部の患者では抗体が生成されたり、注射部位に皮疹が出たりすることがあります。

一方、**Liraglutide(リラグルチド)Semaglutide(セマグルチド)**はよりヒトGLP‑1に似ていますが、
それでも免疫反応の可能性は完全になくなったわけではありません。

つまり、6 %の差でも免疫系には十分敏感であるという点を忘れてはいけません。


生物学では「ほぼ同じ」は「異なる」ことが多い

人間とチンパンジーのDNAは約98.8 %類似しています。
しかしその1~2 %の違いが、脳構造、言語能力、文化、免疫系など
生物としての基本構造を大きく変えるのです。

このように、生物学においては“わずかな違い”で“根本的な違い”が生まれることがよくあります。
GLP‑1アナログ薬がいかに精巧でも、構造の微細な違いが予想外の反応や効果低下を招く可能性がある点は
私たち医療関係者や患者が注意しておくべきポイントでしょう。


類似性と免疫回避、その狭間で設計された薬たち

GLP‑1アナログは極めて繊細な設計がなされています。
製薬会社は次の二つの課題を同時に追求しました。

一つはGLP‑1受容体との親和性を高めること、そしてもう一つは免疫攻撃を避けることです。

そのため設計では脂肪酸を結合して作用持続時間を長くし、
PEG化で免疫への露出を減らし、
アミノ酸の一部を置換して分解抵抗性を持たせています。

しかしその精巧さにもかかわらず、人体がそれを“自己”と完全に認識す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
実際にわずかながら抗体生成やアレルギー反応を示す例が報告されています。


真似ることはできても、同じにはなれない

GLP‑1アナログはペプチド薬の金字塔とも言える成果で、
肥満や糖尿病治療に革新をもたらしました。

しかし、どれだけ精巧に模倣しても、
自然ホルモンと完全に同一にはなれません。

そしてそのわずかな違いが、免疫反応という形で体に示されることもあります。

それゆえ、「どれだけ似ているか」だけでなく、
「どこがどう違うか」をも丁寧に知ることが、
患者にも医療者にも重要だと感じています。


次回予告

次回は、GLP‑1よりはるかに以前から使われているペプチド薬、
インスリンについてお話しします。
『動物由来インスリンからヒト組換えインスリンへ、そこに残る免疫の課題』を
一緒に紐解いていきましょう。

📚 参考文献

  1. GLP‑1受容体作動薬による自然免疫調節機構に関する研究
     出典: Frontiers in Immunology
     要旨: ExenatideやLiraglutideといったGLP‑1アナログが、マクロファージや自然免疫系に与える影響を総括的に紹介。薬剤が免疫反応をどのように誘導または抑制するかについて考察。
  2. グルカゴン様ペプチド-1受容体作動薬(GLP-1RA)概説
     出典: StatPearls, NCBI Bookshelf
     要旨: GLP‑1アナログの作用機序、臨床応用、安全性、免疫原性などについて、エビデンスに基づく詳細なレビューを提供。
  3. GLP‑1受容体に関する構造生物学と新薬開発の進展
     出典: Nature Materials
     要旨: Exenatide(エクセナタイド)の設計、半減期の延長方法、免疫原性回避のための構造改変に関する最新研究。
  4. インスリン免疫原性評価のための国際的評価法の標準化
     出典: Journal of Pharmacy and Bioallied Sciences (JPIONLINE)
     要旨: インスリンアナログに対する抗体産生リスクを測定する方法論。構造変化や投与条件によって免疫反応がどう異なるかに着目。
  5. 新規GLP‑1アナログ薬 “ecnoglutide” の成人患者における効果と安全性
     出典: Nature Communications
     要旨: Ecnoglutideに関する臨床試験データ。抗薬物抗体(ADA)の形成とその後の効果・副作用への影響について言及。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